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lined Plane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3초

익산 왕궁리유적 후원(後苑)의 조성 시설에 관한 고찰 (Perspectives on the Composition Facilities of The Royal Garden at Wanggung-ri site, Iksan)

  • 최문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
    • /
    • 2014
  • 본고의 검토는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조사된 후원 조사 결과로서, 후원을 조성하고 있는 시설들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백제 사비기에 조성된 궁성 유적인 익산 왕궁리유적의 정원시설과 후원에 대한 조사 결과를 통해 백제의 궁내원에 대한 연구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익산 왕궁리유적의 후원을 구성하는 시설은 1) 석축시설, 2) 도수시설 : 환수구(동 서 북측 및 출수구 암거시설 등 출수시설) 및 곡수로(1~6 및 집수시설), 3) 방형초석 건물지로 나눌 수 있다. 본고에서는 후원 시설들의 조성과 배치에 대한 조사 결과를 정리하여 백제 사비기 도성에서의 궁원의 원형 복원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석축시설은 물의 집수 혹은 경계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말각장방형석축시설은 이음부를 통해 환수구까지 물이 이동하였던 것으로 생각되며 조경, 집수 및 도수의 역할을 복합적으로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위의 두 시설은 궁성이 조성될 때 후원의 대표적인 시설이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서사면의 석렬시설은 아래쪽에 위치하는 공방시설 등에 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환수구 역시 동측궁장(성벽)과 북측궁장(성벽), 서측 경사면 아래쪽을 경계짓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다. 환수구는 물을 집수 혹은 치수하는 역할을 하였고, 동시에 관상을 위한 조경의 역할도 담당하였던 것이다. 백제~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동안 환수구는 물에 의한 내부 퇴적의 진행이 이루어지며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환수구 내부가 완전히 퇴적된 시기에, 환수구와 동일한 필요성으로 서측 경사면에 곡수로가 새롭게 조성되었다. 구릉정상부의 방형초석 건물지는 주변의 백제 기와무지 등의 존재를 통해 백제 사비기에 처음 조성되어 이후 개축을 거치며 방형의 초석이 설치된 건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상악골 급속확장술식 전후 두경부 자세와 설골위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head posture and hyoid bone position before and after rapid maxillary expansions)

  • 배현철;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69-584
    • /
    • 1997
  • 본 연구는 상악골 급속확장술식 후 호흡변화와 연관된 두경부 자세의 변화와 이에 따른 설골 위치 변화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평균연령이 12세 9개월이고 Hellman stage IIIc에서 adult stage까지의 인두강이 정상적이며 상악골 급속확장술식을 시행 한 Angle씨 III급 골격 양상의 남녀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중 상악골 급속확장술식 시행 후 두경부각도가 증가된 군을 A군으로, 감소된 군을 B군으로 분류하였고 대조군은 연구대상과 동일한 Hellman stage이며 평균연령 12세 7개월의 Angle씨 I급 골격양상을 띠는 남녀환자 23명으로 이들을 C군으로 하여 골격양상과 인두강크기, 두경부 자세, 설골 위치에 대한 항목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양상과 인두강 비교 1) A, B군의 치료 전후 비교에서, 두 군 공히 하악이 하방경사되었고 인두강 크기는 변화가 없었다. 2) 세 군간의 치료 전후를 각각 비교한 결과, A, B군의 PMV에 대한 골격 양상과 인두강 크기는 정상이었다. 2. 두경부 자세 비교 1) A, B군의 치료 전후 비교에서, A군에서는 두경부 각도가 상방으로 B군은 두경부 각도와 하악하연이 하방으로 경사됨을 보였다. 2) 세 군간의 치료 전후를 각각 비교한 결과, 치료전에 두경부 각도가 A군은 정상적이었으며, B군은 정상보다 상방 경사짐을 보였다. 치료후에는 A, B군 모두 정상적인 두경부각도를 보였다. 3. 설골 위치 비교 1) A, B군의 치료 전후 비교에서, 두 군 공히 설골장축 각도의 변화가 없었고 전후방적으로 A군은 설골이 후방위치 되었으며 B군은 변화가 없었다. 수직적으로는 A군의 APHFH가 증가되었을 뿐 나머지 항목에서는 두 군 모두 변화가 없었다. 2) 세 군의 치료 전후를 각각 비교한 결과, 설골장축 각도는 A, B군 모두 정상적이었으며, 전후방적으로 치료전에 A군이 B, C군보다 설골이 전방에 위치되었으나 치료후에는 A, B군 공히 정상적 위치였었다. 설골의 수직적 위치는 치료 전후에 A, B군 모두가 정상적이었다.

  • PDF

사면에서 토석류와 소단폭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Berm Width and Debris Flow at the Slope)

  • 김성덕;오세욱;이호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1호
    • /
    • pp.5-1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토석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산지에 소단을 설치하였을 경우 산지 하류에서의 토석류의 거동과 메카니즘을 측정하는 것이다. 수치모델은 질량보존 및 운동량 보존에 관한 방정식에 기초하여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토석류 거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3가지 형태의 소단을 갖는 사면과 직선 사면에서의 토석류 변화를 비교하였다. 우선 하류단에서 소단폭의 길이 변화에 따른 직선 사면과 소단을 갖는 사면에 대한 유량과 토사체적 농도를 조사하였고, 공급유량 변화에 따른 소단을 갖는 사면에서의 유량과 토사체적 농도를 조사하였다. 소단을 갖는 수로에서는 소단폭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소단으로 인해 토석류가 저유량 형태로 나타났으며, 고유량의 요동분포의 지속시간이 줄어들었다. 이는 소단이 토석류를 지연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을 발견하였다. RMS비 비교 결과 소단을 갖는 사면이 직선 사면보다 유량이 적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토사체적농도의 경우 소단폭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변곡점이 나타나지 않고 완만한 형태의 그래프를 나타냈으다. 또한, 저농도의 토사와 물이 혼합되어 하류부로 유하하기 때문에 하류부에서의 토석류에 의한 피해를 저감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토석류 재해 예측 및 다양한 대책을 세우는 데 좋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척수손상 백서에서 서방형 성장호르몬의 투여가 신경회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stained Release Growth Hormone in the Repair of Neurological Deficits in Rats with the Spinal Cord Injury)

  • 김민수;허정;권용석;이근철;김석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235-242
    • /
    • 2008
  • Purpose: Due to increasing interest in the treatment of spinal cord injuries, many histopatholog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ove that many neurotrophic factors including growth hormone are important for regeneration of the injured spinal cord. Growth hormone has to be given everyday, however, and this negatively affects compliance in clinical trials. Recently, the invention of sustained release growth hormone (SRGH) that can be given just once a week may both help the regeneration of injured spinal cord and, at the same time, be more compliant and convenient for clinical patients. Methods: In this study, thirty 7-week-old female Spraque-Dawley rats were subjected to a weight-driven impact spinal cord injury.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Group I and II were injected with SRGH once a week for 4 weeks; Group I were injected into the injured spinal cord area, while Group II were injected into the peritoneal cavity. Meanwhile, Group III were injected with normal saline solution. The functional outcome was evaluated using the Basso-Beattie-Bresnahan motor rating score and the inclined plane test was done 4 weeks after the first injecti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a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the amount of residual white matter was measured in all groups. Results: After 4 weeks, Groups I and II showed greater improvement than Group III(the control group) in the functional test. In the control group, invasion of atypical phagocytes, axonal degeneration, edema and cavity formation in the posterior site of spinal cord gray matter was observed in histopatholgical examination. The rate of residual white matter in Group III was less than in the other groups. Conclusion: Data showed significant functional and histopathological improvement in the groups treated with SRGH into the spinal and peritoneal cav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RGH is therefore beneficial because it helps with regeneration of the injured spinal cord and improves the compliance and convenience of patients.

제주도 신양리층의 연안퇴적환경 (Neaushore sedimentary environments of the Sinyangri Fornation in Cheju Island, Korea)

  • 한상준;윤호일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
    • /
    • 1987
  • 신양리층은 제주도 성산반도 주변에 발달된 층으로 주로 화산쇄설물, 현무암 역, 패각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퇴적구조, 주직 및 퇴적물의 성분을 중심으로 암상 을 분류한 결과위로 가면서 평행층리 사암상(I), 역암상(II), 사층리 사암상(III)으 로 구분되었다. (암상 I)은 조립질 박층과 세립질 박층이 규칙적으로 반복 교호하 는 쇄기모양 및 평행층리를 보여주며 이는 foreshore 퇴적환경의 특징적인 퇴적구조 이다. 본 암상의 입자들을 다른 두 암상에 비해 양호한 원마도와 분급도를 보이며 부분적으로 역분급층리를 보인다. (암상 II)는 clast-supported하고 매우 불량한 분 급도의 현무암 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앙리해변을 따라 연속되어 노출되어 있 다. 역 사이의 공간을 주로 화산쇄설물과 원마도가 양호한 소량의 패각쇄설물로 채 워져 있다. 현무암 역의 크기 감소뿐만 아니라 최대 층후도 남쪽(신양리)으로 가면 서 줄어든다. 이 암상 하부에 는 직 하부의 (암상 I)로부터 기원한 커다란 판상의 역이층리면에 평행하게 누워 있으며 역의 크기는 다양하고 불규칙하며 어떤 지역적 인 방향성을 보이지 않는다. 이는 원지(in-situ) 침식잔류 역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무암역은 해수면의 상대적인 상승으로 인한 해빈잔류역으로 이역들을 부분적으로 연안류와 파랑에너지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암상 II)의 상부에 발달한 남쪽으로 경사하는 사층리는 연안류의 존재와 방향을 알려준다. (암상 III)은 세립내 지 중립사 크기의 주로 화산쇄설물로 이루어진 암상으로 상부 내해안(upper shoref ace)의 특징인 육지와 바다쪽으로 경사하는 bidirectional trough cross-stratification 과 파랑물결구조가 나타난다. 전반적으로 신양리층은 foreshore에서 상부내해안에 이르는 환경에서 퇴적되었으며 (암상 I)과 (암상 II)사이에는 소규모의 부정합이 존재한다.

  • PDF

경상북도 북후면-평은면 지역에 발달된 예천전단대의 구조적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Yecheon Shear Zone in the Pukhumyeon-Pyeongeunmyeon area, Gyeongsangbukdo, Korea)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저항 성분 분해 (Decomposition of Shear Resistance Components in Reinforced Concrete Beams)

  • 이창신;신근옥;김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819-82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휨과 전단에 지배받는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아치작용에 의한 전단기여성분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해석 모델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새로운 모델은 전단력은 휨모멘트의 변화율이라는 관계식을 기초로, 분산트러스 이상화 기법을 이용하여 횡단면에서 베르누이(Bernoulli) 휨 평면으로부터 전단변형적합조건을 새롭게 유도하였으며, MCFT와 분산트러스 이상화를 통해 전단흐름에 의한 복부전단요소의 전단곡률을 일치시키는 전단변형적합조건을 수립하였다. 전단변형적합조건을 이용하면, 보 전단거동은 타이드아치작용과 보작용의 두 성분으로 수치적 분해 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접근법의 유효성은 기존 문헌에 수록된 활용 가능한 실험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수행 결과 실제 측정 전단강도와 비교하였을 때 복부가 분담하는 전단강도는 훨씬 일정하며, 역학적 복부철근비와 훌륭한 선형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해석 모델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수나 메커니즘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겠다.

Effect of Stem Cell Transplantation on Pain Behavior and Locomotor Function in Spinal Cord Contusion Model

  • Park, Hea-Woon;Kim, Su-Jeong;Cho, Yun-Woo;Hwang, Se-Jin;Lee, Won-Yub;Ahn, Sang-Ho;Jang, Sung-Ho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3호
    • /
    • pp.79-85
    • /
    • 2010
  • Purpose: Many trials for new therapeutic approaches such as stem cell-based transplantation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repair and regeneration of injured cord tissue and to restore functions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CI) in animals and humans. Adipose tissue-derived stromal cells (ATSCs) have multi-lineage potential to differentiate into cells with neuron-like morphology. Most studies of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rapy after SCI are focused on cellular regeneration and restoration of motor function, but not on unwanted effects after transplantation such as neuropathic pain. This study was focused on whether transplantation of ATSCs could facilitate or attenuate hindpaw pain responses to heat, cold and mechanical stimulation, as well as on improvement of locomotor function in a rat with SCI. Methods: A spinal cord injury rat model was produced using an NYU impactor by dropping a 10 g rod from a height of 25 mm on to the T9 segment. Human ATSCs (hATSCs; approximately $5{\times}10^5$ cells) or DMEM were injected into the perilesional area 9 days after the SCI. After transplantation, hindpaw withdrawal responses to heat, cold and mechanical allodynia were measured over 7 weeks. Motor recovery on the Basso, Beattie, and Bresnahan (BBB) locomotor rating scale and on the inclined plane test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increased hindpaw withdrawal responses to cold allodynia was observed in both groups after transplantation, but the development of cold-induced allodynia in the hATSC transplant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locomotor functional improvement after SCI was also significant. Conclusion: Careful consideration not only of optimal functional benefits but also of unintended side effects such as neuropathic pain is necessary before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rapy after SCI.

국지지역에서의 안전운전 지원을 위한 경보정보 설계 (Amber Information Design for Supporting Safe-Driving Under Local Road in Small-scale Area)

  • 문학룡;류승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38-48
    • /
    • 2010
  • 이상기후는 도로교통 사고 위협요소로써 빈번하게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도로교통에서 기상변화 또는 재해에 의한 영향은 장대교량, 터널, 사면 및 결빙 지역에서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 대한 관심 있는 관리가 필요하며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도 집중적인 도로 관리와 도로 기상 정보 제공 및 조기 경보, 도로 순찰, 교통통제와 같은 요소들이 필요하다. 도로의 눈과 결빙은 제설로 위험을 줄일 수는 있으나, 강풍은 피할 수 없는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기상 정보와 기후, 재해 정보를 활용하여 국지 지역에서 안전운전을 위한 경보 정보를 설계를 하고자 한다. 극한 기상에 노출된 운전자를 위한 최상의 경보 정보 설계는 도로 상황 감시 개선, 도로 기상정보 감시, 정확한 사용자 정보전달들이 될 것이며, 또한 바람 및 재해 상황에 대한 통계, 표면 조건 통계, 차종 및 차종에 따른 바람에 의한 사고 통계와 조기 경보 정책과 교육들도 이를 위해서는 수반되어야 할 요소들이다.

KLAM_21을 활용한 바람생성기능 평가분석 연구 -대구시를 대상으로- (A Study on Evaluation Analysis of Wind Formation Function using KLAM_21 -The Case of Daegu City-)

  • 류지원;정응호;김대욱;차재규;손경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5-92
    • /
    • 2008
  • 본 연구는 KLAM_21을 활용한 바람형성기능 평가분석에 관한 연구로서 대구시를 사례대상지로 실제 도시공간상에서 지형조건과 토지이용에 따라 어떻게 바람이 유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신천상류 가창골 일대의 계곡과 주변산지 경사면에서 형성된 찬공기는 신천상류를 따라 북쪽으로 유동되어 확장되고 있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찬공기의 양과 높이 그리고 유속 및 방향 등에 있어서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이 지역의 공간적 특성이 찬공기가 생성되고 유동하는데 있어서 매우 양호한 조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앞산공원지역에서는 앞산공원일대를 가로지르는 고가도로와 바람의 유동을 방해하는 대규모의 아파트단지 밀집, 그리고 공원내의 건축물 등의 도시개발의 행위로 인하여 찬공기의 생성 및 유동이 크게 방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찬공기의 양과 높이에 있어서도 미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바람길의 공간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바람길생성의 기본 형태인 찬공기 형성 및 유동, 그리고 찬공기 축적 및 유지지역이 공간적으로 연계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간적 연계는 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