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utation procedur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초

Comparative Study on Imputation Procedures in Exponential Regression Model with missing values

  • Park, Young-Sool;Kim, Soon-Kwi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4권2호
    • /
    • pp.143-152
    • /
    • 2003
  • A data set having missing observations is often completed by using imputed values. In this paper, performances and accuracy of five imputation procedures are evaluated when missing values exist only on the response variable in the exponential regression model.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djusted exponential regression imputation procedure can be well used to compensate for missing data, in particular, compared to other imputation procedures. An illustrative example using real data is provided.

  • PDF

Imputation Procedures in Exponential Regression Analysis in the presence of missing values

  • 박영술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5-144
    • /
    • 2003
  • A data set having missing observations is often completed by using imputed values. In this paper, performances and accuracy of five imputation procedures are evaluated when missing values exist only on the response variable in the exponential regression model.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djusted exponential regression imputation procedure can be well used to compensate for missing data, in particular, compared to other imputation procedures. An illustrative example using real data is provided.

  • PDF

Imputation Procedures in Weibull Regression Analysis in the presence of missing values

  • 김순귀;정동빈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3-148
    • /
    • 2001
  • A dataset having missing observations is often completed by using imputed values.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s and accuracy of complete case methods and four imputation procedures are evaluated when missing values exist only on the response variables in the Weibull regression model.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other imputation procedures, in particular, hotdeck and Weibull regression imputation procedure can be well used to compensate for missing data. In addition an illustrative real data is given.

  • PDF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Using Tests Based on Multiple Imputations

  • Kim, Sang Cheol;Yu, Donghyeon
    • Quantitative Bio-Science
    • /
    • 제36권1호
    • /
    • pp.23-31
    • /
    • 2017
  • Datasets from DNA microarray experiments, which are in the form of large matrices of expression levels of genes, often have missing values. However, the existing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the principle components analysis (PCA) and Hotelling's t-test are not directly applicable for the datasets having missing values due to the fact that they assume the observed dataset is complete in general. Many methods have been proposed in previous literature to impute the missing in the observed data. Troyanskaya et al. [1] study the k-nearest neighbor (kNN) imputation, Kim et al. [2] propose the local least squares (LLS) method and Rubin [3] propose the multiple imputation (MI) for missing values. To identify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we propose a new testing procedure when the missing exists in the observed data. The proposed procedure uses the Stouffer's z-scores and combines the test results of individual imputed samples, which are dependent to each other. We numerically show that the proposed test procedure based on MI performs better than the existing test procedures based on single imputation (SI) by comparing their ROC curves. We apply the proposed method to analyzing a public microarray data.

Investigation of multiple imputation variance estimation

  • 김재광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3-188
    • /
    • 2002
  • Multiple imputation, proposed by Rubin, is a procedure for handling missing data. One of the attractive parts of multiple imputation is the simplicity of the variance estimation formula. Because of the simplicity, it has been often abused and misused beyond its original prescription. This paper provides the bias of the multiple imputation variance estimator for a linear point estimator and discusses when the bias can be safely neglected.

  • PDF

농촌생활지표조사에서 무응답 대체 : 사례 (An Imputation for Nonresponses in the Survey on the Rural Living Indicators)

  • 조영숙;천영민;황대용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1호
    • /
    • pp.95-107
    • /
    • 2008
  • 농촌생활지표조사는 2000년부터 농촌자원개발연구소에서 매년 실시하는 조사로서 통계청 승인통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농촌생활지표조사에 사용된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원자료에 대한 에디팅 과정을 거친 후 무응답이 포함된 개체를 제거하여 얻어진 1,582 가구를 대 상으로 하였으며 총 146문항 중에서 최종 선택되어진 15문항을 증심으로 무응답 대체를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대체법과 각 대체법의 효율성은 자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었다. 먼저 연속형 자료에 대해서는 평균대체, 회귀대체, 수정된 그레이 기반 k-NN 대체(DU, DW, WU, WW) 방법을 사용하여 무응답을 대체하고 RMSB를 이용하여 실험결과를 비교하였으며, 범주형 자료에 대해서는 최빈값 이용, 확률 대체, 조건부 최빈간 이용, 조건부 학률 대체, 단순 임의 핫덱 대체 방법을 사용하여 무응답을 대체하고 정확도(Accuracy)를 이용하여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연속형 자료에 대해서는 회귀대체 또는 그레이 기반 k-NN 대체가 적절하고, 범주형 자료에 대해서는 핫덱 대체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어가경제조사에서 가중핫덱 무응답 대체법의 활용 (Weighted Hot-Deck Imputation in Farm and Fishery Household Economy Surveys)

  • 김규성;이기재;김진
    • 응용통계연구
    • /
    • 제18권2호
    • /
    • pp.311-328
    • /
    • 2005
  • 본 논문은 농어가경제조사에서 발생하는 무응답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어가경제조사는 모두 층화다단표집을 한 후 가중평균으로 모평균을 추정하므로 이에 적합한 대체법으로 가중핫덱 대체법을 고려하여 가중핫덱 대체 절차와 모평균 추정법, 그리고 대응되는 분산추정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가중핫덱 대체가 두 조사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고 수정된 잭나이프 분산추정법을 사용하면 추정치의 신뢰도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두 조사에 적용할 수 있는 대체군 형성 절차를 제시하고, 예로써 각각 4가지 방안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중 가장 효율적인 방안을 결과로써 제시하였다.

A Naive Multiple Imputation Method for Ignorable Nonresponse

  • Lee, Seung-Ch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1권2호
    • /
    • pp.399-411
    • /
    • 2004
  • A common method of handling nonresponse in sample survey is to delete the cases, which may result in a substantial loss of cases. Thus in certain situation, it is of interest to create a complete set of sample values. In this case, a popular approach is to impute the missing values in the sample by the mean or the median of responders. The difficulty with this method which just replaces each missing value with a single imputed value is that inferences based on the completed dataset underestimate the precision of the inferential procedure. Various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overcome the difficulty but they might not be appropriate for public-use files where the user has only limited information for about the reasons for nonresponse. In this note, a multiple imputation method is considered to create complete dataset which might be used for all possible inferential procedures without misleading or underestimating the precision.

Comparison of EM and Multiple Imputation Methods with Traditional Methods in Monotone Missing Pattern

  • Kang, Shin-So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1호
    • /
    • pp.95-106
    • /
    • 2005
  • Complete-case analysis is easy to carry out and it may be fine with small amount of missing data. However, this method is not recommended in general because the estimates are usually biased and not efficient. There are numerous alternatives to complete-case analysis. A natural alternative procedure is available-case analysis. Available-case analysis uses all cases that contain the variables required for a specific task. The EM algorithm is a general approach for computing maximum likelihood estimates of parameters from incomplete data. These methods and multiple imputation(MI) are reviewed and the performances are compared by simulation studies in monotone missing pattern.

  • PDF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의 사전 처리 순서에 따른 검색의 일치도 분석 (A Concordance Study of the Preprocessing Orders in Microarray Data)

  • 김상철;이재휘;김병수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3호
    • /
    • pp.585-594
    • /
    • 2009
  •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의 실험자들은 원 측정치인 영상을 조사하여 통계적 분석이 가능한 자료의 형태로 변환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흔히 사전 처리라고 부른다. 마이크로어레이의 사전 처리는 불량 영상의 제거(filtering), 결측치의 대치와 표준화로 세분되어질 수 있다. 표준화 방법과 결측치 대치 방법 각각에 대하여서는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사전 처리를 구성하는 원소들간의 적정한 순서에 대하여서는 연구가 미흡하다. 표준화 방법과 결측치 대치 방법 중 어느 것이 먼저 실시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서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사전 처리 순서에 대한 탐색적 시도로서 대장암과 위암을 대상으로 실시한 두 조의 cDNA 마이크로어레이 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사전 처리를 구성하는 원소들간의 다양한 순서에 따라 검색된 특이 발현 유전자 군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즉, 결측치대치와 표준화의 여러가지 방법들의 조합에 따라 검색된 특이 발현 유전자 군이 얼마나 일치적인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결측치 대치 방법으로는 K 최근접 이웃 방법과 베이지안 주성분 분석을 고려하였고, 표준화 방법으로는 전체 표준화, 블럭별 국소(within-print tip group) 평활 표준화 그리고 분산 안정화를 유도하는 표준화 방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사전 처리를 구성하는 두개 원소가 각각 2개 수준과 3개 수준을 가지고 있고, 두개 원소의 순열에 따른 모든 가능한 사전 처리 개수 수는 12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12개 사전 처리 방법 각각에 따라 정상 조직과 암 조직간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 군을 검색하였고, 사전 처리 순서를 바꾸었을때 유전자 군이 얼마나 일치적으로 유지되는지를 파악하고 있다. 표준화 방법으로 분산 안정화 표준화를 사용할 경우는 사전 처리 순서에 따라 특이 발현 유전자 군이 다소 민감하게 변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