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e sensibility evaluation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초

대인(Personal) 감성 이미지 평가 기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iques of Personal Image and its Application)

  • 황상민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0-317
    • /
    • 1999
  • 특정 사람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 또는 특정 사람이 가지는 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고 나타낼 수 있을까\ulcorner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를 표준적인 감성 어휘 척도를 활용하여 모델이 가지는 감성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비교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내 화장품 회사의 모델을 활용하였다. 4명의 모델을 전체와 부분 모습의 두가지 형태로 제시하면서 각 인물이 가진 이미지를 평가하게 하였다. Personal 감성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묘사하는 형용사 쌍 103개를 이용하였다. 모델 이미지에 대한 평가 반응은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감성 어휘 요인으로 나누어졌다. 4명의 모델들은 이 7가지 감성 이미지 요인에 따라 상호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인물 감성이미지는 감성적 어휘로 표현됨과 동시에 각 인물이 가진 고유하고 대표적인 personal image로 나타낼 수 있는가를 보여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감성이미지 척도는 사람의 이미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감성척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제품을 나타내는 모델이 일반인들에 어떤 이미지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모델의 이미지와 제품이 지향하는 이미지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소형 전기자동차의 감성 이미지 도출 및 모델링에의 적용 (An Application on Modeling and Image Design of MEVs using Human Sensibility)

  • 강재철;이수봉;이동춘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7-13
    • /
    • 2000
  • 자동차 특성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자세하게 조사하여 자동차 설계 시에 적용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제품 디자인에는 기능, 품질, 외형 등의 주요요인 들이 있으며, 그 중에서 외형에서 느껴지는 색감, 재질감, 형태감 등 소위 디자인 적 요인에 의한 이미지가 판매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현대의 상품개발이 성공하기 위한 관건은 그 제품의 디자인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산업디자이너들은 소비자들이 제품을 실제 사용하는 데 관한 기능적인 문제와 연관지어 조형적인 측면을 고려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형 전기자동차의 외형을 디자인함에 있어서 인간의 니즈(Needs)를 객관적으로 감성 평가하여 구매자의 감성요구에 적합한 소형 전기자동차를 디자인하는데 두었다.

  • PDF

도트 무늬의 크기와 간격에 따른 침구류 직물 선호도에 대한 연구 (Preference of Bedding Fabric according to Size and Spacing of Dot Pattern)

  • 사아나;이선영;김정화;이정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92-59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sumer needs, image sensibility and preference of bedding fabric according to size and spacing of dot pattern. 18 kinds of dot pattern fabrics were designed with different diameters(6, 8, 10cm) and distances(4, 7, 10cm) in regular arrangement of diamond figure. The subjects were 162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4.0. Fabrics were assessed subjectively using a 5-point scale 17 consumer needs and 33 sensory descriptors. The most consumer's needs for bedding fabric was shown to be functionality of bedding including hygiene, touch, warmth, ease of washing and management, air permeability, and hygroscopicity. The other parameters of consumer's needs were shown to be physical property and design parameter.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dimension of image sensibility for fabrics with different size and spacing of dots are derived from six factors including joyfulness, coziness, uniqueness, charm, femininity, and complexity. As a result of analysis of preference with fabric kin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with fabrics. The preferred fabrics were characterized by the pattern and the base fabric being striking three-dimensionally with 1/3 twill and 3/1 twill fabric. Sensory descriptors related to joyful image and unique image were analyzed as evaluation terms that can distinguish the preferences of fabric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e fabrics are preferred as the difference in luminance and reflectance between the base and pattern of the fabric become larger and the spacing of patterns become closer.

신세대를 위한 간판의 감성공학적 설계 방안 (Application of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to Design of Restaurant/Cafe Signboard for New Generation)

  • 기도형;이용태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5-65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study of design specifications of restaurant/cafe signboard for new generation. Signboard is an important element in restaurant/cafe, especially for sensitive new generation, that affects image of and first impression on it. The design elements of a signboard that were chosen for analysis were background color, lettering, and letter color, which were found to have strong influences on impression of signboard in questionnaire survey. Using different combination of these design elements, fifteen samples were created for subjective evaluation. 30 pairs of adjectives which were shown to be related to signboard significantly in the first evaluation were used by fifteen subjects, twelve men and three women. Subjective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by semantic differential methods, and then analyzed by using multivariate analyses. Among three design elements, the background color affected impression of signboard most significantly. The relationships between design elements (item/category) and subjective impressions were suggested using quantification theory I, which could be used as design guidelines when designing restaurant/cafe signboard with specific human sensibility ergonomic characteristics.

  • PDF

전자제품 휴먼 인터페이스 평가를 위한 사용편의성 요소의 체계적 분류 (Classification of usability elements for the evaluation of the user interface of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 한수미;윤명환;한성호;곽지영;홍상우;박경수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72-375
    • /
    • 1997
  • Classivication scheme of usability element for the evaluation of consumer electronic produc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Using hierachical structuring and clustering methods, usability element of consumer products interface is developed both for the performance perspective and for the image/appeal perspective of a product. Perfoormance element included variables such as simplicity, directness, learn- ability, flexibility, user support and effectiveness. Image/Appeal element included variables such as sensibility, descriptive impression, evaluation of appeal, and attitude towards the product. The classifi- cation scheme developed in this study is found to be comprehensive and robust relative to other existing paradigms. They can be effectively used and applied for the usability evaluation of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 PDF

감성기반 인물사진 선호도 측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Measuring Preference of Portrait based on Sensibility)

  • 이창섭;하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78-187
    • /
    • 2018
  • 본 연구는 인물사진의 화질 평가 요소들과 선호도와의 관계를 기반으로 감상자 중심의 인물사진 선호도 측정 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작하여 일반인 사용자의 높은 사용률을 목적으로 하는 제조사들에게 자동화된 제품설계 및 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미지 평가를 진행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화질 측정 항목을 객관적, 주관적 항목으로 나누고, 영상처리와 통계적 방법을 통하여 정확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미지의 화질 측정 항목은 객관적 평가항목과 주관적 평가 항목으로 나눌 수 있다. 객관적 평가 항목에는 RSC 콘트라스트, 다이내믹 레인지, 노이즈를 선정하였고, 프로그램을 통해 그 수치 값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주관적 평가 항목에는 노출, 컬러 톤, 인물의 구도, 인물의 위치, 아웃포커스를 선정하였고, 영상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측정된 결과와 실제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남으로서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개발된 프로그램은 인물의 안면이 인식 되어야 평가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연구를 통해 이미지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인물사진을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감성데이터를 이용한 보도환경의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Landscape Evaluation of Sidewalk Environment using Sensibility Data)

  • 이병주;박상명;남궁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D호
    • /
    • pp.265-273
    • /
    • 2006
  • 최근 고유가 시대를 맞이하여 자가용 이용을 억제하고 대중교통을 활성화 시키려는 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보행환경의 개선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보행환경은 보행자가 느끼는 감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판단되므로 보도 설계시 보행자가 느낄 수 있는 쾌적성 등과 같은 감성적인 측면을 고려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가진 감성이나 이미지를 구체적인 물체로 만들기 위한 공학적 방법으로 최근 주목을 끌고 있는 감성공학을 적용하여 감성적 표현을 정량화 하고 보행환경에 대한 주성분을 파악한 후 보도 설계요소와 보행환경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보행자가 편안하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보장받을 수 있는 보도를 설계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인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감성 이미지 비교 (The comparison of emotional brand image of the domestic mobile phones)

  • 정상훈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493-500
    • /
    • 2010
  • 새로운 기술의 발달과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로 인해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 다양한 차별화 전략을 고심하고 있다. 제품의 아이덴티티나 브랜드 이미지 또한 이러한 차별화 전략 중의 하나로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주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에게 형성된 브랜드 이미지 중에서 제품을 사용하면서 형성된 감성적인 이미지를 브랜드 감성 이미지라고 정의하고,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여섯 가지 대표감성을 평가하여 국내 대표 휴대폰 브랜드 세 개(A브랜드, C브랜드, S브랜드)의 감성 이미지를 비교해 보았다. 휴대폰을 실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휴대폰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감성을 평가해 봄으로써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이미지, 특히 감성적인 측면에서의 이미지를 평가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성급하게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감성 이미지를 규명하기에는 다소 미흡하지만 향후 연령대, 직업, 성비 등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명확한 브랜드 감성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전자/이미지 태그 기술에 기반한 스키장 응급구조 지원용 인텔리전트 의류의 디자인 모형의 개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lligent Clothing for Ski Patrols on the Basis of Electronics/Image Tagging Technology)

  • 이영진;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9권2호
    • /
    • pp.151-158
    • /
    • 2006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인텔리전트 의류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작동되는 디자인 및 구현을 목적으로 하였다. 스키장 응급구조 대원용 도우미 기능을 갖춘 인텔리전트 의류인 '패트롤 재킷'의 응용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이에 적합한 디자인을 선정하고 이를 실제로 구동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자/이미지 태그 기술 중 하나인 칼라 코드를 응용한 애플리케이션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컨셉 디자인과 실물 모델을 개발한 후 평가 및 수정 단계를 거쳐 최종 디자인 모형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일상적인 외관의 인텔리전트 의류인 '패트롤 재킷'의 디자인 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

퍼지이론에 기초한 지적 감성검색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lligent Image Database based on Fuzzy Set Theory)

  • 김돈한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5-14
    • /
    • 2001
  • [감성지향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는 디자이너가 제품을 통해 표현하려는 이미지와 사용자가 제품을 통해 느끼는 감성적 평가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갭(gap)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 갭을 해소하는 데에 있어 디자인 과정에서 활용되어진 이미지화상들과 디자인 평가를 위해 사용되었던 감성적 평가어 사이와의 관련도에 관한 정보는 특히 유효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련도 정보에 근거하여, 이미지 화상 및 이미지어 탐색을 통해 스타일링 디자인을 지원하는 감성검색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 있어서 관련도 정보는 이미지어와의 유사도를 유의어 계수로 상정한 퍼지 시소러스에 의해 표현된다. 또한 이미지어 사이의 유사도는 이미지 화상 평가를 기초로 산출된다. 이미지 탐색은 검색 중시도(weight)를 파라메터로한 퍼지 시소러스 전개의 알고리즘에 의해 실행되며, 탐색 모드로서 이미지어 상호간, 이미지어에서 이미지화상, 이미지 화상에서 이미지어, 이미지 화상간의 합계 네 종류의 모드가 제공 된다. 또한 이들 모드간의 이행은 직접 조작형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행되며, 이로 인해 아이디어 탐색단계에 있어서의 디자이너의 발상과정이 원활하게 지원된다. 시스템은 감성적 평가의 계측 유니트와 갭의 연산, 가시화 유니트로부터 구성되며, 조작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통일적인 인터페이스의 환경 하에서 구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