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로탱에 묘사된 전통연희와 유랑예인집단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Nomadic Entertaining Troupes Depicted in "Nectar of Immortality"

  • 전경욱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 투고 : 2009.12.25
  • 심사 : 2010.02.05
  • 발행 : 2010.02.28

초록

감로탱은 수륙재를 거행할 때 거는 탱화로서 수륙화라고도 부른다. 중국 명나라 때의 보녕사 수륙화는 모두 139개의 족자에 장면들을 나누어서 그려 놓았다. 그러나 한국의 감로탱은 하나의 커다란 탱화에 모든 장면을 함께 그려 놓았다. 감로탱의 구성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바로 하단에 그려진 육도 윤회상이다. 육도윤회의 업을 반복해야 하는 미혹한 세계의 실상을 묘사하고 있는 하단은 아귀나 지옥고(地獄苦)뿐만 아니라 천상 인간 아수라 축생의 고통상을 인간 세상의 다양한 현실생활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다. 하단에 묘사된 인물들은 죽은 영혼들의 생전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이들이 바로 수륙재를 통해 천도되어야 할 대상이다. 감로탱의 하단부는 사회생활, 현실생활을 묘사한 내용으로서 그 주제가 인생의 고통, 재난, 인생무상을 표현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불교에 귀의하고 해탈하도록 의도하고 있지만, 오히려 당시의 사회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감로탱의 하단부에 묘사된 다양한 유랑예인집단과 그들의 연희도 현실생활의 일부를 사실적으로 반영한 결과이다. 감로탱의 하단부에는 외줄타기, 쌍줄타기, 솟대타기, 쌍줄백이(솟대타기의 일종), 땅재주, 방울 쳐올리기, 탈춤, 접시돌리기, 인형극, 사당춤, 검무 등 전통연희의 공연장면이 많이 그려져 있다. 이 중에는 솟대타기, 쌍줄백이, 쌍줄타기, 방울 쳐올리기, 검무(풍각쟁이패 연희)처럼 이제는 사라져버린 연희종목들도 있다. 감로탱에 묘사된 연희집단은 사당패, 남사당패, 솟대쟁이패, 초라니패, 풍각쟁이패, 굿중패, 서커스단 등 모두 유랑예인집단이다. 이 유랑광대들은 각지를 떠돌다가 죽은 후에 무주고혼(無主孤魂)이 된다. 감로탱에 묘사된 각종 연희 장면의 연희자들은 죽은 사람의 생전 모습을 재현한 내용 가운데 일부로서 수륙재의 천도대상이다. 이 중 솟대쟁이패 사당패 초라니패 풍각쟁이패 굿중패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감로탱을 통해서 현재는 전승되지 않는 여러 연희종목들의 내용, 그리고 이미 사라져버린 유랑예인집단들의 구체적인 활동상을 살펴볼 수 있다.

"Nectar of Immortality", also known as Suryukwha, is a painting which is hung on the wall during Suryukjae, a rite to console the spirits residing on both land and water. The Suryukwha at Bonyung Temple in the Ming Dynasty consisted of 139 scrolls depicting separate scenes. In Korea, however, Nectar of Immortality combines all the scenes into one large painting. The lower part of Nectar of Immortality describes pain, disasters, and the frailty of human life in this world. This is intended to inspire people to embrace Buddhism and be delivered from their worldly existence. However, it reflects the social realities of that time as well. The scenes at the bottom of the painting of nomadic troupes of entertainers and their performances are part of this reflection. In this section, various scenes of traditional Korean performance are illustrated, such as double and single tightrope walking, Sotdaetagi (performing atop a pole), Ssangjulbaegi (one form of Sotdaetagi), tumbling, bell juggling, mask dramas, dish spinning, puppet shows, the dance of Sadang, and sword dancing. Among these performances, some, such as Sotdaetagi, Ssangjulbaegi, double tightrope walking, bell juggling and sword dancing (Punggakjaengipae), have since ceased to exist. The troupes of entertainers depicted in Nectar of Immortality are Sadangpae, Namsadangpae, Sotdaejaengipae, Choranipae, Punggakjaenipae, Gutjungpae, and circus troupes. When, after itinerant lives, these entertainers die, they become forlorn wandering spirits with no descendants to perform their memorial services. The entertainers in the performance scenes are the embodiment of souls who are the subjects of salvation through Suryukjae. Among these entertainers, Sotdaejaengipae, Sadangpae, Choranipae, Punggakjaenipae and Gutjungpae no longer exist. In sum, Nectar of Immortality provides insight into the vanished content of numerous historic forms of performance and the activities of nomadic troupes of entertainer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고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