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ison of emotional brand image of the domestic mobile phones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감성 이미지 비교

  • 정상훈 (목원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0.07.21
  • Accepted : 2010.08.30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 diversity in user needs lead mobile phone manufacturers to establish new strategie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for user attraction. Product identity, and brand image are major strategies for differentiation and adding new values to a product. This research starts with stating emotional brand image as the brand image made by the actual usage and the emotion built from the experience while using the product. This research will compare emotional brand image of the three major mobile phone manufactures in Korea (Brand A, C, and S) using evaluation of six representative emotions from users while using the product. The result of evaluating actual mobile phone users and the emotion built while actually using the product showed the brand image, and especially the emotional side of Korean mobile phone manufacture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self would not be sufficient to simply state the emotional brand image of Korean mobile phone manufactures, but with further research including age, profession, gender and other demographic facto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ould surely be able to abstract a clearer view of emotional brand image of Korean mobile phone manufactures.

새로운 기술의 발달과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로 인해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 다양한 차별화 전략을 고심하고 있다. 제품의 아이덴티티나 브랜드 이미지 또한 이러한 차별화 전략 중의 하나로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주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에게 형성된 브랜드 이미지 중에서 제품을 사용하면서 형성된 감성적인 이미지를 브랜드 감성 이미지라고 정의하고,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여섯 가지 대표감성을 평가하여 국내 대표 휴대폰 브랜드 세 개(A브랜드, C브랜드, S브랜드)의 감성 이미지를 비교해 보았다. 휴대폰을 실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휴대폰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감성을 평가해 봄으로써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이미지, 특히 감성적인 측면에서의 이미지를 평가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성급하게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감성 이미지를 규명하기에는 다소 미흡하지만 향후 연령대, 직업, 성비 등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명확한 브랜드 감성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수 (2008). 프리미엄 휴대폰의 브랜드 개성과 페르소나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LG 싸이언 프리미엄 브랜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박정훈, 김지응 (2009). 패밀리 레스토랑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4(3), 245-255.
  3. 석재혁, 성주은, 한정완 (2006). 동질성 분석을 통한 디자인 아이덴티티와 브랜드이미지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20(1), 243-252.
  4. 손일권 (2003). 브랜드 아이덴티티. 서울: 경영정신.
  5. 이상화 (2006). 노키아의 프로덕트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9(5), 65-74.
  6. 이소현 (2004). 제품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이미지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휴대폰 브랜드 S사 애니콜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이학식, 김영 (2001). SPSS 10.0 매뉴얼-통계분석방법 및 해설. 서울: 법문사, 171-179.
  8. 이학식, 안광호, 현용진 (1998). 마케팅(시장전략적 접근). 서울: 법문사, 126.
  9. 정상훈 (2008). 휴대폰 사용 중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 평가. 감성과학, 11(2), 한국감성과학회, 215-226.
  10. 정상훈 (2007). 제품 사용 중 사용자의 감성 측정을 위한 자기-보고 질문지형 척도 개발. 감성과학, 10(3), 한국감성과학회, 403-410.
  11. 정상훈, 이건표 (2005). 제품 사용 중 표출되는 사용자의 대표감성 추출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8(1), 한국디자인학회, 69-80.
  12. 조성근 (1997). 산업디자인론. 서울: 조형교육, 168.
  13. Aaker, D. A. (1996). Building Strong Brand: What is strong brand?. New York: The Free Press.
  14. Chang, H. J. (2008). Development of an Interaction Identity System as a Brand Identity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4(1), 365-376.
  15. Choi, J. W. (2007).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Brand Identity.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Design, 10, 217-233.
  16.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17. Norman, D. A. (2004). Emotional Design-Why we love (or hate) everyday things. New York: Basic Books, 3-98.
  18. Robert Blaich (1993). Product and Corporate Strategy. Mc Graw-Hill, 1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