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ession coping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1초

새로운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임플란트 인상법의 정확성에 대한 3차원적 비교 연구 (Three Dimens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Accuracy Of Impression Technique Using New Impression Coping)

  • 김세라;김인수;박성재;이병옥;고석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3호
    • /
    • pp.323-337
    • /
    • 2010
  • 본 연구는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 제작을 위한 pick-up 인상 채득시 flag type의 새로운 인상용 코핑을 이용하여 제작된 모형과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인상용 코핑에 의해 제작된 모형의 정확성을 3차원적으로 비교하여 새로운 형태의 인상용 코핑을 사용한 인상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크릴릭 레진 블록으로 좌측은 전부 무치악, 우측은 제 2 소구치가 상실된 상악 기준 모형을 제작하였다. 상악 우측 제 2소구치, 좌측 중절치, 좌측 견치, 좌측 제 2 소구치, 좌측 제 2 대구치 부위에 외부 육각 연결 방식의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하였다. 기준 모형에 사용된 인상용 코핑 및 코핑 간에 연결 여부에 따라 세 가지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임플란트 고정체에 flag type 의 인상용 코핑을 체결한 경우 (실험군 I), 기존 형태인 원통형의 인상용 코핑을 체결한 후 인상용 코핑을 자가 중합 아크릴릭 레진으로 연결한 경우 (실험군 Ii), 원통형 인상용 코핑을 체결한 후 자가 중합 레진으로 연결하지 않은 경우 (실험군 III). 총 15개의 모형을 제작하여 인상 채득하여 작업 모형을 제작한 후 기준 모형 및 작업 모형을 5번씩 측정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flag type의 인상용 코핑을 이용하여 인상 채득한 군, 기존의 인상용 코핑을 자가 중합 레진으로 splinting하여 인상 채득한 군, 기존의 인상용 코핑을 splinting 하지 않고 인상 채득한 군의 작업 모형에서 각 임플란트 유사체 간 거리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05). 또한 동일 수평면에 대한 수직적 거리를 비교한 결과 flag type의 인상용 코핑을 사용하여 제작한 작업 모형이 Point 2에서는 기준 모형에 가장 근접한 수치를 보였고 Point 3에서는 오차가 가장 컸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05). 그 외 Point에서는 세 가지 방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05). 새로운 인상용 코핑을 사용한 인상법은 기존의 인상용 코핑을 사용한 인상법과 비교적 유사한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Effect of impression coping and implant angulation on the accuracy of implant impressions: an in vitro study

  • Jo, Si-Hoon;Kim, Kyoung-Il;Seo, Jae-Min;Song, Kwang-Yeob;Park, Ju-Mi;Ahn, Seung-Geu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2권4호
    • /
    • pp.128-133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of the implant master cast according to the type (pick-up, transfer) and the length (long, short) of the impression copings. MATERIALS AND METHODS. The metal master cast was fabricated with three internal connection type implant analogs (Osstem GS III analog), embedded parallel and with $10^{\circ}$ of mesial angulation to the center analog. Four types of impression coping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types (transfer, pick-up) and lengths (long, short) of the coping. The impressions were made using vinyl polysiloxane (one step, heavy + light body) with an individual tray, and 10 impressions were made for each group. Eventually, 40 experimental casts were produced. Then, the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master cast and the experimental cast were measured, and the error rate was determined. The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v 12.0) program (${\alpha}$= .05),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 < .05. RESULTS. The ANOVA showed that the pick-up type impression coping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error rate than the transfer typ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impression coping. Addition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parallel and mesial angulated groups.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pick-up type impression coping exhibited a more accurate implant master cast than the transfer type in parallel group. The accuracy of the implant master cast did not differ for different lengths of impression coping of at least 11 mm. Additionally, the accuracy of the implant cast was not different for the parallel and $10^{\circ}$ mesial angulated groups.

Accuracy of new implant impression technique using dual arch tray and bite impression coping

  • Lee, Shin-Eon;Yang, Sung-Eun;Lee, Cheol-Won;Lee, Won-Sup;Lee, Su You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0권4호
    • /
    • pp.265-270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 new implant impression technique using bite impression coping and a dual arch tray. MATERIALS AND METHODS. Two implant fixtures were placed on maxillary left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area in dentoform model. The model with two fixtures was used as the reference. The impression was divided into 2 groups, n=10 each. In group 1, heavy/light body silicone impression was made with pick up impression copings and open tray. In group 2, putty/light body silicone impression was made with bite impression copings and dual arch tray. The reference model and the master casts with implant scan bodies were scanned by a laboratory scanner. Surface tessellation language (STL) datasets from test groups was superimposed with STL dataset of reference model using inspection software. The three-dimensional deviation between the reference model and impression models was calculated and illustrated as a color-map. Data was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of variance at ${\alpha}=.05$. RESULTS. The mean 3D implant deviations of pick up impression group (group 1) and dual arch impression group (group 2) were 0.029 mm and 0.034 mm,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n 3D deviations between groups 1 and 2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75). CONCLUSION. Within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accuracy of implant impression using a bite impression coping and dual arch tray is comparable to that of conventional pick-up impression.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 증례 (Posterior single implant prosthesis using scannable healing abutment)

  • 김성민;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32-438
    • /
    • 2019
  • 임플란트 보철 치료의 성공에 정확한 인상 채득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보철의 인상을 채득하는 방법에는 임프레션 코핑과 인상재를 이용한 전통적인 방법과 구강 스캐너와 디지털 인상 코핑(scanbody)을 이용한 디지털 인상채득법이 있다. 하지만 인상용 코핑과 scanbody는 모두 구강 내 치유 지대주(healing abutment)를 제거하고 장착해야 한다. 때문에 술자는 치유 지대주와 임프레션 코핑 또는 scanbody를 여러 번 체결하고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임프레션 코핑 또는 scanbody는 교합면보다 높게 솟아 있어 환자는 지속적으로 개구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치유 지대주에 scanbody의 스캔 가능 부분(scannable part)을 부여하여 치유 지대주를 제거할 필요 없이 구강 내에서 직접 구강 스캐너로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scannable healing abutment)가 소개되었다.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하여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를 수복한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Strain gauge를 사용한 임플랜트 인상법의 정확도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CURACY OF IMPLANT IMPRESSION TECHNIQUES BY USING STRAIN GAUGE)

  • 한인택;김영수;김창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39-54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3 implant impression methods by using strain gauge. The models used for this study were partially edentulous mandibular acrylic resin casts Model A, with two abutment analogs in #46,47 extraction site, represented two implant parallel to to the adjacent natural tooth. Model B represent an anterior implant parallel to the adjacene natural tooth and a posterior implant exhibiting a 15-degree lingual inclination. Master framework were fabricated on the master model, and 3 strain gauges were attached to a master framwork to determine the passivity of fit of the framework to sample casts made by the three impression techniques. The master framework was attached to each sample cast with gold screws, which were tightened with the torque driver to ensure a consistent toque application of 10 Ncm. Universal Digital Measuring System UCAM-5BT was used for strain measuring. Impression techniques studid were : 1. unsplinted tapered impression coping, polyvinyl siloxane, stock tray 2. unsplinted squared impression coping, polyether, custom tray 3. squared impression coping splinted with Duralay resin, polyether, custom tray Through analysis on data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an strain recorded from the sample casts made with the tree impression. But only strain values of model A(parallel group) Y-axis was signifcantly differed between Technique 1 and 3(P<0.05).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del A(parallel group) and model B(15-degree divergent group).

  • PDF

구강인기법과 왁스블록의 종류에 따른 금속 코핑의 변연적합도 비교 (Comparison of marginal fit of metal copings according to wax blocks and oral scanning methods)

  • 정인성;김원영;전병욱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4-239
    • /
    • 2020
  • Purpose: We investigated the marginal fit between abutment and metal copings according to impression technique, wax block types, and metal types. Methods: We selected the traditional impression method of using rubber impression materials and the digital impression method of using oral scanners, three types of wax blocks, and two types of metal, both of which were domestically and commercially available, were selected to produce metal copings, and the marginal fit was determined through the use of silicon replication. Results: The measurements of axial wall fit revealed that the IYV specimens had the best fit, with a mean gap of 24.11±5.95 ㎛, followed by CEV, CHV, CSS, CSV, CES, CHS, and IYS specimens (mean: 33.44±8.41 ㎛).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rginal gap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CEV specimen had the smallest gap, 17.25±4.13 ㎛, followed by the CSV, CHV, CSS, CES, CHS, IYV, and IYS specimen (mean: 43.47±15.63 ㎛).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axial wall fit of the metal coping (VeraBond2V; Aalba Dent, Inc., Fairfield, CA, USA) produced by the lost wax technique with the traditional impression method was excellent. The marginal fit of the metal coping (VeraBond 2V) produced by wax milling with the use of an oral scanner was also excellent. The marginal fit of the metal coping was within the clinically acceptable limits in all groups.

세 가지 방식으로 제작된 레진코핑의 내면적합성 평가: 3차원적 분석 (Assessment of internal fitness on resin copings fabricated by 3 - ways methods: Three - dimensional analysis)

  • 강신영;박진영;김동연;김웅철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7-24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ernal fitness of the resin coping that was fabricated by the traditional and Digital manufacturing methods through 3-dimensional analysis. Methods: maxillary right second molar was chosen implant master model. Custom-built impression trays were manufactured. After screwing the pick-up impression coping onto the master cast, impressions were made with silicone impression. The Working model was then made with type IV stone. The coping was fabricated: SLAC group (n=8), APPC group (n=8), LAPC group (n=8) Resin coping data was measured by using a three-dimensional evaluation program. Internal fitness was calculated by RMS (Root Mean Square).It measur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D). Results: Three groups are measured $47.11{\pm}(3.08){\mu}m$ total RMS of SLAC group, $48.35({\pm}1.55{\mu}m)$ for total RMS of LAPC group, $43.45{\pm}2.09{\mu}m$ for total RMS of APPC group. Measured value is gradually increased. Followed by autopolymerized pattern resin; Stereolithography resin, Light-activated pattern resin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stastically(P>0.321). Conclusion: Evaluation of internal fitness on Resin copings was fabricated by three-ways methods showed that no difference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linically acceptable results.

임플란트 인상채득 방법과 인상용 코핑 연결 고정에 따른 정확성 비교 (Comparative accuracy of implant impression techniques with different splinting materials)

  • 홍기윤;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1호
    • /
    • pp.9-20
    • /
    • 2023
  • 목적: 하악 부분 무치악 모형에서 pick-up type 인상용 코핑을 사용한 개방형 인상 채득법과 transfer type 인상용 코핑을 사용한 폐쇄형 인상 채득법, 개방형 인상 채득법에서 pick-up type 인상용 코핑 고정 재료에 따른 인상 채득 정확성을 비교 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하악 부분 무치악 모형의 좌측 구치부에 직경 4.5 mm, 길이 11.5 mm의 임플란트 고정체 두 개 식립 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개방형 개인 트레이 30개 폐쇄형 개인 트레이 10개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개인 트레이를 이용하여 PN군: 개방형 인상 채득법(non-splint), PG군: 개방형 인상 채득법(splint GC pattern resin), PH군: 개방형 인상 채득법(splint Herifix), TN군: 폐쇄형 인상 채득법으로 나누어 각 군당 10회씩 총 40회의 인상 채득을 진행하였다. 인상채득 후 석고 모형을 제작하여 모델 스캐너로 스캔 후 역설계 프로그램으로 스캔오차를 측정하여 95% 유의수준으로 평가 하였다. 결과: 폐쇄형 인상 채득법 TN군이 개방형 인상 채득법 PN군 보다 더 낮은 오차값을 보였다. 개방형 인상 채득법(splint)에 사용된 인상용 코핑 고정 재료 간의 비교 결과에서는 PH군에서 가장 낮은 오차값을 보였으며 PN군, PG군 순으로 정확한 인상 채득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임플란트 인상 채득 방법이나 인상용 코핑의 연결 고정 유무에 따른 각 군 간의 정확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다.

임플란트 디지털 인상용 코핑의 정확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implant digital impression coping)

  • 안교진;이준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1호
    • /
    • pp.29-40
    • /
    • 2020
  • 목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과 pick-up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인상 채득법의 정확도를 다른 임플란트 식립 각도에서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D 프린터를 이용해 주모형을 제작하고 0°, 10° 및 20°의 근심경사로 3개의 임플란트를 위치 시켰다. 각각의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체결하고 주모형을 스캔하여 참조 모델을 만들었다. P군 모델은 pick-up 인상용 코핑을 사용하여 15개의 석고 모형을 만들고 지대주를 장착 후 스캔하여 제작하였다. E군과 S군의 모델은 각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주모형에 체결하고 구내 스캐너를 이용해 15회씩 인상채득을 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STL 파일은 best fit alignment를 이용해 참조 모델과 중첩하였고 root mean square (RMS) 값을 분석하였다. 결과: RMS 값은 P군에서 가장 작았고(25.56 ± 2.53 ㎛), 그다음 S군(35.27 ± 2.56 ㎛), E군(38.29 ± 4.12 ㎛) 순 이었다. S군과 E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고, P군은 S군과 E군 보다 작았다(P < 0.05). 임플란트 각도와 RMS 값의 상관관계는 E군에서 유의하였다(P < 0.05). 결론:Pick-up 인상용 코핑 방법은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채득 방법에 비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방법은 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Encoded healing abutment의 임상적 사용은 가능하나 경사진 임플란트의 인상의 경우 주의하여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상채득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임플란트 인상채득의 정확성 (Accuracy of the healing abutment and impression coping combined system on implant impression)

  • 전경배;이두형;김정한;황준호;박현위;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05-110
    • /
    • 2015
  • 목적: 새롭게 개발된 인상채득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인상채득과 기존의 임프레션 코핑을 이용한 인상채득을 3차원적으로 비교함으로써 개발된 시스템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재료 및 방법: 10명의 환자에서 구치부에 임플란트(SuperLine; Dentium, Seoul, Korea)를 식립 후 치유지대주(MyHealing; Raphabio Co., Seoul, Korea)를 연결하였다. 식립 3개월 후 보철물 제작을 위한 인상채득시 인상채득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transfer 방식과 기존의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pick-up 방식으로 두 번 인상채득 후 각각 주모형을 제작하였다. 맞춤형 보철 지대주(Myplant; Raphabio Co., Seoul, Korea)를 제작하고 각각의 주모형에 체결 후 치과용 스캐너(Scanner S600; Zirkonzahn, South Tyrol, Italy)로 가상의 모형을 형성하였다. 3차원 분석 프로그램(Geomagic Qualify 12; Geomagic, Morrisville, NC, USA)을 이용하여 두 개의 가상의 모형을 중첩하여 지대주의 위치와 기울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측정값은 Kruskal Wallis과 Mann-Whitney U test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유의수준은 0.05 로 설정하였다. 결과: 두 가지 인상법에 따른 지대주의 위치는 근원심 방향에서 0.032 mm, 협설측 방향에서 0.029 mm, 상하 방향에서 0.023 mm의 차이를 보였다. 기울기는 근원심 방향에서 $0.755^{\circ}$, 협설측 방향에서 $1.275^{\circ}$, 상하 방향에서 $0.420^{\circ}$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인상채득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인상채득 방식은 기존의 전통적인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방식과 비교 시 0.032 mm 이내의 차이를 보였고 기존 논문과의 비교 시 유사한 수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