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ortality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7초

인간과 로봇의 도덕성 판단, 마음지각과 불멸지각의 관계 (Moral Judgment, Mind Perception and Immortality Perception of Humans and Robots)

  • 신홍임
    • 감성과학
    • /
    • 제26권3호
    • /
    • pp.29-40
    • /
    • 2023
  • 많은 사람들이 불멸에 관심이 있지만, 죽은 이의 불멸은 사회과학에서 지금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주제다. 본 연구에서는 죽은 이들의 도덕성 판단과 마음지각에 따라 불멸지각이 달라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도덕적으로 악한 사람, 선한 사람 및 도덕성과 연관되지 않은 인물에 대한 글을 제시하고, 도덕성 판단, 마음지각 및 불멸지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덕적으로 선한 인물에 대한 불멸의 지각정도가 악한 인물 또는 중립적인 인물에 대한 불멸의 지각정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물의 도덕성 판단과 마음지각은 불멸을 지각하는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도덕적으로 선한 로봇, 악한 로봇 및 도덕성과 연관되지 않은, 기능적 로봇에 대한 글을 제시하고, 로봇에 대한 마음지각 및 불멸지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봇의 도덕성판단과 마음지각이 높을수록 로봇의 불멸을 지각하는 정도가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도덕성 판단과 마음지각이 인간-로봇의 상호작용에서 어려움을 극복하는 변인으로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감로탱에 묘사된 전통연희와 유랑예인집단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Nomadic Entertaining Troupes Depicted in "Nectar of Immortality")

  • 전경욱
    • 공연문화연구
    • /
    • 제20호
    • /
    • pp.163-204
    • /
    • 2010
  • 감로탱은 수륙재를 거행할 때 거는 탱화로서 수륙화라고도 부른다. 중국 명나라 때의 보녕사 수륙화는 모두 139개의 족자에 장면들을 나누어서 그려 놓았다. 그러나 한국의 감로탱은 하나의 커다란 탱화에 모든 장면을 함께 그려 놓았다. 감로탱의 구성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바로 하단에 그려진 육도 윤회상이다. 육도윤회의 업을 반복해야 하는 미혹한 세계의 실상을 묘사하고 있는 하단은 아귀나 지옥고(地獄苦)뿐만 아니라 천상 인간 아수라 축생의 고통상을 인간 세상의 다양한 현실생활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다. 하단에 묘사된 인물들은 죽은 영혼들의 생전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이들이 바로 수륙재를 통해 천도되어야 할 대상이다. 감로탱의 하단부는 사회생활, 현실생활을 묘사한 내용으로서 그 주제가 인생의 고통, 재난, 인생무상을 표현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불교에 귀의하고 해탈하도록 의도하고 있지만, 오히려 당시의 사회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감로탱의 하단부에 묘사된 다양한 유랑예인집단과 그들의 연희도 현실생활의 일부를 사실적으로 반영한 결과이다. 감로탱의 하단부에는 외줄타기, 쌍줄타기, 솟대타기, 쌍줄백이(솟대타기의 일종), 땅재주, 방울 쳐올리기, 탈춤, 접시돌리기, 인형극, 사당춤, 검무 등 전통연희의 공연장면이 많이 그려져 있다. 이 중에는 솟대타기, 쌍줄백이, 쌍줄타기, 방울 쳐올리기, 검무(풍각쟁이패 연희)처럼 이제는 사라져버린 연희종목들도 있다. 감로탱에 묘사된 연희집단은 사당패, 남사당패, 솟대쟁이패, 초라니패, 풍각쟁이패, 굿중패, 서커스단 등 모두 유랑예인집단이다. 이 유랑광대들은 각지를 떠돌다가 죽은 후에 무주고혼(無主孤魂)이 된다. 감로탱에 묘사된 각종 연희 장면의 연희자들은 죽은 사람의 생전 모습을 재현한 내용 가운데 일부로서 수륙재의 천도대상이다. 이 중 솟대쟁이패 사당패 초라니패 풍각쟁이패 굿중패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감로탱을 통해서 현재는 전승되지 않는 여러 연희종목들의 내용, 그리고 이미 사라져버린 유랑예인집단들의 구체적인 활동상을 살펴볼 수 있다.

한국 공예품에 표현된 봉황문양 연구 (A Study on Expression of Phoenix Pattern in Korean Artworks)

  • 이명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5-191
    • /
    • 2012
  • It is said that the mainstream of the oriental culture is Confucian culture, but not be the unique culture of Korea. The religious object in Taoist ideology of immortality reflecting the awareness of cultural community and Korean identity was three spirits. Three spirits are one spirit in terms of main subject. Three spirits were named because they rule the heaven, the earth and human beings each in the reality. The custom performing the religious service to the heaven and the earth is not based on the Taoist ideology of immortality but only the superstition which we can't understand. However, we can clearly understand the reason why the ideology has been transmitted up to now in our awareness and culture when we understand the basis of that ideology. The theory on the origin based on the birthplace of Taoist ideology would be based on the shamanism of Eastern barbarianism and their cultural features. Accordingly,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formative features of phoenix pattern and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phoenix pattern based on the unique culture of Korea. Furthermore, the traditional craft works of Korea with the phoenix pattern which secured its position as the representative pattern of Korea will be investigated.

  • PDF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Crocin in HepG2 Cells by Telomerase Inhibition and hTERT Down-Regulation

  • Noureini, Sakineh Kazemi;Wink, Michae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2305-2309
    • /
    • 2012
  • Crocin, the main pigment of Crocus sativus L., has been shown to have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cancer cells, but the involved mechanisms are only poor understood. This study focused on probable effect of crocin on the immortality of hepatic cancer cells. Cytotoxicity of crocin ($IC_{50}$ 3 mg/ml) in hepatocarcinoma HepG2 cells was determined after 48 h by neutral red uptake assay and MTT test. Immortality was investigated through quantification of relative telomerase activity with a quantitative real-time PCR-based telomerase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qTRAP). Telomerase activity in 0.5 ${\mu}g$ protein extract of HepG2 cells treated with 3 mg/ml crocin was reduced to about 51% as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cells. Two mechanisms of inhibition, i.e. interaction of crocin with telomeric quadruplex sequences and down regulation of hTERT expression, were examined using FRET analysis to measure melting temperature of a synthetic telomeric oligonucleotide in the presence of crocin and quantitative real-time RT-PCR, respectively.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T_m$ telomeric oligonucleotides, while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 of the catalytic subunit of telomerase (hTERT) gene showed a 60% decrease as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cells. In conclusion, telomerase activity of HepG2 cells decreases after treatment with crocin, which is probably caused by down-regulation of the expression of the catalytic subunit of the enzyme.

『파이돈』에서의 세련된 원인들 (The Sophisticated Causes in the Phaedo)

  • 전헌상
    • 철학연구
    • /
    • 제122호
    • /
    • pp.1-23
    • /
    • 2018
  • "파이돈" 102d10-107b10에서 제시되는 영혼 불멸에 대한 마지막 증명은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마지막 증명에서 소크라테스는 더 세련된 원인의 유형을 확립한 다음, 영혼이 몸에 삶을 가져오는 세련된 원인임을 보임으로써 영혼의 불사와 불멸을 증명하려 시도한다. 그런데 세련된 원인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예로서 제시되고 있는 것들, 즉 셋, 불, 눈, 그리고 영혼의 존재론적 지위에 관해 치열한 논쟁이 있어왔다. 이 글에서는 이 논쟁의 주요 측면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그것이 마지막 증명의 타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한다. 일군의 학자들은 저 넷이 모두 내재적 형상이라고 해석한다. 반면 일군의 학자들은 저 넷 모두가 내재적 형상이 아니라고 해석한다. 이 글에서는 저 넷 중에는 형상과 형상 아닌 것이 혼재하고 있음을 보인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혼재와 영혼의 존재론적 지위가 모호한 상태로 남겨져 있다는 사실이 마지막 증명의 효력을 약화시키고 있음을 보인다.

대순진리회 도장 건축물 내정(內庭)에 대한 연구 - 내정의 문헌 출처와 그 맥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ejeong (內庭) of Daesoon Jinrihoe Temple Complexes: Focusing on Literary Sources and Context)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37집
    • /
    • pp.1-52
    • /
    • 2021
  • 대순진리회의 도장 건축물들 가운데 하나인 내정(內庭)은 대순진리회의 통솔·감독·운영을 상징하는 공간이다. 내정의 사전적 의미가 '궁(宮) 안에서 정사(政事)가 이루어지는 곳'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건물의 명칭과 기능은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내정이라는 명칭은 어느 도교 경전의 한 구절과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가 종단 내에서 구전으로 전해오고 있다. 그 경전이란 게 실재하는지, 또 어떤 내용과 문맥을 담고 있는지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이 글은 이에 주목하여, 대순진리회 내정의 전거(典據)로 알려진 문헌을 추적하고 그것이 『여조전서(呂祖全書)』 속에 휘집(彙集)된 『전팔품선경(前八品仙經)』의 「오행단효(五行端孝)」임을 소개하며, 그 문헌의 내용과 도교사적(道敎史的) 맥락을 고찰한다. 이 문헌의 탄생은 명말 청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중국의 여러 지역에는 백성을 구제하고 신선술을 가르쳐준다는 이유로 여동빈을 신앙하는 일단의 지식인들이 있었다. 이들은 난단도교(鸞壇道敎) 공동체를 형성하여, 강신술(降神術)로 여동빈을 응하게 하고 강계(降乩)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그에게 가르침을 받아 여러 도교 경전을 만들었다. 그들 가운데 몇몇은 1589년부터 1626년 사이에, 중국 광릉(廣陵) 만점(萬店)의 집선루(集仙樓)에서 여동빈으로부터 '오토결중곡(烏兎結中谷: 까마귀와 토끼는 중곡에서 모이고) 구사반내정(龜蛇盤內庭: 거북과 뱀은 내정에서 서로 얽혀있네)'이라는 문구가 든 경전을 강계로써 받아 「오행단효」라고 이름 지었다. 이 문구는 인체 내에 존재하는 음양과 수화(水火)의 두 기(氣)가 교구(交媾)하는 내단(內丹) 수련으로써 신선의 경지에 오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 수련은 효행을 극진히 해야만 가능하다고 한다. 구사합체(龜蛇合體)가 이루어지는 '내정'은 바로 그러한 수련으로써 신선으로 변하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용어였다. 「오행단효」는 여동빈의 다른 가르침을 담은 경들과 묶여 『전팔품선경』으로 합본되었고, 1744년에는 32권 분량의 여동빈 전집(全集) 『여조전서』에 포함되어 처음으로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이처럼 여동빈이 도교 경전을 통해 전한 '내정'이라는 용어에는 백성을 구제하고 신선술을 가르쳐준다는 여조신앙(呂祖信仰)과 난단도교, 효사상, 그리고 수화 교구의 내단술이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대순진리회 목적(目的)에 관한 연구 (Examining the Object of Daesoonjinrihoe)

  • 유병무
    • 대순사상논총
    • /
    • 제26집
    • /
    • pp.183-21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objective of Daesoon Thought through 'examining th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The objective of Daesoon thought was set when Kang Jeungsan Sangje descended to human world, upon the plea of divine sages, buddhas, and bodhisattvas, and determined to save the world and relieve people far and wide. For building an Earthly Paradise with Daesoon thought, Sangje carried out the great work of Reordering of the Universe for nine years and passed into heaven. Cho Jeongsan Doju, who received the heavenly religious orthodox through divine revelation from Sangje, served the late will of Sangje and established Main Tenets, Creeds, and objective of Daesoon thought. The objective set by Doju was continued to Park Wudang Dojeon and formed th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Th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consist of three sets of objectives in sequential order, which are related in organic, mutual beneficient, and integrative with one another. The Objectives starts from individual cultivation and expand into worldly reformation: 1)one's Spiritual transformation through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2)Renewal of human beings through Realizing Earthly Immortality 3)Opening of new world through Building of Earthly Paradise. Also, in thes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Three Realms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keep close relations to enter into new world. These Objectives are based on the 'thought of mutual beneficence' and are realized with Daesoon thought, which is the Dao of 'Crowned King' that goes beyond the previous though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have following details in each objective as following; (1)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Spiritual Transformation' is for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human has the potential to restore conscience, which is true nature, and return to undefiled essence by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n other words, it views that one can reach into the stage of spiritual alignment with the Dao once he recovers conscience through cultivation of Daesoonjinrihoe based on the idea of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2) 'Realizing Earthly Immortality-Renewal of human beings' is for ideal human character. 'Realizing Earthly Immortality' in Daesoon Thought indicates the advent of ideal human beings called 'Dotong gunja'(virtuous beings who are aligned with the Dao). They are leaders who integrate politics and religion in helping people to renew themselves and make the world into Earthly Paradise. (3) 'Building an Earthly Paradise-Opening of new world' is for ideal society. Daesoon thought aims to making a peaceful world by creating an ideal society of heaven on this earth. Park Wudang Dojeon, who led Daesoonjinriho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ree Basic Activities: Spreading of Sangje's virtue, Edification, and Cultivation: and Three Major Activities: Aid and charity,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Dojeon said "One should make effort to reach the utmost goodness through enlightening their bright virtue and cultivating their talent virtue." In this words, he made clear that th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can be realized when people enlighten their bright virtue and cultivate themselves with their talent virtue. In conclusion, the Objectives of Daesoon thought were clarified of their meanings by Sangje, established into laws by Doju, and actualized by Dojoen in various activities of Daesoonjinrihoe.

물과 성찰(省察) (WATER AND INTROSPECTION)

  • 신성웅;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3-24
    • /
    • 2001
  • All human being can't exist by oneself. That is, all human being depend on intimate attachment for their surviv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powers and control functions are prerequisites for one's survival and these serve important function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 are two kinds of powers and controls. One is positive power which helps one survive effectively. Another one is negative power which disturbs one's effective survival. Introspection is one of the positive power and most important process in understanding oneself and othe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mean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and based on this meaning, to suggest one way of introspection. The authors reviewed the precept of water which is described in Bible and oriental classical books such as 'the Analects of Confuicus(論語)', 'Tao Te Ching(道德經)', 'Mencius(맹자)', 'Chronicle(史記)',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University(大學)'. The author also reviewed 'The History of Three Countries(삼국사기, 삼국유사)', 'The Precept of Religion', and 'the modern poems' which includes the symbolic meaning of wat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 The flow of water itself is the expression of introspection. Because, water does not flow without filling a puddle. 2) Water is the symbol of 'Immortality'. 3) Water symbolizes 'Modesty and Trust'. 4) Water is the symbol of 'Freedom from Greed'. 5) Water symbolizes 'Goodness and Beauty'. 6) Water symbolizes 'Naturality and Love'. Immortality, Modesty and Trust, Freedom from Greed, Goodness and Beauty, and Naturality and Love are eternal, universal values which all human should seek and achieve. By the process of introspection through the symbolic meaning of water, we can achieve these positive aspects of human mind and spirit.

  • PDF

소크라테스적 종교는 가능한가? (Is Socratic Religion Possible?)

  • 황필호
    • 대순사상논총
    • /
    • 제17권
    • /
    • pp.135-149
    • /
    • 2004
  • Socrates did not found a religion, and in this sense he is different from Confucius, Buddha and Jesus. So there can be no 'Socrates' religion'. But if we can assume that there are evidently religious aspects in his thought, and if it can become a religion by expanding these aspects, then we may conclude that 'Socratic religion' is possible. In general, there are three arguments to regard Socrates as a religious person. The first is to see him as a precursor of Christianity or a Christian martyr, the second is to regard Socrates' daimonion as identical with Christian revelation, and the third is to argue that Socrates was a religious person because of his firm belief in the immortality of soul. But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se three arguments offer some justifications but insufficient to conclude that he was a religious person. Shall we conclude then that not only Socratic religion is impossible but also he was not a religious person? I do not think so. For there are two counter arguments. Religious truths have at least two essential characteristics. First, those who have religious truths are absolutely happy, no matter what. This is why Socrates as a religious person could advise his disciples to improve their souls even at the time of his death bed. Second, those who have religious truths do love others, no matter what. How could it be possible for someone to love invisible ultimate reality if he did not love visible brothers? This is why Socrates as a religious person took his mission to philosophize as a divine command. Socrates did not initiate any official religion, but he was truly a devout religious person, who transcended the boundary of institutionalized religion. It follows that Socratic religion is evidently possible.

  • PDF

도교 경전에 나타난 충효관 연구 - 『문창효경(文昌孝經)』과 『정명충효전서(淨明忠孝全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n the Taoist Scriptures)

  • 조민환
    • 대순사상논총
    • /
    • 제45집
    • /
    • pp.37-67
    • /
    • 2023
  • 이 논문은 『문창효경(文昌孝經)』과 『정명충효전서(淨明忠孝全書)』에 나타난 충효관을 중심으로 하여 도교가 지향하는 충효관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한대(漢代) 이후 유학이 지배 이데올로기로 작동한 이후 효 관념은 국가와 사회를 이끌어가는 대표적인 덕목으로서 황제에서부터 한 개인에 이르기까지 모두 해당하였다. 도교에서도 충효를 강조하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도교의 종파에 따라 효 그 자체를 중시하는 경우도 있고 효를 충과 함께 중시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도교를 '세속에서의 인간관계망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행동거지를 잊어버리고 삶을 살아가면서 맞닥트리는 다양한 사물과의 관계를 끊는 것[絶世遺物]'으로 규정하는 것을 비판하면서 충과 효를 강조하는 '정명충효도(淨明忠孝道)'의 효도관 및 충효관은 유가의 충효관의 영향 관계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도교의 효도관과 충효관을 보여준다. 도교가 지향하는 가장 근본적인 것은 불로장생하는 신선 되기 혹은 우화등선(羽化登仙)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같은 신선이 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충효(忠孝), 화순(和順), 인신(仁信)을 행할 것을 요구한다. 충효, 화순, 인신을 강조하는 것은 유가와 동일하다. 하지만 그것을 통해 신선 되기를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유가에서 신선을 부정하는 것과 차별화된 사유에 속한다. 특히 정명충효도에서는 '절세유물'로 이해되는 도교관을 거부함과 동시에 충효를 통한 제가(齊家)와 치국(治國)은 물론 모든 만물에까지 충효의 이념과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유가의 효도관과 대비하여 본 도교 효도관의 특징은 세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도교가 추구하는 장수(長壽)하면서 성선(成仙)하는 것을 효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짓는다는 것이다. 이런 점은 장수성선(長壽成仙) 신앙을 가미해 유가의 효도관을 개조하고 제고시킨 점이 있다. 다른 하나는 도교의 효도관에는 천인감응(天人感應)의 사상이 농후하다는 점이다. 효행을 하면 천지신명과 감응한다는 도리를 강조하면서 동시에 불효하고 불충한 경우 하늘로부터 재앙을 받는다는 사유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친소(親疏)의 구별을 하지 않고 부모부터 천지 만물에 이르기까지 효도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