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P (001)

검색결과 18,233건 처리시간 0.043초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 김윤아;김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32-338
    • /
    • 2016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을 조사하여, 심리적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B시와 G시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145명으로 2016년 2월 1일~3월 10일까지 외상 후 성장, 사건 충격척도, 외상적 반추, 자아존중감, 적응유연성을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은 평균 29.64점이고, 여성인 경우, 종교가 있는 경우, 외상적 반추 및 적응유연성의 점수가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의 점수가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적응유연성, 긍정적 자존감, 의도적 반추로 설명력은 총 54.2%(F=29.36,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과 적응유연성 및 긍정적 자존감을 촉진하고, 외상적 반추를 활성화하는 중재가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인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인터넷 사용시간 및 음주량의 매개효과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바탕으로- (A Convergent Study of Mediating Effect of Time Spent on Internet Use and Amount of Alcohol Drinking in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Stress on Suicidal Thoughts -Based on 2019 Adolescent Health Behavior Survey-)

  • 남은주;손애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77-86
    • /
    • 2021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인터넷 사용 및 음주의 매개 역할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부·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가 공동으로 실시한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자살생각 여부에 대한 복합설계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주관적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지 않는다'는 학생에 비해 '많이 느낀다'(OR:5.607, 95%CI:5.077-6.191)는 학생이 자살 생각을 유의하게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량의 경우 최근 30일 동안 술을 마신 적이 없는 학생에 비해 소주 2병 이상(OR:2.325, 95%CI:1.928-2.803), 소주 1병~2병 미만(OR:1.791, 95%CI:1.539-2.083), 소주 5~6잔(OR:1.795, 95%CI:1.425-2.261), 소주 3~4잔(OR:1.412, 95%CI:1.159-1.720), 소주 1~2잔(OR:1.545, 95%CI:1.325-1.802)이라고 답한 학생들이 자살 생각을 유의하게 더 많이 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인지와 자살 생각 여부의 관계에서 인터넷 사용시간과 음주량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러므로 청소년의 자살문제에 인터넷 사용이 자살 생각에 매개를 하므로 이를 고려한 중재프로그램이나 메시지 개발이 필요하다.

Addition of 2 mg dexamethasone to improve the anesthetic efficacy of 2% lidocaine with 1:80,000 epinephrine administered for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to patients with symptomatic irreversible pulpitis in the mandibular molars: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 Aggarwal, Vivek;Ahmad, Tanveer;Singla, Mamta;Gupta, Alpa;Saatchi, Masoud;Hasija, Mukesh;Meena, Babita;Kumar, Umesh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4호
    • /
    • pp.305-314
    • /
    • 2022
  • Introduction: This clinical trial aimed to evaluate the anesthetic effect of the addition of 2 mg (4 mg/ml) of dexamethasone to 2% lidocaine (plain or with 1:80,000 epinephrine). The solutions were injected for a primary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ANB) to provide mandibular anesthesia for the endodontic treatment of mandibular molars with symptomatic irreversible pulpitis. Methods: In a double-blinded setup, 124 patients randomly received either of the following injections: 2% lidocaine with 1:80,000 epinephrine, 2% lidocaine with 1:80,000 epinephrine mixed with 2 mg dexamethasone, or plain 2% lidocaine mixed with 2 mg dexamethasone, which were injected as a primary IANB. Ten minutes after injection, patients with profound lip numbness underwent electric and thermal pulp sensibility tests. Patients who responded positively to the tests were categorized as "failed" anesthesia and received supplemental anesthesia. The remaining patients underwent endodontic treatment using a rubber dam. Anesthetic success was defined as "no pain or faint/weak/mild pain" during endodontic access preparation and instrumentation (HP visual analog scale score < 55 mm). The effect of the anesthetic solutions on the maximum change in heart rate was also evaluated. The Pearson chi-square test at 5% and 1% significance was used to analyze anesthetic success rates. Results: The 2% lidocaine with 1:80,000 epinephrine, 2% lidocaine with 1:80,000 epinephrine mixed with 2 mg dexamethasone, and plain 2% lidocaine mixed with 2 mg dexamethasone groups had anesthetic success rates of 34%, 59%, and 29%,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dexamethasone resulted in significantly better results (P < 0.001, 𝛘2 = 9.07, df = 2). Conclusions: The addition of dexamethasone to 2% lidocaine with epinephrine, administered as an IANB, can improve the anesthetic success rates during the endodontic management of symptomatic mandibular molars with irreversible pulpitis.

중학생의 배려심·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한 비주얼 씽킹 활용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Using Visual Thinking to Improve Caring Abilit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Revised in 2015)

  • 고지원;박선성;김서현;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3-166
    • /
    • 2022
  • 본 연구는 중학생의 배려심 및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해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과 안전'영역의 '청소년기의 영양과 식행동, 식사의 계획과 선택'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ADDIE 모형을 바탕으로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은 비주얼 씽킹을 활용하여, 배려와 감사의 마음 기르기, 가족에 대한 배려, 다문화 가족에 대한 이해와 배려, 사랑의 도시락 만들기의 주제로 총 5차시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중학교 3학년(교육군 34명, 비교육군 35명)을 대상으로 적용되었고, 수업 전·후 교육군과 비교육군의 배려심 및 다문화수용성의 차이를 대응표본(paired t-test)을 통해 비교하였다. 식생활 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교육군의 배려심 하위영역인 식생활,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배려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1), 다문화수용성 하위영역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비교육군의 배려심 및 다문화수용성 사전-사후 평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식생활 교육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배려심 및 다문화수용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음을 시사한다.

정보통신기술이 문화와 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홉스테드 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s impact on Culture and Management: Focusing on Hofstede's Cultural Dimension)

  • 김학조;이지석
    • 무역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1-116
    • /
    • 2016
  •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국가 단위의 연구에서 최근 데이터인 정보통신연합과 세계경제포럼의 기술변수를 사용하여 이러한 변수들이 인간의 문화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실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개인주의 문화차원의 경우에 정보통신기술이 B값 0.603, 유의수준 ***p<0.001로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특히 인터넷과 매스미디어의 발전은 공적인 업무나 예약 송금업무 등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마우스 클릭 한번으로 처리가 가능한 시대적 배경이 개인주의 수준을 높이는 결과를 만들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권력거리의 경우에 선행연구에서 개인주의 수준과 권력거리와의 관계는 부(-)의 유의미한 결과가 있다는 것을 이미 증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장기지향성의 경우에는 동양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처음에는 산업혁명을 통한 기술의 발전이 서구 중심적이었다면 이후 한국, 중국, 싱가포르, 대만 홍콩의 눈부신 발전은 서양적 사고에서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일대 중대한 사건이다. 이러한 국가들은 유교적 문화권에 있는 국가들이다. 또한 높은 기술수준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유교적 가치인 장기지향성문화에 정(+)의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 PDF

고등학생의 진로상담 교육과 진로체험 교육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 (Effect of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High School Students)

  • 백주경;천준협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0-51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지역 고등학생 568명을 임의 선정하여 학교 진로교육(진로상담, 진로 및 직업체험, 진로캠프, 기업가 정신 및 창업 체험, 현장견학, 대학 혹은 전공체험, 및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진로교육 만족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에 나타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각 항목별로 만족도에 따라서 3개의 상(a), 중(b), 하(c)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진로교육 상담 후에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결과: 진로상담, 진로 및 직업체험, 대학 혹은 전공체험,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의 만족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 항목에서 a>b>c집단 순이며, a집단이 b 및 c집단보다 높게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진로캠프, 기업가 정신 및 창업 체험 수업의 만족도의 평균치는 a>c>b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a·b·c집단의 수치 간에는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현장견학 수업의 만족도 평균치는 a>c>b집단 순으로 나타났고, a집단은 b와 c집단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로 높았다. 결론: 진로교육의 만족도가 높으면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Coastal Waters of Korea)

  • 강다연;성기창;김도균;진수연;서호영;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1-207
    • /
    • 2022
  • 전체 418개체의 참조기를 분석하였고, 전장의 범위는 12.0~27.5 cm였으며, 평균 전장은 19.6 cm였다. 참조기의 주먹이생물은 어류로 46.5%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난바다곤쟁이류가 우점하였다. 성장에 따른 먹이생물의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성장하면서 어류의 섭식율은 증가하지만 새우류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계절적 변화는 여름과 가을의 고수온기와 겨울과 봄의 저수온기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계절적 변화를 다변량분산분석(PERMAN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계절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Quantitative Ultrasound Radiofrequency Data Analysis for the Assessment of Hepatic Steatosi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Proton Density Fat Fraction as the Reference Standard

  • Sun Kyung Jeon;Jeong Min Lee;Ijin Joo;Sae-Jin Park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7호
    • /
    • pp.1077-1086
    • /
    • 202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quantitative ultrasound (US) parameters for the assessment of hepatic steatosis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proton density fat fraction (MRI-PDFF) as the reference standard.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ingle-center prospective study, 120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ed NAFLD were enrolled between March 2019 and January 2020. The participants underwent US examination for radiofrequency (RF) data acquisition and chemical shift-encoded liver MRI for PDFF measurement. Using the RF data analysis, the attenuation coefficient (AC) based on tissue attenuation imaging (TAI) (AC-TAI) and scatter-distribution coefficient (SC) based on tissue scatter-distribution imaging (TSI) (SC-TSI) were measur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quantitative US parameters (AC and SC) and MRI-PDFF were evaluat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AC-TAI and SC-TSI for detecting hepatic fat contents of ≥ 5% (MRI-PDFF ≥ 5%) and ≥ 10% (MRI-PDFF ≥ 10%) were assessed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The significant clinical or imaging factors associated with AC and SC were analyz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ased on MRI-PDFF: < 5% (n = 38), 5-10% (n = 23), and ≥ 10% (n = 59). AC-TAI and SC-TSI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RI-PDFF (r = 0.659 and 0.727, p < 0.001 for both). For detecting hepatic fat contents of ≥ 5% and ≥ 10%, the areas under the ROC curves of AC-TAI were 0.861 (95% confidence interval [CI]: 0.786-0.918) and 0.835 (95% CI: 0.757-0.897), and those of SC-TSI were 0.964 (95% CI: 0.913-0.989) and 0.935 (95% CI: 0.875-0.972), respectively.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RI-PDFF was an independent determinant of AC-TAI and SC-TSI. Conclusion: AC-TAI and SC-TSI derived from quantitative US RF data analysis yielded a good correlation with MRI-PDFF and provided good performance for detecting hepatic steatosis and assessing its severity in NAFLD.

Accuracy of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for Detecting Breast Cancer in the Diagnostic Sett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Min Jung Ko;Dong A Park;Sung Hyun Kim;Eun Sook Ko;Kyung Hwan Shin;Woosung Lim;Beom Seok Kwak;Jung Min Cha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8호
    • /
    • pp.1240-1252
    • /
    • 2021
  • Objective: To compare the accuracy for detecting breast cancer in the diagnostic setting between the use of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DBT), defined as DBT alone or combined DBT and digital mammography (DM), and the use of DM alone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Ovid-MEDLINE, Ovid-Embase, Cochrane Library and five Korean local databases were searched for articles published until March 25, 2020. We selected studies that reported diagnostic accuracy in women who were recalled after screening or symptomatic. Study quality was assessed using the Quality Assessment of Diagnostic Accuracy Studies-2 tool. A bivariate random effects model was used to estimate poole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 compared the diagnostic accuracy between DBT and DM alone using meta-regression and subgroup analyses by modality of intervention, country, existence of calcifications, breast density,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category threshold, study design, protocol for participant sampling, sample size, reason for diagnostic examination, and number of readers who interpreted the studies. Results: Twenty studies (n = 44513) that compared DBT and DM alone were included. The poole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0.90 (95% confidence interval [CI] 0.86-0.93) and 0.90 (95% CI 0.84-0.94), respectively, for DBT, which were higher than 0.76 (95% CI 0.68-0.83) and 0.83 (95% CI 0.73-0.89), respectively, for DM alone (p < 0.001). The area under the summar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was 0.95 (95% CI 0.93-0.97) for DBT and 0.86 (95% CI 0.82-0.88) for DM alone. The high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DBT than DM alone were consistently noted in most subgroup and meta-regression analyses. Conclusion: Use of DBT was more accurate than DM alone for the diagnosis of breast cancer. Women with clinical symptoms or abnormal screening findings could be more effectively evaluated for breast cancer using DBT, which has a superior diagnostic performance compared to DM alone.

Tc-99m DMSA SPECT for Follow-Up of Non-Operative Treatments in Renal Injuries: A Prospective Single-Center Study

  • Sang-Geon Cho;Ki Seong Park;Jahae Kim;Jang Bae Moon;Ho-Chun Song;Taek Won Kang;Seong Hyeon Yu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0호
    • /
    • pp.1017-1027
    • /
    • 2023
  • Objective: The assessment of cortical integrity following renal injuries with planar Tc-99m dimercaptosuccinic acid (DMSA) scintigraphy depends on measuring relatively decreased cortical uptake (i.e., split renal function [SRF]). We analyzed the additive values of the volumetric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residual cortical integrity using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compared to the planar scintigraphy.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included 47 patients (male:female, 32:15; age, 47 ± 22 years) who had non-operatively managed renal injuries and underwent DMSA planar and SPECT imaging 3-6 months after the index injury. In addition to planar SRF, SPECT SRF, cortical volume, and absolute cortical uptake were measured for the injured kidney and both kidneys together. The correlations of planar SRF with SPECT SRF and those of SRF with volumetric/quantitative parameters obtained with SPECT were analyzed. The association of SPECT parameters with renal function, grades of renal injuries, and the risk of renal failure was also analyzed. Results: SPECT SRF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planar SRF, with particularly higher biases in severe renal injuries. Planar and SPECT SRF (dichotomized with a cutoff of 45%) showed 19%-36% of discrepancies with volumetric and quantitative DMSA indices (when dichotomized as either high or low). Absolute cortical uptake of the injured kidney best correlated with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at follow-up (ρ = 0.687, P < 0.001) with significant stepwise decreases by GFR strata (90 and 60 mL/min/1.73 m2). Total renal cortical up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moderate-to-high risk of renal failure than those with low risk. However, SRF did not reflect GFR decrease below 60 mL/min/1.73 m2 or the risk of renal failure, regardless of planar or SPECT (count- or volume-based SRF) imaging. Conclusion: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renal cortical integrity assessed with DMSA SPECT can provide more clinically relevant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than planar imaging or SRF a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