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tro Development

검색결과 2,954건 처리시간 0.032초

The Protective Effects of IGF-1 on Different Subpopulations of DRG Neurons with Neurotoxicity Induced by gp120 and Dideoxycytidine In Vitro

  • Lu, Lin;Dong, Haixia;Liu, Guixiang;Yuan, Bin;Li, Yizhao;Liu, Huaxia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6호
    • /
    • pp.532-539
    • /
    • 2014
  • Peripheral neuropathy induced by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and antiretroviral therapy is not only difficult to distinguish in clinical practice, but also difficult to relieve the pain symptoms by analgesics because of the severity of the disease at the later stage. Hence, to explore the mechanisms of HIV-related neuropathy and find new therapeutic options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relieving neuropathic pain symptoms of the patients. In the present study, primary cultured embryonic rat dorsal root ganglion (DRG) neurons were used to determine the neurotoxic effects of HIV-gp120 protein and/or antiretroviral drug dideoxycytidine (ddC) and the therapeutic action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on gp120- or ddC-induced neurotoxicity. DRG neurons were exposed to gp120 (500 pmol/L), ddC ($50{\mu}mol/L$), gp120 (500 pmol/L) plus ddC ($50{\mu}mol/L$), gp120 (500 pmol/L) plus IGF-1 (20 nmol/L), ddC ($50{\mu}mol/L$) plus IGF-1 (20 nmol/L), gp120 (500 pmol/L) plus ddC ($50{\mu}mol/L$) plus IGF-1 (20 nmol/L), respectively, for 72 hours. The results showed that gp120 and/or ddC caused neurotoxicity of primary cultured DRG neurons. Interestingly, the severity of neurotoxicity induced by gp120 and ddC was different in different subpopulation of DRG neurons. gp120 mainly affected large diameter DRG neurons (> $25{\mu}m$), whereas ddC mainly affected small diameter DRG neurons (${\leq}25{\mu}m$). IGF-1 could reverse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gp120 and/or ddC on small, but not large, DRG neurons. These data provide new insights in elucidating the pathogenesis of HIV infection- or antiretroviral therapy-related peripheral neuropathy and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novel treatment strategies.

Agrobacterium tumefaciens를 이용한 bialaphos 저항성 형질전환 벼의 개발 (Development of Bialaphos-Resistant Transgenic Rice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 이효연;이춘환;김호일;한원동;최지은;김진호;임용표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3-288
    • /
    • 1998
  • 비선택성 제초제인 bialaphos는 고등식물에 있어서 glutamine 합성을 억제 하여 식물체를 고사시킨다. Acetyltransferase에 의해 encoding된 bialaphos저항성 유전자는 세균 Streptomyces hygroscopicus SF1239로부터 cloning된것을 사용하였다. Bialaphose 저항성 유전자를 Agrobacterium 감염법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재배되는 벼(동진)에 도입한 결과 약30%정도의 형질전환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textrm{T}_{1}$ 세대의 17개체는 hygromycin과 bialaphos에 대한 저항성 유전형질이 3:1로 분리되었다. 또한 Southern 분석을 실시한 결과 wild type의 식물체에서는 Bar 유전자의 검출을 볼 수 없었으나 형질전환 식물체의 경우 Bar 유전자의 검출이 가능하였다. $\textrm{T}_{3}$세대의 형질전찬 식물체와 wild type의 식물체를 포장상태에서 비선택성 제초제인 바스타를 살포하고 3주 후에 관찰한 결과 형질전환 식물체는 외형적으로 아무런 피해를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생장하였으나, wild type의 식물체와 잡초는 모두 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hygromycin과 bialaphos 저항성 유전자는 Agrobacterium감염법을 이용하여 단자엽 식물인 벼에 도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며, 또한 bialaphos 저항성 유전자가 식물에 도입됨으로써 비선택성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식물을 개발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 PDF

흰쥐 체지방 감소를 위한 지방부위별 특이 다클론 항체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Polyclonal Antibodies to Abdominal and Subcutaneous Adipocyte for Reducing Body Fat of Rat)

  • 최창원;박동우;조익환;오영균;장선식;최낙진;감동근;백경훈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47-55
    • /
    • 2012
  • 본 연구는 가축 체지방 감소를 위한 수동면역학적 기법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흰쥐 지방부위별(복강 및 피하지방) 특이 다클론 항체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흰쥐 부위별 지방 조직에서 지방세포를 분리하고 각각 primary 배양시킨 후 개발된 복강지방(AAb) 및 피하지방 특이 다클론 항체(SAb)를 주입한 뒤 media 내 lactate dehydrogenase(LDH) 방출 수준을 조사하였다. 희석배율 1:1,000배를 기준으로 비면역 혈청은 항원-항체 결합 반응이 거의 측정되지 않았고, AAb 및 SAb는 희석배율 1:128,000배까지 각각 항원-항체 반응이 감지되었다. 부위별 지방과 비교했을 때, AAb 및 SAb는 흰쥐 타 장기들과는 특이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p<0.001). 본 연구에서 개발한 두 항체들은 모두 항원으로 이용된 부위의 지방세포 PMP와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지방세포 배양을 통한 LDH 수준 검사에서는 AAb 및 SAb 모두 비면역혈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파괴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AAb 및 SAb는 높은 역가, 타장기 안전성 및 in vitro 지방 감소 효과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총채벌레 및 고추탄저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곤충병원성 곰팡이 Isaria javanica FT333 선발 (Selection of Entomopathogenic Fungus Isaria javanica FT333 for Dual Control of Thrips and Anthracnose)

  • 이모란;정혜주;김재윤;김다연;안성호;이상엽;한지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79-490
    • /
    • 2018
  • 고추의 주요 병해충인 총채벌레(Thrips palmi)와 탄저병(Colletotrichum acutatum)을 방제하기 위해 다양한 화학농약이 사용되고 있지만, 농약의 오남용으로 인하여 이에 대한 저항성이 발생하여 방제가 힘들어지고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총채벌레에 대한 살충효과와 탄저병에 항균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여 동시 방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곤충병원성 곰팡이 13균주($1{\times}10^7conidia/mL$)를 오이총채벌레 성충과 약충에 처리하여 70~100%의 우수한 살충률을 나타내는 6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6균주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고추 탄저병균에 대치 배양한 결과, 항균력이 우수한 FT333 균주를 최종 선발할 수 있었다. 최종 선발된 균주를 형태학적 조사와 internal transcribed spacer, ${\beta}-tubulin$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Isaria javanica로 동정하였고, I. javanica FT333으로 명명하였다. I. javanica FT333 (KACC93316P)의 고추 탄저병균에 대한 방제 효과를 기내에서 검정한 결과($1{\times}10^5$, $1{\times}10^6$, $1{\times}10^7conidia/mL$) 95%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I. javanica FT333 균주가 고추 탄저병균과 미소해충인 오이총채벌레를 동시에 방제하기 위한 미생물제제로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빈랑자와 천련자 복합물의 만성 역류성 식도염에서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Areca Semen and Toosendan Fructus mixture in a chronic model of reflux esophagitis)

  • 신미래;이진아;김민주;안효진;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68
    • /
    • 2020
  • Objective :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 of Areca Semen and Toosendan Fructus Mixture (AT-mix) on chronic reflux esophagitis (CRE) in rats. 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T-mix was measured through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vitro. CRE was induced in SD rats (5 weeks, male) by ligating the border forestomach and granular portion with 2-0 silk and the duodenum near the pyloric portion was covered with 2-mm wide piece of 18-Fr Nélaton catheter. And then rats were treated AT-mix 200 mg/kg one daily for 14 days. The anti-oxidant and inflammatory protein levels were evaluated using western blotting. Results : Gross lesion of esophageal mucosa after AT-mix treatment showed a superior enhancement compared with that of CRE control rats. AT-mix treatment strongly reduced both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DPPH, IC50 8.15±0.14 ㎍/mL; ABTS, IC50 24.69±0.03 ㎍/mL, repspectively). Levels of the NADPH oxidase subunit including NOX4 and p22phox increased in CRE control rats. Otherwise, AT-mix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activation of Nuclear factor-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led to significantly the up-regulation of HO-1. The inhibition of IκBα phosphorylation led to NF-κB inactivation. Subsequently, NF-κB inactivation significantly induced the decrease of COX-2, iNOS, TNF-α, and IL-6 protein expressions. Conclusion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T-mix treatment can attenuate the esophageal mucosal ulcer though inhibiting NF-κB pathway and enhancing Nrf2/HO-1 pathway. Thus, the additional mechanism study about AT-mix would need for the development as a safe herbal therapy for CRE.

효소처리 통밀가루를 첨가한 머핀의 미네랄 생체이용율 및 품질 특성 (Mineral bioavail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ffins prepared with enzyme-treated whole wheat flour)

  • 이신영;이광연;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22-430
    • /
    • 2022
  • 본 연구는 통밀가루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의 체내 이용률을 높여 기능성 소재로의 응용가능성을 조사하고자 phytase와 cellulase를 처리한 통밀가루 미네랄의 체내이용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통밀가루의 최적 효소 처리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효소농도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과 phytate 및 식이섬유소의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미네랄 강화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머핀을 제조 후 품질특성 및 미네랄의 체내 이용률을 확인하였다. 통밀가루 건중량의 2, 10 및 20%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phytase와 cellulase 단일 효소처리한 시료와 20%의 cellulase/phytase를 5:5 비율로 복합 처리한 시료를 제조하였다. 효소 처리 통밀가루의 총 식이섬유소의 함량은 효소 농도에 따라 감소하였고 특히, 복합 처리군에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더불어 phytate 함량은 모든 효소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효소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철분, 칼슘, 아연의 체내 이용률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철분의 체내 이용률은 cellulase를 처리하였을 때 약 3.3배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칼슘은 cellulase와 phytase를 복합으로 처리하였을 때 약 5.1배로 가장 증가하였고, 아연은 phytase를 처리하였을 때 약 2.8배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미네랄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던 20% phytase, cellulase, cellulase/phytase 처리한 통밀가루를 이용하여 대체 비율(0, 25, 50, 75 및 100%)에 따른 머핀의 품질특성 및 미네랄 체내 이용률을 확인한 결과, 효소 처리 통밀가루로 제조한 머핀의 부피는 무처리군으로 제조한 머핀보다 대체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조직감의 경우 hardness는 감소하였고, springiness와 cohesiveness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효소처리 통밀가루로 제조한 머핀에서 대체 비율이 증가할수록 철분, 칼슘, 아연의 체내 이용률은 무처리군 머핀보다 증가하였는데, Cellulase 처리군의 철분 체내 이용률은 2.3배, cellulase/phytase 복합 처리군에서 칼슘은 3.7배, phytase 처리군에서 아연은 2.3배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통밀가루에 phytase와 cellulase를 처리한 후 미네랄의 이용률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효소처리 통밀가루로 제조한 머핀의 품질의 특성이 향상되어 미네랄 이용률 증진 소재로 응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Neuroprotective effects of antioxidant constituents isolated fro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 K.J. Jung;Lee, E.H.;Kim, H.J.;Lee, J.Y.;Y.S. Song;Lee, Y.H.;J. Cho;Park, M.;Park, H.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3년도 Annual Meeting of KSAP :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Sciences on Obesity
    • /
    • pp.63-63
    • /
    • 2003
  • Opuntia ficus-indicavar. saboten Makino (Cactaceae) is a tropical or subtropical plant that has been widely used as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sthma, burn, edema and gastritis.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fruits and stems of the plant cultivated in Cheju island, Korea, and examine their in vitro neuroprotective activities. Using a chromatographic fractionation method, ten chemical constituents were isolated from ethyl acetate extracts. By means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those were identified as eight flavonoids such as kaempherol (a), quercetin (b), kaempferol 3-methyl ether (c), quercetin 3-methyl ether (d), narcissin (e), dihydrokaernpferol (f), dihydroquercetin (g) and erioclictyol (h), and two terpenoids such as 3-oxo-${\alpha}$-ionol-${\beta}$-d-glucopyranoside (i) and roseoside (j).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comrounds c~e and h~j were those reported for the first titre from the plant. Compounds b, d and g show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ith IC$\sub$50/ values of 28, 19 and 31, ${\mu}$M respectively. Compounds d and g also inhibited iron-dependent lipid peroxidation with IC$\sub$50/ values of 2.4 and 3.5 ${\mu}$M. In a primary rat cortical neuronal cell culture system, compounds b, d and g inhibited xanthine/xanthine oxidase-induced (IC$\sub$50/ values of 18.2, 2.1 and 54.6 ${\mu}$M) and H$_2$O$_2$-induced (IC$\sub$50/ values of 13.6, 1.9 and 25.7 ${\mu}$M) cytotoxicities. In addition, compounds d and g inhibited NMDA-induced excitotoxicity by 21 and 33%, and only compound d inhibited growth factor withdrawal-induced apoptosis by 31% at a tested concentration of 3 ${\mu}$M.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oxidant constituents with in vitroneuroprotective activities may serve as lead chemicals for the development of neuroprotective agent.

  • PDF

흰점박이꽃무지 사료첨가제로서 새싹보리의 곤충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Sprouted Barley as a Nutritive Feed Additive for Protaetia brevitarsis and Its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Serratia marcescens)

  • 송명하;김낭희;박관호;김은선;김용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5-480
    • /
    • 2021
  • 국내에서 2016년 흰점박이꽃무지 등 일부 곤충이 식품원료로 등록되면서 곤충사육 농가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곤충사육 농가가 보유하고 있는 사육기술, 병해충 관리기술이 농가별로 차이가 있고, 대량으로 곤충을 사육하면서 높은 사육밀도, 병충해 감염 등으로 인해 곤충이 대량 폐사하게 됨으로써 곤충사육 농가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항균, 항염증 등의 효과를 가진 새싹보리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주 먹이원인 발효톱밥에 첨가하여 주 먹이원 첨가제로써 적용 가능성 및 곤충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주 먹이원에 5%와 10% 새싹보리를 첨가했을 때 유충의 증체율이 19.2%와 23.1%로 높았고, 사육 기간이 대조군 대비 단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새싹보리는 곤충병원성 세균 Serratia marcescens의 성장을 저해하고, 세균에 감염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존율과 증체율이 건강한 유충의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새싹보리를 첨가한 먹이원으로 사육한 유충의 영양성분 분석 결과, 조단백질, 조지방, 구리, 아연, 칼륨 등 미네랄 및 아미노산 함량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주 먹이원에 새싹보리를 첨가한다면 단기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곤충병원성 세균 감염에 의한 폐사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안정적인 곤충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Development of Isolation and Cultivation Method for Outer Root Sheath Cells from Human Hair Follicle and Construction of Bioartificial Skin

  • Seo, Young-Kwon;Lee, Doo-Hoon;Shin, Youn-Ho;You, Bo-Young;Lee, Kyung-Mi;Song, Key-Yong;Seo, Seong-Jun;Whang, Sung-Joo;Kim, Young-Jin;Park, Chang-Seo;Chang, Ij-Seop;Park, Jung-Keu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8권2호
    • /
    • pp.151-157
    • /
    • 2003
  • Obtaining a sufficient amount of healthy keratinocytes from a small tissue is difficult. However, ORS cells can be a good source of epithelium since they are easily obtainable and patients do not have to suffer from scar formation at donor sites.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modified the conventional primary culture technique to overcome the low propagation and easy aging of epithelial cells during culturing. In a conventional primary culture, the average yield of human ORS tells is 2.↑ $\times$ 10$^3$cells/follicle based on direct incubation in a trypsin (0.1%)/EDTA(0.02%) solution for 15 min at 37$^{\circ}C$, however, our modified method was able to obtain about 6.9 $\times$ 10$^3$cel1s/follicle using a two-step enzyme digestion method involving dispase (1.2 U/mL) and a trypsin (0.1%)/EDTA (0.02%) solution. Thus, the yield of primary cultured ORS cells could be increasd three times higher. Furthermore, a total of 2.0 $\times$ 10$^{7}$ cells was obtained in a serum-free medium. while a modified E-medium with mitomycin C-treated feeder tells produced a total of 6.3 $\times$ 10$^{7}$ Cel1s over 17 days When Starting With 7.5 $\times$ 10$^4$cells. Finally, W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our ORS tell isolation method by presenting their ability for reconstructing the bioartificial skin epithelium in vitro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 유산균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김용민;정해진;정헌식;성종환;김동섭;김한수;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68-4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미 알려진 어성초의 효능을 더욱 증가시켜 고부가가치를 지닌 기능성 원료로써 활용하고자,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와 Lactobacillus sakei 383 두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 척도로써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는데 10일간의 발효에서 두 균주 모두 발효 5일차에, 발효온도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가 30℃에서 71.67±0.52%, Lactobacillus sakei 383는 35℃에서 70.11±0.67%로 각각 최대의 활성이 나타났으며, 두 가지 균 모두 대조군인 미발효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약 20% 상승하였다. 총 페놀함량에서는 대조군이 35.90±0.61 mg/g 함유한 반면에 발효한 후 두 균주 모두 약 10 mg/g씩 증가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대조군의 21.69±1.52 mg/g에 비해 약 6 mg/g 이상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에서는 발효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조군에 비해서는 미약하게 증가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어성초의 유산균 발효물이 발효하지 않은 어성초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더욱 높아, 고부가가치를 지닌 기능성식품의 원료로써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