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d Experiments

검색결과 2,547건 처리시간 0.032초

모사 Spray Type 배연탈황설비를 이용한 소성패각 슬러리의 SO2 흡수능 평가: 석회석과의 비교연구 (Evaluation of SO2 Absorption Efficiency for Calcined Oyster Shell Slurry Using a Simulated Spray Type-flue Gas Desulfurization (FGD) System: A Comparative Study with Limestone Slurry)

  • 김석휘;홍범의;이진원;차왕석;김강주;문보경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2호
    • /
    • pp.119-128
    • /
    • 2019
  • 국내에서는 연간 약 30만 톤 내외의 굴패각이 발생되고 있어, 이를 대규모로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CaCO_3$가 주성분인 굴패각을 탈황재료로 사용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지금까지는 주로 건식탈황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굴패각을 소성하여 습식탈황재료로 활용하는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습식배연탈황공정의 하나인 spray type 방식의 모사탈황장치를 제작하여 소성 굴패각의 탈황특성을 석회석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소성 굴패각은 석회석이나 소성하지 않은 굴패각에 비하여 우수한 $SO_2$ 흡수능을 보였다. 이는 굴패각이 소성 및 수화반응을 통해 상대적으로 반응성이 높은 형태($Ca(OH)_2$)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반응잔류물 중에 석고($CaSO_4{\cdot}2H_2O$)의 함량이 다른 경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속탈황실험에서는 소성 굴패각이 석회석에 비하여 큰 pH 변동폭을 보였으며, 석회석과 소성 굴패각을 혼합하여 수행된 탈황실험에서도 소성 굴패각의 혼합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pH변동폭이 커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소성 굴패각의 $SO_2$ 흡수 반응성이 큰 것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소성 굴패각을 습식탈황에 이용할 경우 탈황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도 보여준다.

도파민이 첨가된 에폭시 기지재의 기계적 물성 및 유리섬유 간 계면접착력 향상 (Epoxy Matrix with Adding Dopamine for Improving Mechanical Property and Interfacial Adhesion with Glass Fiber)

  • 신평수;김종현;백영민;박하승;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96-101
    • /
    • 2019
  • 섬유와 수지 간 계면접착력은 복합재료 성능과 관련되므로 이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피로 하중 조건에서의 마이크로드롭렛 실험에 의한 계면접착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도파민이 적용된 에폭시 수지에 대하여 기계적 물성 및 계면접착력을 측정하였다.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장 시편을 제작하였고, 계면 접착력 평가를 위하여 유리섬유에 에폭시 마이크로드롭렛을 만든 시편을 사용하였다. 특히 마이크로드롭렛 피로 실험 시 동일한 직경의 마이크로드롭렛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하였다. 그 결과 인장 및 마이크로드롭렛 실험을 통해 에폭시 수지에 도파민이 적용될 때 기계 및 계면접착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도파민이 에폭시 수지의 경화정도를 향상시키고 에폭시 수지에 하이드록실 그룹을 부여하여 기계적 물성 및 유리섬유 간 계면 접착력을 증가시켰을 것으로 사려된다.

유방암 동물모델에서의 저강도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마이크로버블 및 마이크로버블-나노물질 복합체 기반 항암제 전달 효율 검증 (Effects of Anticancer Drug Delivery based on Microbubble and Microbubble-Nanoparticle Complex using Low-Intensity Focused Ultrasound in Breast Cancer Animal Model)

  • 백희규;하신우;허형규;정병진;한문;문형원;김상균;이학종;박주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9-47
    • /
    • 2019
  • Ultrasound sonication along with microbubble (MB) could enhance drug delivery to promote the absorption of anticancer drugs into cancers in a noninvasive and targeted manners. In this study, we verify the acute drug delivery enhancement (within an hour) of two representative focused ultrasound driven drug delivery enhancement methods (MB and Doxorubicin-coated Nanoparticle complex (MB-NP) based).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in vivo mouse model with MDA-MB-231 breast cancer cell line. Ultrasound generated by single-element 1 MHz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was delivered in pulsed sonication consisted of 0.125 msec bursts at a pulse repetition frequency of 2 Hz for 20 seconds without a significant increase in local temperature (less than $0.1^{\circ}C$) or hemorrhage. Doxorubicin concentrations in tumors were improved by 1.97 times in the case of MB-NP, and 1.98 times by using Doxorubicin and MB separately. These results indicate anticancer drug delivery based on MB and MB-NP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effect of anticancer drugs delivered to tumors in a short time period by using low-intensity focused ultrasound.

Effect of keratinase on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in five feedstuffs fed to growing pigs

  • Huang, Chengfei;Ma, Dongli;Zang, Jianjun;Zhang, Bo;Sun, Brian;Liu, Ling;Zhang, Shu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2호
    • /
    • pp.1946-1955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keratinase (KE) on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amino acids (AA) in rice bran, cottonseed meal (CSM), rapeseed meal (RSM),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and peanut meal (PNM). Methods: Twelve crossbred barrow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50.5{\pm}1.4kg$ body weight [BW]) fitted with T-cannulas at the terminal ileum were allotted to a $12{\times}6$ Youden Square design with 12 diets and 6 periods. The treatment diets included rice bran, CSM, RSM, corn DDGS, PNM, or corn-soybean meal (cSBM) supplemented with 0.05% KE or not. Diets were given to pigs at a level of 3% BW in two equal meals. The endogenous AA losses were the mean results of three previously experiments determined by a same nitrogen-free diet fed to pigs. Pigs had free access to water during the experiment. Results: The KE supplementation improved (p<0.05) the AID and SID of Met, Thr, Val, Asp, Cys, and Tyr in rice bran. Inclusion of KE increased (p<0.05) the AID and SID of Met and Val in CSM. The KE supplementation decreased (p<0.05) the AID and SID of His in RSM and all measured AA except for Arg, Met, Trp, Val, Gly, and Pro in corn DDGS. There was an increase (p<0.05) in AID and SID of Leu, Ile, Met, Ala, Cys, Ser, and Tyr in PNM supplemented with KE compared with that without KE. Inclusion of KE increased (p<0.05) the AID and SID of crude protein, Leu, Ile, Phe, Thr, Asp, and Ser in cSBM.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KE had different effects on ileal AA digestibility of feedstuffs for growing pigs, which can give some usage directions of KE in swine feed containing those detected feedstuffs.

실리콘 화합물로 도포된 목재의 열위험성 평가 (Heat Risk Assessment of Wood Coated with Silicone Compounds)

  • 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9-19
    • /
    • 2019
  • 실리콘 화합물 4종으로 처리한 편백목재 시험편의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을 ISO 5660-1 표준에 따른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난연재는 소듐실리케이트와 아미노실란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APTMS), 3-(2-aminoethyl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AEA-PMDMS), 3-(2-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AEAPTM)을 실란 화합물로 사용하였다. 외부열유속 $50kW/m^2$에서 연소후 측정된 실리콘 졸로 처리한 시험편의 착화시간은 9~11 s로 얻어졌으며 공시편보다 3~5 s 지연되었다. 최대열방출율은 공시편과 비교하여 5~20% 감소되었고 화재초기위험성은 AEAPMDMS가 가장 높았다. 총열방출량은 1~22% 감소되었다. 화재성능지수(FPI)는 공시편보다 1.5~2.2배 증가하였다. 화재성장지수(FGI)는 AEAPMDMS로 처리된 시험편은 20% 증가하였고 나머지 시편은 93~94% 감소하였다. 따라서 실리콘화합물로 처리한 목재의 화재위험성은 열위험성 측면에서 개선되었다.

진단용엑스선촬영장치의 간접 선량 계산법 개발 (Development of Indirect Dosimetry by Calculation Method in the Diagnostic X-ray Equipment)

  • 김정수;김성환;전민철;주원하;정민규;김미정;이승열;이태희;성열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6호
    • /
    • pp.587-59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direct dosimetry by calculation (IDC) method for diagnostic X-ray equipment.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inverter type X-ray tubes: Toshiba (E7252X, Japan) and Varian (RAD-14, USA). For the development method, we first applied the standard quality of X-ray beam shown in the TRS457 document, and second, to produce the constants of trendline for the IDC, the total filtration on X-ray beam was subdivided.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precision, the energy region was divided into the high energy region and the low energy region and developed by the IDC. In order to verify the IDC, mean dose (mR) values were measured for three Toshiba X-ray tubes and three Varian X-ray tubes at clinical medical institutions and then compared with the IDC on the 2013.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the accuracy of the IDC of this study were improved by 2.71% and 9.91% in Toshiba and Varian X-ray tubes, respectively.

엽과비 조절이 무가온 하우스 하례조생 감귤의 비대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gulation of Leaf to Fruit Ratio on the Fruit Growth and Quality of 'Haryejosaeng' Satsuma Mandarin in Non-Heated Plastic Film House)

  • 강석범;좌재호;문영일;이혜진;한승갑;박경진;김상숙;최영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7-212
    • /
    • 2018
  • BACKGROUND: Recently, the need for a method to cultivate 'Haryejosaeng' Satsuma mandarin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available as this is a new Satsuma mandarin cultivar, which was bred by the RDA in 2004. Many farmers who cultivate this cultivar follow the cultivation method similar to that used for 'Miyagawa' Satsuma mandarin, and suffer low production of optimum-sized fruits. METHODS AND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ratio of leaf-to-fruit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high quality 'Haryejosaeng' Satsuma mandarin fruits in a non-heated plastic film house. Seven-year-old 'Haryejosaeng' Satsuma mandarin trees were used in the study. Before the treatment, the leaf-to-fruit ratio ranged from 5.7 to 17.9. The treatments included 10, 20, 30, and 40 leaves per fruit. The fruits were removed if over fruiting was observed at day 60 after full bloom. We investigated the fruit size and quality on the day of harvest. Flowering and fruiting patterns in each treatment were recorded for the following year. In the experiments, the flower-to-leaf ratio was 1.12 to 1.74. As the leaf-to-fruit ratio decreased, the fruit size and weight also decreased. Contrarily, the higher the ratio of leaf-to-fruit, the higher fruit size and weight were. It was noted that the ratio of 20:1 was ideal to produce the M grade optimum-sized Satsuma mandarin fruits on the day of harvest. However, higher ratio might result in fruits weighting above 100 g.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in terms of fruit quality, such as total soluble solid contents, titratable acid, and color. In the subsequent years, flowering and fruiting in the treatments were lowered when the leaf number per fruit was 10, but they were improved when the leaf number per fruit was above 20.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optimum ratio of leaf-to-fruit was found to be 20:1 for flowering and fruiting of 'Haryejosaeng' Satsuma mandarin. It is important that optimum ratio of leaf-to-fruit is set as a standard to produce good grade and quality of 'Haryejosaeng' Satsuma mandarin fruits.

인체 삽입형 자기 공진 무선전력전송 수신기 설계 및 성능 분석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Magnetic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fer Receiver for Implant Medical Device)

  • 김성재;구현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12호
    • /
    • pp.935-941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소형의 인체 삽입형 의료기기에 자기 공진기법 무선전력전송을 적용하는 경우, 적합한 시스템 구성을 제안하고 성능을 검증하였다. 제안하는 수정된 직렬-병렬 구성은 전력 수신부의 전력 수신 코일과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한 공진기에 직렬로 연결되는 인덕터를 추가하여 구현하며, 낮은 인덕턴스를 가진 전력 수신 코일을 이용하는 경우 직렬 공진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회로분석을 통해 해당 구성의 유효성 및 동작조건을 이론적으로 검증하고, 돼지 지방 및 근육 생체 블록에 무선전력전송 수신코일을 삽입한 환경에서 무선전력전송을 진행하여 전력 전송 효율 및 생체 블록의 온도 변화를 측정 비교하였다. 생체 블록에 2.5~10 mm 깊이로 삽입 시 제안한 구성이 일반적인 직렬-직렬 구성보다 평균 17.79 % 개선된 효율을 보이며, 공기 중에서 32 dBm 전력 송신 시 직렬-직렬 수신 코일은 평균 $0.75^{\circ}C/s$, 제안한 구성의 수신 코일은 평균 $0.18^{\circ}C/s$의 온도 변화를 보여 제안한 구성이 인체 삽입형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구성에 보다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RNCC 기반 다시기 RapidEye 위성영상의 정밀 상호좌표등록 (RNCC-based Fine Co-registration of Multi-temporal RapidEye Satellite Imagery)

  • 한유경;오재홍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81-588
    • /
    • 2018
  • 본 연구는 다시기 영상의 활용이 유리한 RapidEye 영상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이들 간에 지역적으로 존재하는 기하오차를 최소화 하는 정밀 상호좌표등록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RapidEye 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RPCs (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다시기 정사영상을 생성하고, 정사영상 간의 정밀 상호 좌표등록을 수행하였다. 정사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 수치지도에서 추출된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였으며, 정밀 상호좌표등록을 수행하기 위하여 RNCC (Registration Noise Cross Correlation) 기법을 적용하였다. 영광지역에 대해 2015년 5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획득된 RapidEye 1B 영상 총 4장을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밴드별(blue, green, red, red edge, near-infrared)로 적용된 정밀 상호좌표등록 결과 비교분석을 통해 각 밴드가 보이는 상호좌표등록 적용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실험 결과, RapidEye 영상의 모든 밴드를 활용하여 상호좌표등록이 가능하였으며, 상호좌표등록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다시기 영상 간 정량적/정성적으로 향상된 기하 일치도를 보였다. 특히 red와 red edge 밴드를 이용할 경우 다시기 영상 촬영시기의 계절적 차이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상호좌표등록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딥러닝 모형을 사용한 한국어 음성인식 (Korean speech recognition using deep learning)

  • 이수지;한석진;박세원;이경원;이재용
    • 응용통계연구
    • /
    • 제32권2호
    • /
    • pp.213-22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베이즈 신경망을 결합한 종단 간 딥러닝 모형을 한국어 음성인식에 적용하였다. 논문에서는 종단 간 학습 모형으로 연결성 시계열 분류기(connectionist temporal classification), 주의 기제, 그리고 주의 기제에 연결성 시계열 분류기를 결합한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각 모형은 순환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혹은 합성곱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하였다. 추가적으로 디코딩 과정에서 빔 탐색과 유한 상태 오토마타를 활용하여 자모음 순서를 조정한 최적의 문자열을 도출하였다. 또한 베이즈 신경망을 각 종단 간 모형에 적용하여 일반적인 점 추정치와 몬테카를로 추정치를 구하였으며 이를 기존 종단 간 모형의 결괏값과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논문에 제안된 모형 중에 가장 성능이 우수한 모형을 선택하여 현재 상용되고 있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들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우리말샘 온라인 사전 훈련 데이터에 한하여 비교한 결과, 제안된 모형의 word error rate (WER)와 label error rate (LER)는 각각 26.4%와 4.58%로서 76%의 WER와 29.88%의 LER 값을 보인 Google API보다 월등히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