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obilization stress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5초

Cadmium resistance in tobacco plants expressing the MuSI gene

  • Kim, Young-Nam;Kim, Ji-Seoung;Seo, Sang-Gyu;Lee, Young-Woo;Baek, Seung-Woo;Kim, Il-Sup;Yoon, Ho-Sung;Kim, Kwon-Rae;Kim, Sun-Hyung;Kim, Kye-Hoon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5권4호
    • /
    • pp.323-329
    • /
    • 2011
  • MuSI, a gene that corresponds to a domain that contains the rubber elongation factor (REF), is highly homologous to many stress-related proteins in plants. Since MuSI is up-regulated in the roots of plants treated with cadmium or copper, the involvement of MuSI in cadmium toleranc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Escherichia coli cells overexpressing MuSI were more resistant to Cd than wild-type cells transfected with vector alone. MuSI transgenic plants were also more resistant to Cd. MuSI transgenic tobacco plants absorbed less Cd than wild-type plants. Cd translocation from roots to shoots was reduced in the transgenic plants, thereby avoiding Cd toxicity. The number of short trichomes in the leaves of wild-type tobacco plants was increased by Cd treatment, while this was unchanged in MuSI transgenic tobacco.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SI transgenic tobacco plants have enhanced tolerance to Cd via reduced Cd uptake and/or increased Cd immobilization in the roots, resulting in less Cd translocation to the shoots.

고혈압 환자 마취시 Transdermal Clonidine (St 155 BS)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Efficacy of Transdermal Clonidine (St 155 BS) for Anesthetic Management in Hypertensive Patients)

  • 이현화;김동옥;김건식;최영규;신옥영;권무일;이두익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6권2호
    • /
    • pp.231-236
    • /
    • 1993
  • Clonidine, a centrally-acting antihypertensive agent known to reduce central sympathetic outflow and modulate presynaptic transmitter's release, has shown to suppress central noradrenergic hyperactivity induced by immobilization stress in animals, by decreasing the MAC of halothane and the dose of narcotics required to prevent reflex cardiovascular response to noxious stimuli, and to have potent analgesic properties in humans. These characteristics suggest that clonidine might be a useful adjunct to the anesthetic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reexisting hypertension. Accordingly, we determined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n analgesia, sedation and hemodynamic stability in the perioperative period. Thirty patients(ASA physical status II-III) with a history of arterial hypertension, scheduled for elective orthopedic surgery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We applied CPA-clonidine patch($6.9\;mg/cm^2$, 0.2 mg delivered daily) or placebo patch to each groups, 48 hours prior to induction of anesthesia. Antihypertensive medication was continued until the morning of the scheduled surgery. All patients received premedication of atropine and lorazepam, and induced anesthesia with thiopental and succinylcholine, and maintained with enflurane and 50% nitrous oxide, while sustaining the BP and pulse rate at acceptable range. For the relief of pain postoperatively, diclofenac and fentanyl were administered intramuscularly on dem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ange of hemodynamic responses in clonidine group was less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2) Intraoperative anesthetic requirement for enflurane in clonidin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placebo group. 3) Postoperative analgetic requirement in clonidin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placebo group. In clonidine group, 5 cases out of 15 cases were required no analgetics, and the incidence of administration of additional fentanyl was decreased to 5 cases, comparing with 10 cases in placebo group.

  • PDF

식품첨가물 E171이 수생물에 미치는 독성 평가 (Toxicity assessment of food additive(E171) in aquatic environments)

  • 송인규;김강희;윤학원;박준우
    • 환경생물
    • /
    • 제41권1호
    • /
    • pp.41-53
    • /
    • 2023
  • 식품첨가제로 주로 사용되는 이산화타이타늄 혼합물인 최근 E171은 체내 축적 및 유전 독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어, 현재 규정 개정을 통해 E171의 식품첨가물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E171의 인체 위해성 연구는 많이 진행된 반면, E171의 환경생물에 미치는 독성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려되는 잠재적 독성물질인 E171의 환경적 위해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생태계를 대표하는 물벼룩(Daphnia magna)과 제브라피쉬(Danio rerio)를 대상으로 나노물질의 특성을 반영한 최신 표준문건을 활용하여 기존 시험법의 한계점을 보완한 최적의 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독성시험 결과, 실제 환경적 현실성을 고려한 농도범위의 E171에 노출된 물벼룩에서 유영저해가 발생했지만, 어류의 경우 치사나 이상행동개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산화스트레스 관련 분자생물학적 분석 결과, E171이 물벼룩과 어류에 모두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이의 방어작용으로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항산화효소 관련 유전자의 발현 여부는 생물종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E171은 실제 환경적 현실성을 고려한 농도에서 수생물에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할 수 있으나, 생물체의 종류에 따라 가시적인 독성의 정도와 산화스트레스 관련 유전자 발현에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시험법의 한계점을 보안한 최적의 독성시험을 통해 E171이 수생물에 미치는 위험성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는 E171의 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한 과학적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근(蓮根) 추출물이 생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dus Nelumbinis Rhizomatis Extracts on Sociopsychological Stress in Mice)

  • 김수연;김은정;이동원;원호영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9-158
    • /
    • 2004
  • 만성적이거나 반복적인 스트레스는 우울중이나 심신병 등의 발병 기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기적 자극(electric foot shock), 한랭 자극, 속박(immobilization), 투쟁(fighting), 에테르 노출 등과 같은 심한 스트레스 자극이 뇌 조직의 시상 및 시상하부, 편도체 등에서의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 방출을 유의 하게 감소시키는 동시에 혈청 corticosterone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는 스트레스 인자에 대한 신체반응을 기(氣)의 변화로 인식하고 있고, 이러한 자극요인들은 신체에 대하여 병적 요인을 제공하여 제반 질환을 야기한다. 또한 질병 발생에 대한 근거로 정기(正氣)와 사기(邪氣)의 상호 관계 위주로 인식하는데, 내부의 기(氣)의 변조(變調)는 질병의 발생을 야기하는 기초가 된다. 실험에 사용된 연근(蓮根)은 연꽃과에 속한 수생초본인 연꽃의 뿌리부분으로 우(藕) 또는 우절(藕節)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성미(性味)는 감(甘) 삽(澁) 평(平) 무독(無毒)하고 폐(肺) 위(胃) 간경(肝經)으로 들어가며 수렴지혈(收斂止血) 화어(化瘀)의 효능이 있어 토혈(吐血) 객혈(喀血) 뇨혈(尿血) 편혈(便血) 등의 각종 출혈 증상에 사용되어져 왔다. 최근 연꽃의 부위별 추출물이 흰쥐의 지질 과산화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연근(蓮根)에 대한 다양한 약리 효능의 검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연꽃의 씨앗인 연자육(蓮子肉)이 양심안신(養心安神)의 효능이 있어 스트레스성 질환에 많이 응용되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본 연구를 착수하였다. 실험 동물은 ICR계 마우스를 이용하였으며,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는 옆쪽 cage에서 다른 마우스의 신체에 가해지는 전기 충격을 하루 1시간 동안 지켜보게 하는 것으로 유발하였으며 이 상태에서 약물을 투여한 그룹을 실험군, 그렇지 않은 그룹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정상군은 아무런 자극 없이 하루 1시간 동안 일정 공간에 가두어 두는 것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은 경우에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연근 추출물을 100mg/kg/day 용량으로 5 일간 투여한 실험군에서 혈청 중 corticosterone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므로 매우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뇌세포 중에서 신경전달물질로 분비되는 노르아드레날린의 분비량은 전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신체적 또는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가 간 조직 내 지질의 과산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근 추출물이 이 결과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간 조직 내 지질과산화 정도가 증가하였으므로 혈청 내 ALT 함량도 따라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근 추출물 경구 투여가 간 조직을 보호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리한 혈청으로부터 ALT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근 추출물이 혈청 내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그 생성량을 측정하여 보았으나 대조군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스트레스가 부하된 5일 동안 연근(蓮根)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결과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뇌 조직내 noradrenaline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혈청 내 ALT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켜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간 기능의 손상도 어느 정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앞으로 연근(蓮根)의 이러한 작용에 대한 보다 자세한 연구들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응급구조사 직무기술서 작성에 따른 일의 요소별 빈도 및 중요도 조사 연구 (Investigating Research on the Degree of Frequency and Importance of Tasks for Framing the EMTs Occupational Description)

  • 김태민;김효식;유순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9-212
    • /
    • 2001
  • This research, aiming at analyzing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duties prior to establishing a baseline for question development in the national exams to qualify for the EMTs, investigated the importance and frequency per unit specified in the description with the EMTs to be subjects working on the task spot by means of questionnaires. The EMT duties were classified into 9 items like 1) the notification and response, 2) the scene size-up, 3) the patient assessment, 4) the emergency care, 5) the patient transport, 6) the duties at hospital clinics, 7) the operational management, 8) the receiving and responding to a call, 9) the self-development, and put the functional tasks into 52 items, describing the task elements into 177 items, and then questioned 112 EMTs working on the spot from July 21 through August 30, 2000, which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distribution of subjects' career showed the highest rate with 33.9% for those who careered "less than a year", only 13.4% for those with more than 4 years and the highest rate with 43.8% for those who aged at 20-25. And 70.5% of all those who were questioned was the junior college graduates, 58.9% for those working at fire station and 29.5% working at hospital clinics. 2)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frequency and importance for each task element, questioning 'the patients main symptoms', 'accidental type', 'place of the patients identification' showed the highest rate in both frequency and importance in the field of "notification and response". 3) In the "scene size-up", identifying the patients showed the highest rate of frequency and importance, compared to other field of tasks, among which "identifying the patients' state" showed the highest rate of frequency (2.66) and importance (2.81). 4) In the "patient assessment", "identifying the patients" showed the high rate of frequency and importance in most elements of task, especially the importance showed the highest rate with 2.83 for the task of airway management and the cervical immobilization during "the primary assessment", and the frequency showed the highest rate for questioning the past case of the task of grasping the patients' history. 5) In the "emergency care", "the management of the heart attacked patients" and "the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showed a high rate in the importance, whereas the frequency showed a very low rate. The high rate of frequency during the emergent task was the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system injury patients" and of "the gastro-intestinal and urinary genital system injury patient support." In care of the patients with heart attack, the management of the airway showed the highest rate with 2.95, whereas the management of alcoholic abused patients and of dying patients, showed comparatively lower rate of assessment in the importance. The frequency of tasks showed the highest rate with 2.69 in the control of bleeding and the lowest with 0.47 in the management of abnormal delivery of child. 6) As to the patient transport, "the emergency transport" showed the highest rate with 2.74 and the unemergent transport with 2.55 in the importance, and the task importance at hospital showed the highest rate with 2.89 in managing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with 2.60 in identifying the patient state. 7) Of all the tasks related with "operational task", the high importance was to "educate for the management of the first responder", but the frequency of tasks mostly showed a low rate and "receiving and responding to a call" showed relatively a high rate of importance and frequency. And related with "the self-development", "the health care management" and "the stress control" on working spot showed a high rate, but the frequency mostly showed a low r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