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ment of self-esteem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1초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김은실;오효정;최민정;김용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1-12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소외계층을 위한 프로그램 활성화를 하고자 하는 대통령기록관 비전에 따라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하여 정보 사회소외계층인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방법으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대한 문헌조사 및 국내외 대통령기록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였고, 다문화가정 자녀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을 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제안하였다.

저소득층 아동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 :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children from low-income class : Testing mediation model of depression)

  • 홍연란;장군자;최청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1호
    • /
    • pp.179-189
    • /
    • 2016
  •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들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우울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3년 3월부터 4월까지 2개 광역시에 소재한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기초수급1, 2급 및 차상위계층 가정의 초등학교 5, 6학년 과 중학생 자녀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그리고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저소득층 자녀들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우울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우울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의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합의가 필요함을 밝히는 바이다.

결혼 전 관계향상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검증 (Constructing Premarital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 and Investigating Its Effects)

  • 정미향;김득성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4호
    • /
    • pp.69-8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the new premarital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it. Based on the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program, this program was composed. It included the realistic expectations of marriage and sex,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accepting differences, role expectations and intimacy in the relationship,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kills. To perform this program, six sessions of time-limited(100-150 minutes) were carried out. And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N=4 couples) and control group(N=4 couples). Scales of PREPARE and SEI(Self-Esteem Inventory) were used as the pre-post-follow instruments of this study.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Premarital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 had meaningful consequen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articipants self-esteem. 2. Premarital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 had meaningful consequen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articipants equal role,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kills.

  • PDF

성인 약물남용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effectiveness of the relapse prevention program for adult substances abusers)

  • 장진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1호
    • /
    • pp.33-5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using the relapse prevention program for adult substance addict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of educational needs for the relapse prevention program among substance addicts the 10-session-relapse pre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n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relapse prevention program for 15 adult methamphetamine addicts from Aug. 3 1999 to Sep. 4 1999 at the probation office in Suwon, South Korea. For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using that relapse prevention program the Social Adjustment Scale-Self Report(SAS-SR), McMullin Addiction Thought Scale(MAT), and Self Esteem Rating Scale(SERS) were used whether or not their social adjustment level, self-esteem level, and addiction thought level were improved. This study employed one group pre-post test research design as a quantitative purpose and in-depth interview as a qualitative purpose. For a qualitative purpos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in not only between sessions but also after sessions dealing with their current life problems. For a quantitative purpose the analysis strategy employed here was frequency and t-test. Results shows that addicts who took the relapse prevention program consistently reported the improvement of their social adjustment level, self-esteem level, and addiction thought level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pre and post tests. The implication of study findings will be discussed.

  • PDF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생활습관 변화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통한 비만개선프로그램의 시행효과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Obesity Improvement by Changing the Living Habits and Improving the Self-esteem of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정운선;이혜상;박응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25-134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program for improving obese children's living habits such as wearing clothing and eating, and their self-esteem. Thirtee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ix boys and seven girls in the 4th to 6th grad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a ten-week intervention program. During the program, the obese children filled out a checklist consisted of daily ambient temperature inside the house, weight of clothing, meal diary, time taken for physical exercise, time taken for watching TV, etc. After carrying out the program, its effect was testified and evaluated. Percent body fat of the children measured using a body composition analyzer was reduced by $1.9\%$ after the program (p<.01). Wearing behavior of clothing was positively changed in view of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ambient temperature and clothing weight (r=-.917, p<.01). Ability of dietary self control was improved and eating time was lengthened. Self-esteem was improved in global self-worth, athletic competence, and behavior/conduct. It was suggested that active interest of the family would be helpful and that an intervention program over longer than ten week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childhood obesity.

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의 자부심과 자기표현 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up Program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Assertiveness of the Chronically Mentally Ill Living in the Institutions)

  • 이은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7권
    • /
    • pp.272-309
    • /
    • 2001
  • It is a recent trend to emphasize community services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ill.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social work services for those living in the institutions, who is the most underprivileged in our society. To deal with interpersonal skill deficits which i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ill, social skills programs are being utilized, usually in the communities, but not in the institution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institution-relevant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assertiveness, which is the basic ability among the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esteem, which is the emotional basis of assertiveness. Because there has been little literature on such a program, a preliminary program had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include the peculiarities of the life in the institutions on the main program.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effect was done by pretest-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regard to program effectiveness, the pre and post test showed that self-esteem improved in a statistically meaningful way, but that assertiveness did not so. However, the staff verified the improvement of the group members' assertiveness to some degree in their actual lives. Secondly, in regard to the group process, the group interaction improved in a statistically meaningful way between 2nd and 5th session, and the improvement maintained till the program termination. Also the group members evaluated the program as helpful in their everyday liv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result of this program is encouraging. In light of thi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utilizing more dynamic techniques in the program; developing the advanced level of the program; making an effort to change environmental structures as well as individuals; applying this kind of program to another living facilities such as those for the homeless or handicapped.

  • PDF

또래관계증진 융합프로그램이 농촌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Peer Relationship Promotion Convergence Program on Self-esteem and Sociality of Children Using a Rural Community Child Center)

  • 김선희;강문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167-173
    • /
    • 2018
  • 연구의 목적은 또래관계증진 융합프로그램이 농촌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G군에 위치한 5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남녀 초등학교 4-6학년 52명이다(실험군=26명, 대조군=26명). 실험군은 주 1회 50분씩 총 12회기 또래관계증진 융합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사전조사와 사후조사 후 1회 30분씩 총 2회 건강교육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chi}^2$-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또래관계증진 융합프로그램에 참여 후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자아존중감(t=2.43, p=.018)과 사회성(t=2.03, p=.04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 되었으며, 사회성의 하위영역 중 준법성(t=3.02, p=.004)과 자주성(t=4.42,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붓다볼(싱잉볼) 명상을 활용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효과 연구 -중년 여성 불자 중심으로- (Buddha Bowl Meditation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s -Focused on middle-aged women Buddhists-)

  • 김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676-687
    • /
    • 2021
  •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붓다볼 명상을 활용하여 중년여성들의 자기 존중감, 긍정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효과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대상은 '붓다볼'에 관심이 있는 부산시 H사찰 중년여성 불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은 본 연구의 단일집단의 사전-사후검사(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붓다볼 명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검증 결과, 삶의 질 전체는 실험집단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둘째, 붓다볼 명상이 자기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검증 결과, 자기 존중감은 실험집단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셋째, 붓다볼 명상이 긍정사고에 미치는 효과 검증 결과, 긍정사고 전체는 실험집단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본, 주요 결론은 소리의 파동 에너지를 활용한 치유 명상의 도구인 붓다볼은 중년여성 불자의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붓다볼 명상프로그램은 개인과 가정, 사회적인 환경 여건으로 인하여 더 복합적인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중년여성들에게 긍정적인 활용 가치가 있음을 판단된다. 아울러 붓다볼 명상프로그램을 교육적·정책적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함으로써 중년여성들의 자아존중감, 긍정적 사고 및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활용할 당위성과 필요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감성지능(EQ), 자존감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nurse's communication 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EQ), self - esteem and interpersonal ability)

  • 유미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80-290
    • /
    • 2018
  • 본 연구는 의사소통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대조집단 사이의 의사소통능력, 감성지능, 자존감과 대인관계능력의 차이를 비교하는 비동등성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의 D대학병원에 근무하는 21명의 간호사를 실험집단으로, 21명의 간호사를 대조집단으로 구성하여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실험집단에게는 의사소통능력, 감성지능, 자존감 및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주 1회 2시간씩 총 4회기를 진행하였고, 연구의 효과성 검정을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 23을 이용하여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Mann-Whitney의 U검증, 대응표본 Wilcoxon 부호 순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은 대조집단에서 의사소통능력(Z=-3.361, p<.05), 감성지능(Z=-2.209, p<.05), 자존감(Z=-1.633, p<.05), 대인관계능력(Z=-2.577, p<.05)으로 나타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후 실험집단의 의사소통능력, 감성지능(EQ), 자존감 및 대인관계능력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모든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임상현장에서 간호업무 수행 시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을 활용한다면 의사소통능력, 감성지능(EQ), 자존감 및 대인관계능력의 향상으로 치료적인 의사소통과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여 환자의 만족감을 높이고 간호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부적응 행동 아동의 우울·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Decrease in Depression and Anxiety and Improv in Self-esteem of maladaptive Behavior Child)

  • 이영환;정남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71
    • /
    • 2009
  • 본 연구는 가정이나 학교생활에서의 부적응 행동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우울 및 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J시 초등학교 1학년 여자 아동(만 7세)으로 주 2회, 50분씩 총 24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치료 종결부분에 어머니-아동과 함께 6회기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우울 및 불안 감소를 알아보기 위해 Kovacs와 Beak(1977)이 개발한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를 조수철 이영식(1990)이 번안한 한국형 아동용 우울 척도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Reynolds와 Richmond(1978)가 제작한 Revised Child Manifest Anxiety Scale(RCMAS)을 조수철 최진숙(1990)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정서적인 평가를 위해 KHTP, KFD 그림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의 아동의 변화를 회기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아동의 KHTP, KFD 그림검사에서는 긍정적으로 정서적 안정이 변화되었으며, 가족의 소속감 응집력이 강화되어 친밀한 가족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회기별 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아동의 우울 및 불안이 감소되고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미술치료가 부적응 행동 아동의 우울 및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