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mportant cultural asset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1초

남해안의 전통적인 수산 어로방식인 죽방렴의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Traditional Fishing Instrument with Bamboo Weir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Peninsula)

  • 이경주;권호종;정대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69-480
    • /
    • 2019
  • 본 연구는 죽방렴에 관한 역사적 근거를 찾고자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보다 높이고, 그 기원을 증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농업과 수산업을 중심으로 살아왔다. 과거 어로기술의 부족으로 어로도구가 충분치 않았던 시절에는 죽방렴은 국가의 중요한 어업자원이자 자산이었다. 죽방렴은 과학적 구조원리에 의해 만들어져 있어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죽방렴은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어로방식이자 지역주민들의 공동체적 자산으로서 미래에도 전해주어야 할 문화유산이다. 문헌상 죽방렴의 기원은'어량' 또는 '방염'에서 찾을 수 있다. 이에 관한 기록은 고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나 그 문헌적 기록이 희귀하며, 대부분이 조선시대의 기록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의 남해안 지역의 문헌적 기록들을 중심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죽방렴에 대한 문헌적 기록에 대한 본 연구는 친환경적인 어로방식을 추구한 우리조상들의 문화자산을 지키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며, 세계기록유산의 등재를 위한 기록물에 근거한 객관적인 자료를 만드는데도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죽방렴의 문화유산적 가치와 비즈니스적 가치 탐색 연구 (A Research of Cultural Heritage and Business Value of the Juk-Bang-Ryeum(Fishing Instrument made-by Bamboo Weir))

  • 강명화;이경주;권호종;정대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25-435
    • /
    • 2018
  • 본 연구는 경남 사천지역에 잔존해 있는 죽방렴의 실제 현황조사와 여러 역사적 문헌 고찰을 통해 죽방렴의 문화적 가치와 비즈니스 가치를 연구하여 지역문화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입증하고 세계농어업유산과 세계문화유산의 등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농업과 더불어 수산업은 인류 역사에 있어 지대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요인으로 인하여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발전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르는 양식산업 이전 원시산업의 채집, 수렵할 때부터 이어온 여러 어로방식 중 실제로 남아있는 것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경남 남해안의 사천과 남해지역에는 오백년 이전부터 지금까지 존재하여 실제로 운영하는 '죽방렴'이 있다. 이것은 예전부터 국가의 중요한 어업자원으로 관리되어져 왔다는 것을 여러 문헌적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죽방렴은 자연지리적인 해협의 조류 흐름을 이용하여 고기를 채집하는 과학적 원리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우리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것이다. 조사결과, 죽방렴과 관련한 독특한 지역공동체의 문화가 존재하였으며, 주민들에게도 중요한 자산으로 관리되어져 왔다. 죽방렴은 이러한 역사, 인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과학적 어로원리 이해교육과 해양어로작업 체험장과 같은 교육적 가치와 주변의 역사유적 및 지질환경자원과 연계하여 지역의 중요한 관광자원으로서 비즈니스적 가치를 지닌다. 결론적으로 죽방렴은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서 전승해야할 주요 자산인 것이다.

제주지역 박물관의 의장적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제주특별자치도 경관관리지침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Museums in Jeju - Focused on Landscape Management Guideline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 박정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47-56
    • /
    • 2013
  • As architecture has a role of vessel that contains human life, architecture of museums in a region must be a vessel that contains identity of the region. Jeju Province possesses excellent natural landscape acknowledged by the world. As such, architectural design of museums in Jeju region, differentiated in terms of natural, human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from other regions, must include identity of Jeju. Jeju has established and is operating so many museums with different themes that it is referred to as the heaven of museums. In addition, museums as cultural facilities must be the measure of cultural level representing regional identity and perform the role of advance guard that leads architectural culture of the region. Also, such excellent architectural asset is an important landscape element that increases value of the region. Based on Landscape Management Guideline established in 2009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under such critical mind, this study will support design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museums through case study and analysis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nd private museums in Jeju.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be pursued by future museums that contain identity of Jeju, based upon the results of analysis described above.

무형문화재 보유단체 분열에 대한 인식(認識)의 재고(再考)를 요(要)함 -양주별산대놀이 사례 중심- (Necessary to reconsider the recognize of the disuniting of organizations hold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 From the viewpoint of Yangjubyeolsandae-nori -)

  • 정필섭
    • 공연문화연구
    • /
    • 제43호
    • /
    • pp.405-440
    • /
    • 2021
  •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양주별산대놀이는 2010년 보유단체 구성원이 두 개로 쪼개진다. 이전시기부터 진행된 단체의 내분이 폭발한 것이다. 연구주제는 그 분열을 다룬 것이다. 연구목적은 첫째, 양주별산대놀이 분쟁의 원인·전개·일단락에 대한 기록이다. 둘째, 중재에 나선 문화재청이 취한 행정조치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이다. 셋째, 본 연구가 문화재청이 단체분쟁에 대처할 원칙수립에 기여함이다. 넷째, 본 연구가 여타 보유단체 분쟁해결의 참고 사례로 기능하길 바란다. 연구결론은 전승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유단체분쟁을 해결해야 함을 행정당국이 인식하고 원칙을 세우고 대응해 가야한다는 주장이다. 그 내용은 해제에 대한 제도구성이다. 분쟁을 다루는 것도 학문의 영역이라 여긴다. 저자의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본 연구가 학문에 기여하고 사회에 기여하길 바라며 상정한다.

객사(客舍) 누각(樓閣)의 기능 및 공간성 변화 - 밀양(密陽) 영남루(嶺南樓)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Government Pavilion, Miryang Yeongnamnu in terms of Function and Spatiality)

  • 류성룡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8호
    • /
    • pp.69-76
    • /
    • 2018
  • This study is basically about the changing appearance of the big pavilion, Yeongnamnu in Miryang city belonging to the government guesthouse of Joseon dynas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firms that even if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has not changed, the function of the building changes because the reason why people think about the building is also different. First, looked at the appearance of architecture and the function of architecture that changes with the times. In the course of the research, the changes of pavilion were traced by dividing it into five from Kory? dynasty which was first established to the present. Then, tried to find out the change patterns by analyzing important events related to buildings or places in each period.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1. Because of the Buddhist repression policy in Joseon Dynasty, the Yeongnamnu changed from the temple pavilion to the government pavilion. 2.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Yeongnamnu was the representative scenic of Miryang City. 3. In the late Joseon Dynasty, Yeongnamnu was famous as a place where a woman named Arang devoted her life in order to preserve his fidelity. 4. Since 1910, Yeongnamnu has become an important cultural asset, and space has been widely used as a venue for various public events. 5. From 1945 to 1999, Yeongnamnu was used mainly for the events of Arang Remembrance and Miryang Culture Festival. And the inner space of Yeongnamnu was rarely used because people thought preservation is important.

지역사회복지계획의 기반조성을 위한 지역사회응집력과 지역사회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Cohes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for the Foundation of Community Welfare Planning)

  • 강대선;류기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27-53
    • /
    • 2007
  •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법적 행정적 제도화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사회문화 중심의 지역사회참여 증진 전략을 도출하고자, 지역사회정신이자 문화인 지역사회응집력의 세 가지 영역 즉 지역사회 네트워크, 지역사회연대감, 장소 애착감과 지역사회참여와의 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응집력의 세 가지 영역은 모두 지역사회참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이 중 주민특성을 고려할 때 지역사회연대감과의 관계를 통한 지역사회 참여 증진 전략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은 참여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노인의 지역사회지식 활용과 나눔 전략, 주민의 장기거주 및 최종정착 유도 전략, 저소득계층의 소득증진 및 창출 전략, 종교조직과 구성원의 지역사회책임성 증진 전략, 여성참여의 의도적 확대 및 적합성 전략을 지역사회참여 증진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지역사회 주민-문화적 자산중심의(residents-cultural asset driven) 통합적 지역사회복지계획 산출의 기반 조성에 기여하는 데 있다.

  • PDF

김정연의 춤 활동에 관한 무용사적 의의 - 『한국무용도감』을 중심으로 -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n the dance activity of Kim Jung yeon. - Centered around Korea dance illustrated guide -)

  • 이정노;이주희
    • 공연문화연구
    • /
    • 제33호
    • /
    • pp.303-328
    • /
    • 2016
  •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권번 예기로 활동했던 김정연의 삶을 확인하고 그가 근현대시기를 거쳐 어떤 춤 활동을 했는지, 또 그가 저술한 "한국무용도감" 속의 춤 작품들이 어떤 무용사적 의의를 지니는지를 고찰한 연구다. 서도소리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였던 김정연은 문화재 지정 이후 국악계에 전념하면서 무용계에서 낯선 인물이 되었지만, 권번에서는 명무가인 이장산에게 춤을 사사했고 해방 후 1960년대 초까지 춤 활동에 주력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학습과 창작 활동의 결실인 작품들은 그의 저서 "한국무용도감"에 실렸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간 무용계에서 주목받지 못했으나 근현대 무용사에 있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중요한 업적을 남긴 김정연과 그의 작품을 연구하여 근현대무용사에 있어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증강현실 활용 전시를 위한 문화 유물 디지털 3D 복원 (3D Restoration of Cultural Remains for Exhibiting Augmented Reality)

  • 정미영;유석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549-554
    • /
    • 2017
  • 최근 국내에서 각종 사회 이슈와 미디어, 언론인 등을 통해 역사의 중요성이 동시대 중요 가치의 하나로 이어지고 있다. 문화 콘텐츠 산업에서의 역사 유물은 핵심 자산으로서 그 가치를 선명히 보여주는 중요한 존재이다. 역사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3D 모델링 등 디지털로 복원하여 문화 콘텐츠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 현실을 활용하여 유물 복원을 통해 아동들의 유물체험에 있어서 더욱 풍부한 경험과 체험적인 학습교재를 제안할 수 있는 융합 디바이스와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박물관 전시에서의 유물 이해를 도와주면서 재미를 더해줄 수 있는 교육용 게임콘텐츠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라피티(Graffiti)를 활용한 도시 문화콘텐츠 융합 디자인 방안 (A Plan of Graffiti Utilization as Convergence Design on Urban Cultural Contents)

  • 임병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397-402
    • /
    • 2016
  • 본 연구는 그라피티(Graffiti)를 동두천 구시가지에 적용하여 도시를 재생시키고, 더 나아가 그것을 도시의 정체성으로 연결시키는 도시 문화콘텐츠 융합 디자인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를 위해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동두천의 정체성 배경과 문화자산을 조사해보고 정체성이 잘 드러나는 장소를 분석하였으며 그리고 관내 대학을 다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도시 정체성 강화 방안으로서 그라피티 활용에 대한 긍정적 반응을 얻었다. 동두천에 미군이 주둔하면서 만들어진 이국적 이미지는 도시의 정체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된다. 락 페스티벌은 미군 주둔에 따른 문화적 영향으로 자리를 잡게 된 동두천의 대표적인 문화자산으로서 도시 정체성을 결정짓는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문화자산과 자연스럽게 어울리고 도시 정체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요소로서 그라피티라는 시각문화가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에서는 동두천시의 정체성 변화와 도시재생 효과, 그리고 무공해 문화 창조의 도시 이미지 부각 효과를 기대하면서 그라피티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조선왕조실록」 밀납본의 열화특성 분석 (Analysis on deterioration behaviors of the beewax-treated Annals of Joseon Dynasty)

  • 조병묵;김형진;최태호;엄태진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8호
    • /
    • pp.21-37
    • /
    • 2007
  • Paper cultural asset show various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during the storage. The understanding of the paper itself and its conservation knowledge is thus prerequisite to preserve paper cultural assets and pass them to descendants in a good conditio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ur written cultural assets (National treasure No.151) and it is registered as a UNESCO Memory of the World.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is composed of 1707 volumes and 1,187 books that were written on the official history of 472 years(AD 1392-1863) from King Taejo to King Chuljong (25 generations). Among them, beewax-treated Annals show severe damages due to the deterioration of wax materials such as breaking, hardening, darkening, discoloring and whitening. Urgent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serve the Annals and prevent further deterioration. Therefore, a systematic and scientific approach on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is definitely necessary. So it can be used an example to show how much the preservation science can conserve the paper cultural asse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paper properties and deterioration behaviors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the most damaged one, using non-destructive micro analysis techniqu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