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ex adjustment rating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제주도 내 하수관거정비 BTL사업의 GDP 디플레이터 방식과 지수조정률 방식과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GDP Deflator Method and Index Adjustment Rate Method on BTL Sewer Rehabilitation Projects in Jeju)

  • 양두석;이동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217-227
    • /
    • 2015
  • 본 연구는 건설투자 GDP (Gross Domestic Product) 디플레이터 방식의 물가조정이 이루어진 제주특별자치도 내 하수관거정비 BTL(Build-Transfer-Lease)사업에 대하여 물가변동률 적용에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GDP 디플레이터 방식의 기준지수는 고정값을 사용하며 매분기별 물가변동률이 반영되기 때문에 지수조정률 방식보다 물가변동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GDP 디플레이터 지수가 총사업비에 일괄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현실적인 물가를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GDP 디플레이터 방식의 기준지수가 고정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준이 되는 시점(정부고시일)이 물가조정에 매우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앉은 자세에서 힘 수준에 따른 상지관절 동작별 최대 수용 반복 빈도수 분석 (Analysis of Maximum Acceptable Frequencies for Upper Extremity Motions with Forces in a Seated Position)

  • 권오채;유희천;정기효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5-70
    • /
    • 2005
  • Evaluation of repetitiveness for upper extremity intensive tasks is essential to determine the level of risk for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at the workplace. However, experimental data available to establish the acceptable levels of repetitiveness for various postures and forc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aximum acceptable frequencies(MAFs; motions/min.) of shoulder, elbow, wrist, and index finger motions at different forces(1kgf and 4kgf for shoulder, elbow, and wrist; 0.25kgf and 1 kgf for index finger) in sitting. Seventeen right-handed males in 20s without having any history musculoskeletal disorders participated in the MAF experiment. The participants determined their MAFs for the upper extremity motions by using the self-adjustment method and their work pulse(increase in heart rate; beats/min.)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RPE) were measured when working at MAF. The MAFs of elbow, wrist, and index finger motions for each force level were about 2, 3, and 6 times the corresponding MAF(9 at the high force and 24 at the low force) of shoulder motion and the MAFs at the low force increased about 2 times those at the high force. The work pulses of elbow, wrist, and index finger motions for each force level were 70%, 50%, and 30% of the corresponding work pulse(17 at the high force and 12 at the low force) of shoulder motion and the work pulses at the low force were about 70 % of those at the high force. Lastly, the RPEs of the upper extremity regions were about level 3(moderate) or below.

우리나라 노인의 복부비만과 관련 요인 - 생활습관, 정신건강, 질환 및 영양소섭취 상태 중심으로: 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 (Abdominal Obesity and Associated Factors in the Elderly with a Focus on Health Habits, Mental Health, Chronic Diseases, and the Nutrient Intake Status: Data from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이혜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6권1호
    • /
    • pp.42-53
    • /
    • 2020
  • The relationship of abdominal obesity ("AO") with co-morbidity and mortality is well established. This study assess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AO, which was defined as a waist circumference ≥90 cm for men and ≥85 cm for women, in the group aged over 65 years. A total of 1,435 subjects were analyzed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tatistical methods for a complex sample were applied by using a SPSS program (ver. 25.0). AO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females.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eavy drinking (OR: 1.53), no weight training (OR: 0.68), stressful mental status (OR: 0.61), ba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EQ_5D, OR: 1.45), hypertension (OR: 2.18), prediabetes (OR: 1.94), diabetes (OR: 1.63), low HDL-cholesterol (OR: 1.86), anemia (OR: 0.55), and heavy energy intake (OR: 1.41)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revalence of AO after adjustment for gender. Heavy drinking (OR: 1.89), bad self-rating of health status (OR: 1.72), low HDL-cholesterol (OR: 1.85), heavy energy intake (OR: 1.79), low intake of riboflavin (OR: 1.60) were still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revalence of AO after adjustment for gender and body mass index (BMI), this study suggests that certain characteristics of health habits, mental health status, and chronic diseases may be associated with AO. This study did not establish the existence of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intakes, except for riboflavin, and risk of AO, but this study suggests that prospective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causal connections among those factors.

자폐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적응능력지각과의 관계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 ADJUSTMENT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WITH AUTISTIC CHILDREN)

  • 김태련;박랑규;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권1호
    • /
    • pp.106-116
    • /
    • 1992
  • 자폐아동을 치료교육하는 데 있어 부모의 치료협력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하게 대두되는 가운데, 특히 부모가 갖는 아동능력에 대한 지각은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아동부모와 정상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의 정도, 영역을 비교하고, 자폐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정도에 따른 아동적응능력 지각관계를 자폐아동 부모와 교사평가간의 비교를 통해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자폐아동부모 27쌍, 정상아동부모 28쌍, 교사 4명이며, 부모양육 스트레스척도, 아이버그 아동행동척도, 아동기 자폐행동척도, 사회성숙도검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양육스트레스정도는 자폐아동부모군이 정상아동 부모군보다 현저히 높았다. 둘째, 양육스트레스의 아동영역에서는 자폐아동의 부가 정서와 요구성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자폐아동의 모보다 스트레스가 높았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의 부모영역에서는 자폐아동부모가 정상아동부모보다 역할제한, 애착, 능력감면에서 스트레스가 훨씬 높았으며, 우울영역을 제외하고 두집단 모두 모가 더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다. 넷째, 자폐아동부모의 스트레스정도에 따른 아동능력지각에서 스트레스가 낮은 수준의 부모는 교사보다 아동능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높은 수준의 부모는 교사의 평가와 일치하고 있었다.

  • PDF

독거노인의 외로움과 수면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Lonelines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 최유정;이경규;이석범;김경민;김도현;이정재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68-176
    • /
    • 2020
  • 연구목적 외로움과 수면의 질 저하는 노인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외로움과 수면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외로움과 수면의 질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천안 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090명을 대상자로 시행되었다., 훈련된 간호사의 면담과 외로움 척도,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인구사회학적 정보, 신체 건강상태(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 CIRS), 인지기능, 단축형 노인우울척도 등의 자가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인구학적 변인과 외로움 척도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기술적 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외로움과 수면의 질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단변량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외로움군의 평균 PSQI 점수(9.2±4.2)는 정상군(7.3±3.7)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student-t test, p<0.001). 성별, 기분장애 및 상관분석에서 유의성을 보인 변수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에서 외로움은 전체 PSQI 총점(standardized β=0.065, p=0.025), 수면방해(standardized β=0.086, p=0.005), 수면제 사용(standardized β=0.065, p=0.034)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 론 외로움은 수면문제와 연관성을 보였으며 이는 독거노인의 수면의 질 저하에 외로움이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독거노인의 외로움을 줄이기 위한 개입은 수면의 질을 호전시키고 신체 및 정신 질환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외로움을 예방하고 줄일 수 있는 지역사회 기반의 보건복지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genicular nerve phenol neurolysis and radiofrequency ablation for pain management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 Gokhan Yildiz;Gevher Rabia Genc Perdecioglu;Damla Yuruk;Ezgi Can;Omer Taylan Akkaya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6권4호
    • /
    • pp.450-457
    • /
    • 2023
  • Background: Genicular nerve neurolysis with phenol and radiofrequency ablation (RFA) are two interventional techniques for treating chronic refractory knee osteoarthritis (KOA) pai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icacy and adverse effects of both techniques. Methods: Sixty-four patients responding to diagnostic blockade of the superior medial, superior lateral, and inferior medial genicular nerve under ultrasound guidan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P (2 mL phenol for each genicular nerve) and Group R (RFA 80℃ for 60 seconds for each genicular nerve).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and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WOMAC)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Results: RFA and phenol neurolysis of the genicular nerves provided effective analgesia within groups at 1 week, 1 month, and 3 months compared to baselin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NRS and WOMAC scores at all measurement times. At the 3rd month follow-up, 50% or more pain relief was observed in 53.1% of patients in Group P and 50% of patients in Group R. The rate of transient paresthesia was 34.4% in Group P and 6.3% in Group R, and th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P. Conclusions: Neurolysis of the genicular nerves with both RFA and phenol is effective in the management of KOA pain. Phenol may be a good alternative to RFA. Further studies are needed on issues such as dose adjustment to prevent transient paresthesia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