• 제목/요약/키워드: Indicator bacteria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3초

활성슬러지공정 하수종말처리장의 분원성 지표세균의 농도 및 비교 (Enumeration and Comparison of Fecal Indicator Bacteria in a Sewage Treatment Plant Using Activated Sludge Process)

  • 이동근;성기문;정미라;박성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1-147
    • /
    • 2010
  • Indicator bacteria of fecal pollution were enumerated and compared by various detection methods for influent and final effluent of a sewage treatment plant. Total coliforms were enumerated by four methods including most probable numbers, chromogenic enzyme substrate test, membrane filtration, and plate counts and were about $10^4$ for influent and $10^2{\sim}10^3\;CFU/ml$ for final effluent. Fecal coliforms ranged between $10^3$ and $10^4$ for influent and $10^2\;CFU/ml$ for effluent by chromogenic enzyme substrate test and membrane filtration. Fecal streptococci counts were 1-log less than fecal coliforms counts, $10^2{\sim}10^3$ for influent and $10^1\;CFU/ml$ for effluent. Total coliforms numbers by plate count both in influent and in effluent showed 1-log higher than by the other three methods.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numbers of total coliforms by plate count in final effluent had the highest average of correlation (r=0.778, p<0.01) compared with those by the other three methods. In addition, total coliforms numbers by plate count showed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r=0.835, p<0.01) with those by chromogenic test which is well-known as its highest recovery effici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late count would be the optimum detection method for total coliforms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hich are the only microbiological standard of final effluent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the Republic of Korea, considering economic aspects and difficulties in laboratories.

Evaluation of Milk Trace Elements, Lactate Dehydrogenase, Alkaline Phosphatas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ctivity of Subclinical Mastitis as and Indicator of Subclinical Mastitis in Riverine Buffalo (Bubalus bubalis)

  • Guha, Anirban;Gera, Sandeep;Sharma, Ansh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3호
    • /
    • pp.353-360
    • /
    • 2012
  • Mastitis is a highly morbid disease that requires detection at the subclinical stage. Tropical countries like India mainly depend on milch buffaloes for milk.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trace minerals viz. copper (Cu), iron (Fe), zinc (Zn), cobalt (Co) and manganese (Mn) and enzyme activity of lactate dehydrogenase (LDH),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in riverine buffalo milk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subclinical mastitis (SCM) with the aim of developing suitable diagnostic kit for SCM. Trace elements and enzyme activity in milk were estimated with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GBC 932 plus and biochemical methods, respectively. Somatic cell count (SCC) was done microscopically. The cultural examination revealed Gram positive bacteria as the most prevalent etiological agen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increase in SCC, Fe, Zn, Co and LDH occurred in SCM milk containing gram positive bacterial agents only. ALP was found to be elevated in milk infected by both gram 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The percent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predictive values and likelihood ratios were calculated taking bacterial culture examination and $SCC\geq2{\times}10^5$ cells/ml of milk as the benchmark. Only ALP and Zn, the former being superior,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diagnosis of SCM irrespective of etiological agents. LDH, Co and Fe can be introduced in the screening programs where Gram positive bacteria are omnipresent. It is recommended that both ALP and Zn be measured together in milk to diagnose buffalo SCM, irrespective of etiology.

여성의 손 위생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d Hygiene Practices among Females)

  • 김종규;김중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5-254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and washing awareness of females and load of indicator bacteria on their hands. This study focused on the variation according to their age.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d bacterial analysis of indicator bacteria were carried out for 100 Korean women in their age from 20 s to 60 s. Hand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a modified glovejuice method. Results: In the surve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was found among the age groups in the use of hand washing agents. The levels of aerobic colony count (ACC) were the highest in both hands among the 20s (p < 0.05). The levels of Escherichia coli were higher in both hands in their 20s and 30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spp. However, the positive rates of S. aureus (left hand, 37.5~47.1%; right hand, 58.5~62.5%) and Salmonella spp. (left hand, 25.0~52.9%; right hand, 37.5~64.7%) were higher in the hands of the 20s and 30s, and then showed decreasing trend according to increase of age. The effect of hand washing frequency on the ACC level of hands was significant (p < 0.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of hand hygiene awareness among female age groups. The detection of S. aureus and Salmonella spp. on the hands of some females in each age group revealed poor hand hygiene practices. The significant effect of hand washing frequency on the ACC level suggests that frequent hand washing is helpful to reduce hand contamination.

재배방법별 주요엽채류의 생산단계에서 세척단계까지 미생물상의 변화 (Changes of Microbial Populations on Major Leafy Vegetables Cultivated by Different Methods from Production to Washing Stages)

  • 오소영;남기웅;윤덕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8-4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농법별 주요 엽채류의 생산단계에서 부터 수확된 농산물의 모의유통과 세척단계까지 동일 개체를 대상으로 미생물상의 변화를 비교하여 단계별 미생물적 안전성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생산 및 유통중 위생지표균 및 식중독 균의 검출량을 조사한 결과 호기성 세균을 제외한 조사대상 미생물은 발병량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생산단계에서 검출되지 않거나 낮은 수준이었던 위생지표균 및 식중독균의 검출량은 엽채류의 종류, 재배방법에 관계없이 생산단계보다 모의유통 중 증가하였으나, 세척단계에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산과정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미생물이 모의유통중 검출된 것은 수확후 처리과정 중 교차오염으로 예상되며, 생산단계에서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던 미생물의 증가는 유통과정 중 증식한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통단계에서는 저온유통시스템의 확대 적용과 운반도구 등에 대한 위생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Lactebacillus sp. GM731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Gram 음성균에 대한 작용형태 (Mode of Action of the Bacteriocan from Lactobacillus sp. GM7311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

  • 강지희;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9-143
    • /
    • 1999
  • Lactobacillus sp. GM731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작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양이 진행 중인 세 가지 시험균주의 TSB 배양액에 일정한 시간 간격별로 최종 농도 100 BU/ml가 되도록 박테리오신을 첨가한 후 그 균수 변화와 작용 특성을 살펴보았다. 시험 균주의 증식 시기별로 박테리오신을 첨가한 경우 Proteus mirabilis의 경우는 대수증식기 중기 이전까지의 지시균에 대해서 강한 억제작용을 보이는 반면, Vibrio parahaernolricus와 Escherichia coli는 첨가 시기 모두에서 급격한 균수 감소를 보였으며 다만 정지기에 있어서는 저해 효과가 적었다. 또한 박테리오신을 처리한 세 가지 시험 균주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Lactobacillus sp. GM731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시험 균주의 세포벽 파괴와 함께 세포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bacteriolytic action 형태를 보였다. 증식 시기별로 박테리오신을 첨가하여 각 균주별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증식시기를 선택해서 박테리오신을 처리한 후,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박테리오신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이 실험에서 아미노산의 경우는 세 균주 모두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방산은 크게 감소하는 성분은 없었지만 각 성분들의 함량이 대체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김치에서 젖산균의 선발 및 계수를 위한 선택배지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이명기;박완수;강국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54-760
    • /
    • 1996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젖산균 선택 배지와 변화시킨 배지 중에 김치 젖산균 분리를 위한 선택배지는 Enterococcus속과 Pediococcus속 선별에 KF Streptococcus 배지가, Lactococcus속 선별에 pH 지시약을 첨가한 M-17배지가, Lnctobacillus속 선별에 m-LBS 배지가, Leuconostoc선별에 PES-3 배지가 우수하였다.

  • PDF

실시간 정량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광산 배수의 수계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 of Mine Drainage on the Aquatic Environment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 한지선;서장원;지원현;박현성;김창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1-130
    • /
    • 2010
  •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 AMD)는 낮은 pH조건에서 중금속 및 황산염이온 등이 다량 용존되어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킨다. 국내의 폐광산 일부에서는 산성광산배수를 처리하기 위해 정화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나 여전히 주변 하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성광산배수 및 영향을 받는 하천에서 지표미생물의 특이적 유전자를 실시간 정량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time qPCR)을 이용하여 확인 및 정량함으로써 광산배수의 환경영향을 미생물학적으로 판단하고자 수행되었다. 지표 종으로 선정한 미생물은 16S rRNA 미생물 군집분석 결과 발견된 미생물 중 철환원균인 Rhodoferax ferrireducens T118, Acidiphilium cryptum JF-5이며 이 외에 기존에 광산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미생물 중 호산성 황환원균인 Desulfosporosinus orientus, 철산화균인 Leptosprillum ferrooxidans, 철 및 황산화균인 Acidothiobacillus ferrooxidans이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각 광산의 광산배수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비교하기 위해 광산배수로 인한 하천에서의 미생물 변동 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연구 대상 4개 광산 중 광산배수 처리시설이 없는 삼탄의 광산배수의 경우 주변 방류 하천으로의 미생물학적 환경영향이 가장 큰것으로 나타났다

시금치의 cook-chill 가공 중 오염지표균 및 병원성세균의 변화 (Changes of Indicator Microorganisms and Pathogenic Bacteria in Spinach during Cook-Chill Process)

  • 김혜정;박재갑;이동선;백현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927-930
    • /
    • 2002
  • 시금치를 한국 식단의 식자재로 사용하기 위해 cook-chill 가공과 sous vide 기술을 사용하였다. 시금치는 500 g 단위로 차단성 필름을 사용하여 진공포장하고 Listeria monocytogenes의 6D 사멸조건에서 저온살균하고 $3^{\circ}C$에서 급속히 냉각한 다음 $3^{\circ}C$$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품질을 측정하였다. 오염지표균은 중온성세균, 저온성세균, 혐기성세균, 내열성세균, 대장균군, 효모 및 곰팡이, Enterobacteriacea 및 분원성연쇄상구균을 측정하였다. 원료 시금치에서는 $2.2{\times}10^8\;cfu/g$로 높은 분포를 보였고, cook-chill 가공 후에는 $6.0{\times}10^3\;cfu/g$로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 동안 서서히 증가하였다. 저온성세균과 혐기성세균은 거의 같은 양상을 보였으며, 효모 및 곰팡이, 대장균군, 분원성연쇄상구균 및 Enterobacteriacea는 cook-chill 가공 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람음성의 병원성세균은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Plesiomonas shigelloides,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spp., Shigella spp., Yersinia enterocolitica, 그람양성균은 Bacillus cereus, Campylococcus spp.,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을 분리시험하였다. A. hydrophila는 수세한 시금치에서 분리되었으나, 원료 시금치와 cook-chill한 시금치에서는 분리되지 않았다. B. cereus와 C. perfringens는 원료 시금치, 수세한 시금치와 cook-chill 가공한 시금치에서 분리된 반면 S. aureus는 원료 시금치와 수세한 시금치에서만 분리되었다. 그 외의 다른 병원성세균은 cook-chill 과정에서 분리되지 않았다.

Effect of Reservoirs on Microbiological Water Qualities in a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

  • Lee Dong-Geun;Kim Sang-Jong;Park Seong-J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7호
    • /
    • pp.1060-1067
    • /
    • 200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servoirs on water quality and the distribution of pathogenic and indicator bacteria in a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 (total length 14km). Raw water, disinfected water, and water samples from the distribution system were subjected to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es. Most factors encountered at each season included residual chloride, nitrate, turbidity, and phosphorus for heterotrophic bacterial distribution, and hardness, heterotrophic bacteria, sampling site, and DOC (dissolved organic carbon) for bacteria on selective media. No Salmonella or Shigella spp. were detected, but many colonies of opportunistic pathogens were found. Comparing tap water samples taken at similar distances from the water treatment plant, samples that had passed through a reservoir had a higher concentra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a higher rate of colony formation with 10 times as many bacteria on selective media. Based on the results with m-Endo agar, the water in reservoirs appeared safe; however, coliforms and opportunistic pathogenic bacteria such as Pseudomonas aeruginosa were identified on other selective media. This study illustrates that storage reservoirs in the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 have low microbiological water quality by opportunistic pathogens, and therefore, water quality must be controlled.

경작지토양에서 미생물제제가 미생물의 다양성과 고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Soil Microbial Diversity and Growth of Red Pepper by Treated Microbial Agent in the Red Pepper Field)

  • 안창환;임종희;김요환;정병권;김진원;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0-38
    • /
    • 2012
  • 두 종의 Bacillus와 한 종의 Pseudomonas로 구성된 컨소시엄 미생물제제를 고추 경작지에 첨가하였을 때 경작지 토양의 미생물 다양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건전한 토양의 지표가 되는 질소순환관여 미생물과 근권토양 내 섬유소 분해기능, 인산가용화기능과 urea 가수분해기능을 가지는 기능성미생물의 활성과 밀도를 측정하였다. 고추 경작지 토양에 컨소시엄 PGPR 미생물인 B. subtilis AH18, B. licheniformis K11과 P. fluorescens 2112의 컨소시엄 미생물제제를 처리하여 토양미생물의 다양성에 변화를 측정하여 컨소시엄 미생물제제의 처리에 의한 근권토양 미생물의 다양성 변화와 고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컨소시엄 미생물제제 처리구의 경우 Actinomyces spp., Trichoderma spp., 광합성세균과 Azotobacter spp.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1.7-5배 이상 높았으며, 질소 순환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1.4-4배 증가되었다. 또한 기능성 미생물의 다양성도 화학제제나 물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1.3-3배 증가하였다. 건고추 수확량은 컨소시엄 미생물제제를 처리하였을 경우 대조구나 화학제제를 처리하였을 때보다 15%이상 수확량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PGPR 컨소시엄 미생물제제의 처리로 인해 고추 경작지 토양의 근권미생물 다양성과 작물의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메타지노믹스를 활용하여 미생물 다양성 변화를 추가적으로 확인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