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ubation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643건 처리시간 0.031초

Rumen fermentation and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fed total mixed ration with Korean rice wine residue

  • Jeong, Chang-Dae;Mamuad, Lovelia L.;Ko, Jong Youl;Sung, Ha Guyn;Park, Keun Kyu;Lee, Yoo Kyung;Lee, Sang-Suk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1호
    • /
    • pp.4.1-4.7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dding Korean rice wine residue (RWR) in total mixed ration (TMR)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nd growth performance of growing Hanwoo steers. Methods: For in vitro fermentation,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Control (Con: 0 % RWR + TMR), Treatment 1 (T1: 10 % RWR + TMR), and Treatment 2 (T2: 15 % RWR + TMR). The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three Hanwoo steers and mixed with buffer solution, after which buffered rumen fluid was transferred into serum bottles containing 2 g dry matter (DM) of TMR added with or without RWR. The samples were then incubated for 0 h, 12 h, 24 h, or 48 h at $39^{\circ}C$ and 100 rpm. For the in vivo experiment, 27 Hanwoo steers (6 months old) with an average weight of $196{\pm}8.66kg$ were subjected to a 24-week feeding trial. The animals were randomly selected and equally distributed into three groups. After which the body weight, feed intake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pH of the treatments decreased significantly relative to the control during the 12 h of incubation. Total gas production and ammonia nitrogen ($NH_3-N$) was not affected by RWR addition. The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was lower after 24 h of incubation but at other incubation times, the concentration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s. Feed cost was 8 % and 15 % lower in T1 and T2 compared to control. Blood alcohol was not detected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otal weight gain and average daily gain were observed in Hanwoo steers fed with RWR. Conclusion: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MR amended with 15 % RWR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eed resource for ruminants to reduce feed cost.

한국산 전통 간장과 된장의 숙성중 aflatoxin의 변화와 그 특징-제1보. 경쟁 미생물(Bacillus subtilis)이 Aspergillu parasiticus의 성장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of Aflatoxins During the Ripening of Korean Soy Paste and Soy Sau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Part 1. Effect of Bacillus subtilis on the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spergillu parasiticus)

  • 김종규;노우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3-317
    • /
    • 1998
  • 본 연구는 한국 전통 된장과 간장 및 메주등에서 주된 상재균으로 나타나는 B. subtilli가 Aspergillus parasicus의 성장과 발암물질(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변형 APT 배지를 사용하여 $30^{\circ}C$에서 12일 동안 B. subtilis KCCM 11316과 Aspergillu parasiticus ATCC 15517를 단독 배양(대조군) 및 혼합 배양하고 그 성장과 배양물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관찰하였으며 HPLC에 의하여 aflatoxin을 분석하였다. 혼합 배양시에는 곰팡이의 건조 균체량이 배양 직후로부터 배양 말기에 이르기까지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 배양 말기에 단독 배양시보다 85.3% 감소되었다(p<0.01). Aflatoxin의 생성량도 배양 말기에 대조군에 비하여 50%이상 감소되었다(p<0.05). 이로부터 Bacillus subtilis는 메주 및 간장과 된장에 있어서 유해 곰팡이의 생육과 aflatoxin 생성을 주도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flatoxin 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는 곰팡이의 성장에 대한 억제 효과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메주 중에는 다른 발효 관련 세균들이 함께 존재하는 바, 이들에 의한 억제적 영향도 기대된다.

  • PDF

밤 발효사료 제조과정에서 미생물 첨가수준이 영양소 함량과 반추위 내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oculant Application Level on Chemical Compositions of Fermented Chestnut Meal and Its Rumen Fermentation Indices)

  • 김동현;주영호;이혁준;이성신;;최낙진;김삼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33-340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ffect of inoculant application level on chemical composition and bacterial count of fermented chestnut meal (FCM), and its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he inoculant contained Lactobacillus acidophilus ($1.2{\times}10^{10}cfu/g$), Bacillus subtilis ($2.1{\times}10^{10}cfu/g$),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2.3{\times}10^{10}cfu/g$). The chestnut meal mixed with molasses, double distilled water, and inoculant at 1 kg, 3 g, 480 mL, and 20 mL ratio for the basal chestnut meal diet. The double distilled water from basal chestnut meal diet was substituted with bacterial inoculant at a level of 0 (Control), 20 (Medium), and 40 mL (High) in the experimental diets. The mixed experimental diets were incubated at $39^{\circ}C$ for 7, 14, and 21 days, respectively. On 7 days of FCM incubation,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P) (quadratic, P=0.043) and neutral detergent fiber (quadratic, P=0.071) decreased by increases of inoculant application levels, whereas bacterial count (quadratic, P=0.065) and rumen $NH_3-N$ (linear, P=0.063) increased. By increases of inoculant application levels on 14 days of FCM incubation, the increases were found on dry matter (DM) (quadratic, P=0.085), CP (quadratic, P=0.059), acid detergent fiber (quadratic, P=0.056), in vitro DM digestibility (linear, P=0.002), rumen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linear, P=0.057), and rumen iso-butyrate (linear, P=0.054). However, the decreases were found on bacterial count (linear, P=0.002), propionate (linear, P=0.099), and butyrate (quadratic, P=0.082). On 21 days of FCM incubation, in vitro DM digestibility (linear, P=0.002) and total VFA (linear, P=0.001) increased by increases of inoculant application levels, whereas the contents of CP (quadratic, P=0.034) and neutral detergent fiber (quadratic, P=0.047) de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CM with a medium level of inoculant application and 14 of fermentation had beneficial effects by increasing DM digestibility and rumen total VFA content, without altering bacterial count.

하동 지역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미생물총 분포에 관한 정량 및 정성적 분석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of Commensal Bacterial Flora of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Hadong Area)

  • 김명석;박준효;하재이;허민도;허성회;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3-150
    • /
    • 1998
  • 바지락 조직과 주변 환경에 있는 세균의 특성과 분포를 여러 배지와 온도 그리고 생화학적 동정 kit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장내, 갯벌, 아가미 그리고 외부체액에 있는 미생물의 집락수는 사용한 BHIA, STA 그리고 SNA 배지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5^{\circ}C$ 배양조건에서의 증식속도는 $25^{\circ}C$$35^{\circ}C$의 조건에 비해 느린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 세균 집락수는 $15^{\circ}C$에서의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양배지에서 자란 세균집락을 무작위적으로 선택배지에 옮기면 조직 시료를 직접 도말 한 경우에 비해 높은 비율로 집락형성을 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API 20E와 API 20NE를 사용하여 각 장기 또는 외부에 있는 세균의 종류를 동정한 결과 바지락 조직간에는 서로 유사한 종의 분포를 보이나 주위 환경이 되는 갯벌이나 외부체액에 있는 미생물군의 종류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바지락 주위의 갯벌이나 외부체액의 미생물군은 Pseudomonas 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조직내의 미생물군에 비해서 훨씬 높은 다양성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바지락 조직이 주위 환경중의 세균에 대한 선택적 친화력이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느타리버섯의 액체종균 배양 조건과 생육 특성 (Culture conditions of liquid spawn 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ostreatus)

  • 이수정;김훈환;김선호;김인수;성낙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2-170
    • /
    • 2018
  • 느타리버섯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액체종균 배양액의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Potato dextrose 배양액에서 균체 생장을 위한 최적 pH는 6이었다. 대두박 0.3%와 설탕 및 포도당 함량을 달리한 15가지의 배양액('A'~'O')은 $22^{\circ}C$ 및 pH 6의 조건에서 14일동안 배양되었을 때 설탕과 포도당이 각각 함유된 배양액에서 흡광도는 증가되었다. 특히 5~20%의 포도당만 함유된 배양액('C', 'D', E' 및 'F')은 배양기간의 경과에 따라 흡광도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배양액의 건조 균체량은 20%이하의 설탕이나 포도당이 단독으로 함유된 배양액에서 감소되었으나, 30%의 설탕('A') 또는 포도당 ('B')이 각각 함유된 배양액에서 건조 균체량은 증가되었다. 1100 mL의 톱밥배지 병재배 시 액체종균의 최적 접종량은 15~20 mL이었다. 고체종균 및 액체종균으로 느타리버섯을 재배하여 조직감을 비교한 결과 고체종균에 비해 액체종균으로 재배된 버섯에서 우수한 경향이었다.

유기염소계 난분해성 산업폐수의 처리를 위한 미생물제제의 개발 (Development of Microbial Augmentation for the Treatment of Recalcitrant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ing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 이현돈;임성원;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887-894
    • /
    • 2014
  • 유기염소계 난분해성 산업폐수처리에 효과적인 미생물제제 개발을 위하여 PCP (pentachlorophenol)와 TCE (trichloroethylene) 등과 같은 유기계 염소화합물이 오염되어있는 토양 및 산업폐수로부터 PCP 분해활성이 높은 GP5, GP19와 TCE 분해활성이 높은 GA6, GA15를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균주 GP5, GP19, GA6, GA15등은 Acetobactor sp., Pseudomonas sp., Arthrobacer sp., Xanthomonas sp.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최종적으로 Acetobacter sp. GP5, Pseudomonas sp. GP19, Arthrobacer sp. GA6, Xanthomoas sp. GA15로 명명하였다. 유기염소계 산업폐수의 처리를 위한 복합미생물제제 OC17은 PCP와 TCE를 분해하는 4개의 분리 분리균주와 방향족화합물 분해균주인 Acinetobacter sp. KN11, Neisseria sp. GN13의 배양액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복합미생물제제 OC17은 $2.8{\times}10^9CFU/g$의 균체수를 갖고 있으며, 밀도는 $0.299g/cm^3$, 수분함량은 26.8%를 나타내었다. 복합미생물 제제 OC17은 PCP 500 mg/l가 포함되어있는 인공폐수를 이용한 실험에서 배양 65시간에 87%의 분해효율을 나타내었고, TCE (300 uM)의 분해효율은 배양 50시간에 90%의 분해효율을 나타내었다. 복합미생물제제 OC17을 이용한 유기 염소계 산업폐수의 처리효율 시험을 위한 연속배양 실험 에서 10일간 처리 하였을 때 91%의 COD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Essential oil mixture on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 an in vitro study

  • Kim, Hanbeen;Jung, Eunsang;Lee, Hyo Gun;Kim, Byeongwoo;Cho, Seongkeun;Lee, Seyoung;Kwon, Inhyuk;Seo, Jakyeo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6호
    • /
    • pp.808-814
    • /
    • 2019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sential oil mixture (EOM) supplementation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hanges in an in vitro. Methods: Thre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used: control (CON, no additive), EOM 0.1 (supplementation of 1 g EOM/kg of substrate), and EOM 0.2 (supplementation of 2 g EOM/kg of substrate). An in vitro ferment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strained rumen fluid for 12 and 24 h incubation periods. At each time poin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IVNDFD), pH, ammonia nitrogen ($NH_3-N$), and volatile fatty acid (VFA) concentrations, and relative microbial diversity were estimated. Results: After 24 h incubation, treatments involving EOM supplementation led to significantly higher IVDMD (treatments and quadratic effect; p = 0.019 and 0.008) and IVNDFD (linear effect; p = 0.068) than did the CON treatment. The EOM 0.2 supplementation group had the highest $NH_3-N$ concentration (treatments; p = 0.032). Both EOM supplementations did not affect total VFA concentration and the proportion of individual VFAs; however, total VFA tended to increase in EOM supplementation groups, after 12 h incubation (linear; p = 0.071). Relative protozoa abundance significantly increased following EOM supplementation (treatments, p<0.001). Selenomonas ruminantium and Ruminococcus albus (treatments; p<0.001 and p = 0.005), abundance was higher in the EOM 0.1 treatment group than in CON. The abundance of Butyrivibrio fibrisolvens, fungi and Ruminococcus flavefaciens (treatments; p<0.001, p<0.001, and p = 0.005) was higher following EOM 0.2 treatment. Conclusion: The addition of newly developed EOM increased IVDMD, IVNDFD, and tended to increase total VFA indicating that it may be used as a feed additive to improve rumen fermentation by modulating rumen microbial communities. Further studies would b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detailed metabolic mechanism underlying the effects of EOM supplementation.

극지 식물플랑크톤의 유색 용존 유기물의 생산과 광반응성에 대한 자외선 영향 (UV Effects on Production and Photoreactivity of Chromophoric Dissolved Organic Matter in Media of Polar Marine Phytoplanktons)

  • 박미옥;하선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12-720
    • /
    • 2022
  • 본 연구는 극지 식물플랑크톤의 자외선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Phaeocystis antarctica와 Phaeocystis pouchetii를 대상으로 유색 용존 유기물의 생산과 광반응성을 평가하였다. 강한 자외선에 노출 배양 시, 가시광선 파장대에서 유색 용존 유기물의 흡광도는 두 식물플랑크톤 모두 배양 초기에 비해 48시간 동안 감소하였다. 반면, 자외선 파장에서는 P. antarctica는 48시간 배양 후, 유색 용존 유기물의 흡광도는 초기 농도에 비해 약 30% 감소하였지만, P. pouchetii의 흡광도는 오히려 10%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들은 강한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P. antarctica이 생산한 유색 용존 유기물은 광분해에 의한 감소로 인해 해수 중 수중 생태계에 자외선 차단 효과는 감소하는 반면, P. pouchetii가 생산한 유색 용존 유기물에 의한 광보호 효과가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외선 영향 하에서 배양된 P. pouchetii의 배양액에서 시간에 따라 증가한 유색 용존 유기물의 형광 특성이 지구 거대물질로 알려진 humic-like (C-peak)와 일치하여, 이는 자외선 차단 물질로 알려진 MAAs 생물 생산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후변화에 의한 성층화가 강화되는 극지 해양환경에서, 광반응성이 낮은 P. pouchetti가 용존 유기물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 of Total Mixed Ration with Fermented Feed on Ruminal In vitro Fermentation,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Kim, S.H.;Alam, M.J.;Gu, M.J.;Park, K.W.;Jeon, C.O.;Ha, Jong-K.;Cho, K.K.;Lee, S.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2호
    • /
    • pp.213-223
    • /
    • 2012
  •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total mixed ration with fermented feed (TMRF) and total mixed ration (TMR) by rumen in vitro fermentation and their effect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In experiment 1, three Hanwoo steers ($600{\pm}47$ kg), each permanently fitted with a ruminal cannula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ree diets designated as T1, TMRF (18.4% fermented feed, tall fescue, mammoth wild rye forage and whole crop barley); T2, TMRF (17.7% fermented feed, rice straw and whole crop barley); and T3, TMR (rice straw, whole crop barley and probiotics, but no fermented feed), which were subjected to rumen in vitro fermentation for 48 h.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DM disappearance rate gradually increased with advancing fermentation time, but T1 and T2 were higher than the T3 (p<0.05) from 3 h to 12 h, but insignificant (p>0.05) at 24 and 48 h. None of the specific VFAs were affected except for acetic and non volatile lactic acids, which were produced more in T2 than in T1 and T3 at 24 h and 48 h of incubation. A/P was lower in T1 and T2 than inT3 at 24 h (p<0.05) and 48 h (p>0.05) of incubation.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MRF-related treatment shows a superior performance to that of TMR during the ruminal fermentation period. In experiment 2, the three diets in experiment 1 plus 1 more control diet (concentrates, probiotics and 2% rice straw of body weight) were fed to the 48 Hanwoo steers ($160{\pm}10$ kg) for a period of 168 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daily and total live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higher (p<0.05) in the TMRF and TMR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SGOT, SGPT and BUN (p<0.05) were reduced in TMRF relative to the control and TMR groups by 168 d which confirmed that TMRF shows better blood profiles than the TMR and control groups. Overall, these results appear to show that TMRF has better in vitro ruminal characteristics than those of TMR;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profiles were also found to be superior in TMRF than in the TMR and control groups. Thus, our findings suggest that TMRF-based feed supplies are favorable for Hanwoo cattle.

Bacillus sp. SH-8과 Bacillus sp. SH-8M의 생육 및 배양 특성에 미치는 pH의 영향 (Effect of pH on Growth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 SH-8 and Bacillus sp. SH-8M)

  • 심창환;신원철;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1-376
    • /
    • 1992
  • Bacillus sp. SH-8은 pH 9.0 이상에서 생육이 가능하였고 pH 7.7 이하에서는 배양 12시간부터 O.$D_{550}$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생균수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Bacillus sp. SH-8M은 pH7.7에서 생육이 가능하였고 pH6.9에서도 약간 생육속도가 늦었으나 정상적인 생육을 나타내었다. 고체배지의 생육 양상도 액체배지에서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균주의 형태는 pH 10.2에서 두 균주 모두 단간균위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pH7.7에서는 Bacillus sp. SH-8 균주만이 장간균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균체외 pH는 초기 10.2일 때 두 균주 모두 배양 28시간 후에는 9.0이었고 초기 pH 9.0와 9.6에서는 배양초기에 pH가 저하되었다가 12시간 후부터 상승하였다. 한편, Bacillus sp. SH-8M은 초기 pH 6.9와 7.7일때 배양시간에 따라 균체외의 pH가 8.0과 8.7로 상승하였으나 Bacillus sp. SH-8은 배양 12시간 이후에도 7.0으로 일정하였다. 포자형성능은 Bacillus sp. SH-8과 Bacillus sp. SH-8M 모두 배양 3일 후, 초기 pH 10.2일 때 각각 95%와 85%로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