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g production

검색결과 715건 처리시간 0.025초

편도적출 전 후의 면역학적 연구 (An Immunological Study Before and After Tonsillectomy)

  • 김순웅;윤병용;김순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6.2-16
    • /
    • 1982
  • 인두의 임파조직중 해부학적, 기능적 구조상 가장 중요한 것이 구개편도로서 이는 소화기와 기도의 관문에 위치하고 있으며 외부로부터 끊임없이 세균을 비롯한 각종 항원의 자극을 받고 있는 장기로 알려져 있다. 이 편도의 기능에 대하여서는 종내 조혈기능설, 내분필기능설, 소화기능설, Vitamin 생성설, 세균침입구설등이 언급되어 왔으나 1860년 Virchow가 주로 방어기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는 소위 방어기능설을 제창한 이래, 다른 임파장기와 동일하게 면역방어에 관연할 것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게 대두되고 있다. 최근 면역학의 진보로 생체 내에는 흉농유내 임파구인 T 임파구에 의한 세포성 면역과 골구유내 임파구인B 임파구에 의한 액체성 면역의 양대 면역기구가 존재하여 각각의 고유한 면역반응이 수행됨을 알게 되었다. 저자는 상기한 편도의 면역방어기능설에 입각하여 편도의 면역학적 역할의 일면을 추궁해 보기위하여 1981년 5월에서 동년 10월까지 인제의과대학 부속 부산백병원 이비인후과에서 편도적출술을 시행받은 만성편도염 환자 30예와 건강대조군 29예를 선정하고, 만성편도염 환자의 술전과 술후에 각각 혈청 면역글로부린량과 말초혈야의 총 임파구 수 및 T 임파구, B 임파구, Null 임파구의 분포를 Single radial immuno-diffsion및 Higgy의 조직화학적 검사방법에 의해서 검색하고 이들을 건강대조군과 비교, 검토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혈청 IgM 양은 건강대조군보다 만성편도염 환자에서 의의있게 높았으나 만성편도염 환자의 술전과 술후 사이에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2) 말초혈야 T 임파구의 분포는 대조군보다 만성편도염 환자의 술전과 술후 사이에는 의의있는 차가 없었다. 3) 말초혈청 B 임파구의 분포는 대조군보다 만성편도염 환자에서 의의있게 증가였으나 만성편도염 환자의 술전과 술후 사이에는 의의있는 차가 없었다. 증식이 있고 1개의 표본에서 연골피막내에 미숙연골 세포군이 존재. 6주-경도의 모세혈관의 확장과 만성염증반응이 존재하며 점막하층의 섬유조직화가 존재하였으며 2개의 표본에서 연골피막내에 연골 세포군 및 골화현상이 존재하였다. 8주-경미한 모세혈관의 확장이 존재하였으나 염증반응은 소실되었고 점막하층에 심한 섬유화를 동반하였다. 표본 2개에서 연골 피막내에 연골 세포군의 존재가 관찰되었다. 4 ) 이식방법을 달리한 경우에도 연골 및 점막의 재생에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연골피막 이식부위에서 미숙연골 세포군과 endo-chondrial ossification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대조군에서는 결손부위의 섬유화만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때 연골피막은 기관결손부위의 재진에 적합한 조직이라할 수 있었다. 그러나 40 례의 표본중 5례의 표본에서만 연골의 세포군을 관찰할 수 있어 이로 미루어 볼때 연골피막으로 부터 신생 연골이 재생된다 확인하기는 불충분하다고 생각되며 앞으로의 추시가 요망된다 하겠다.출액이 형성된 경우에는 도말표본을 통한 세포학적 분석과 세균배양을 하였으며 시기별로 중이강 점막의 수술현미경 및 광학현미경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이관폐쇄술후 18시간에 최초로 삼출액이 확인되었으며 그 이후는 전실험군에서 삼출성중이염이 유발되다. 2) 도말표본의 세포학적 검사에서 호산구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으며 초기에는 호중구가 주종을 이루었으나 제14 일이후에는 단핵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삼출액의 세균배양검사에서는 전예에서 세균이 배양되지 않았다. 4) 수술현미경적 소견은 이관폐쇄 후 제 14 일에 점막비후가 가장 심하였으며 삼출액의 양도 가장 많았다. 5) 중이강점막의 병리학적 소견에서는 상피세포, 배세포 및 혈관의 증식과 염증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염증세포는 도말표본에서와 같이 제 14 일 이

  • PDF

중국 연변지역 주요 기생충질환에 대한 혈청역학적 조사 (Seroepidemiology of helminthic diseases in Yanbia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 주경환;전복실;권혜수;조성원;이순옥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3권2호
    • /
    • pp.275-285
    • /
    • 1998
  •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스팔가눔(sparganum), 뇌낭미충(Cysticercus cellulosae), 아니사키스(Anisakis spp.), 선모충(Trichinella spiralis), 개화충(Toxocara canis)에 대한 IgG항체반응을 ELISA를 이용하여 연변지역주민의 혈청역학적 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PC-SAS 시스템으로 통계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995년 10월부터 1997년 6월 사이에 수집된 총 975명의 혈청에 대한 검사결과 23.87%에서 한 종류이상의 혈청항체 양상을 나타내였다. 이중 간흡충증은 5.74%, 폐흡충증은 4.92%, 낭미충증은 1.54%, 스팔가눔증은 8.51%, 아니사키스증은 1.85%, 개회충증은 12.51%, 선모충증은 7.08%의 혈청항체 양성률을 나타내었다. 판정된 양성혈청을 통계분석한 결과 간흡충(p<0.01), 혜흡충(p<0.01), 아니사키스(p<0.05), 개회충(p<0.01), 선모충(p<0.01)의 각 연령그룹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스팔가눔증은 성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p<0.05). 간흡충과 폐흡충은 50대 연령층에서 높은 양성항체가를 나타내는 반면 개회충과 선모충은 20대에서 높은 항체가를 보여주었다. 또한 내과질병으로 않고 있는 환자혈청은 낭미충증을 제외한 6종류 윤충류에서 정상대조인과 비교하여 볼 때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혹은 p<0.01). 즉 환자가 정상대조인보다 혈청양성률이 훨씬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물론 선충사이의 교차반응이 있을거라고 추측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EITB를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번 조사는 중국 연변에서 처음으로 되는 혈청역학조사이며 앞으로 기생충진환 퇴치대책에 아주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갯기름나물의 근(根)과 경엽(莖葉)의 면역 및 항암 활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munizing and Anti-cancer Effect of the Root and the Aerial Par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 조용호
    • 대한한방피부미용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7-144
    • /
    • 2005
  • This study compared the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P. japonicum with its root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medicinal use of the aerial part, which has not been used as medicine, in substitute for the root that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medicine. For this purpose, the author measured the proliferation of Human $CD4^-$ T cells, which are related to immunity, the differentiation of HL-60 cells, and the contents of IL-6, IgE and $TNF-{\alpha}$ and compared their anti-cancer effect on Hep3B and A549 ce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for Human $CD4^-$ T cells, $1.0\;g/{\ell}$ methanol extract from the aerial part promoted the proliferation of the cells 1.8 times higher while $1.0\;g/{\ell}$ methanol extract from the root did by 1.76 times high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As for HL-60 cells, m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from the aerial part showed differentiation 1.14 times higher and 1.12 times higher respectively while m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from the root did 1.14 times higher and 1.07 times higher compared to tile control group. 3. Cell density was highest on Day 4 of culture in all samples, Methanol extracts from the aerial part and the root showed activities of $7.9{\times}10^3\;cells/m{\ell}$ and $7.5{\times}10^3\;cells/m{\ell}$ respectively, and water extracts from the aerial part and the root did activities of $5.3{\times}10^3\;cells/m{\ell}$ and $6.1{\times}10^3\;cells/m{\ell}$. 4. The secretion of IL-6 was highest on Day 4 of culture. Methanol extracts from the aerial part and the root showed secretions of $6.7{\times}10^{-3}\;pg/cells/m{\ell}$ and $7.2{\times}10^{-3}\;pg/cells/m{\ell}$ respectively, and water extracts from the aerial part and the root did secretions of as high as $7.0{\times}10^{-3}\;pg/cells/m{\ell}$ and $6.0{\times}10^{-3}\;pg/cells/m{\ell}$. 5. As for the production of IgE, water extract from the root effectively inhibited the product at $1,000\;{\mu}g/m{\ell}$, methanol extract from the root at $10\;{\mu}g/m{\ell}$ and $100\;{\mu}g/m{\ell}$, water extract from the aerial at $1,000\;{\mu}g/m{\ell}$, and methanol extract from the aerial part at $1,000\;{\mu}g/m{\ell}$. 6. According to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ontent of $TNF-{\alpha}$, methanol extracts from the root and the aerial part showed inhibition effect at $10\;{\mu}g/m{\ell}$, $100\;{\mu}g/m{\ell}$ and $1,000\;{\mu}g/m{\ell}$. 7. As for liver cancer cell Hep3B, $1.0\;g/{\ell}$ methanol extracts from the root and the aerial part showed inhibition effects of 78% and 70% respectively, and $1.0\;g/{\ell}$ water extracts from the root and the aerial part did inhibition effects of 56% and 59%. 8. As for lung cancer cell A549, $1.0\;g/{\ell}$ methanol extracts from the root and the aerial part showed inhibition effects of 75% and 70% respectively, and $1.0\;g/{\ell}$ water extracts from the root and the aerial part did inhibition effects of 48% and 45%.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above show that the aerial part of P. japonicum has immunizing and anti-cancer effects as high as its root, which has commonly been used as medicine. There should be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aerial part of P. japonicum in the future.

  • PDF

추출 공정별 매자나무 추출물의 항암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cancer Activities of Berberis koreana Extracts Obtained by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 하지혜;권민철;서용창;최운용;정을권;정애란;김진철;안주희;이현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33-23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초고압 및 초음파 공정을 병행하여 실시하는 추출공정을 이용하여 매자나무 수피의 면역활성 및 Sarcoma-180에 의해 유발되는 복수암 및 고형암에 대한 항암활성 증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추출 공정을 통해 매자나무 추출물의 수율이 일반 열수 추출에 비해 1.7배 증가하였으며, 정상세포에 대한 생존율을 80%이상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독성 저감 효과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매자나무의 초고압,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소화기계 암세포주인 AGS와 Caco-2에 대해서 약 70%의 암세포 생육 저해활성을 나타내며, 최고 4 이상의 selectivity를 나타내며 선택적인 암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내었다. 기존의 연구에서 항암성 면역증강제로 사용되고 있는 버섯의 단백 다당체와 관련하여 영지버섯이 효과적인 항암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위암 세포인 AGS에 대해 50 mg/mL의 고농도의 영지버섯 추출물이 76% 이상의 암세포 생육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24). 이러한 연구 결과와 비교할 때 본 연구의 매자나무 추출물이 갖는 소화기계 암세포 생육저해 활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항암성 면역 활성 측정 결과 초고압,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일반 열수 추출 공정이나 초음파, 초고압 단독 추출 공정을 통한 추출물에 비해 nitric oxide 및 IgG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고압 및 초음파 추출 공정이 약용작물의 활성성분 용출에 기여하며, 특히 저온 초고압 추출 공정이 매자나무의 주요 활성성분인 berberine의 용출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25,26)에 미루어 볼 때 초고압, 초음파 병행 추출 공정이 매자나무 활성 성분 용출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In vivo 실험을 통한 추출 공정별 매자나무 추출물의 항암 활성 평가를 통해서 상기 공정을 통한 매자나무 추출물이 40% 이상의 복수암 유발 마우스의 수명율 연장과 약 75%의 고형암 억제 활성을 나타내며 효과적인 항암활성을 확인할 수 있어, 향후 항암성 면역증강제 및 기능성 항암제로서의 기능성 소재화로서의 활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Polysaccharid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Blood Parameters an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Genes in Challenged Weaned Piglets

  • Han, Jie;Bian, Lianquan;Liu, Xianjun;Zhang, Fei;Zhang, Yiran;Yu, N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7호
    • /
    • pp.1035-1043
    • /
    • 2014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Acanthopanax senticosus polysaccharide (ASPS)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blood parameters and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immunologically challenged piglets, an experiment employing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concerning dietary ASPS treatment (0 or 800 mg/kg) and immunological challenge (lipopolysaccharide [LPS] or saline injection) was conducted with 64 crossbred piglets (weaned at 28 d of age,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7.25{\pm}0.21kg$) assigned to two dietary ASPS treatments with 8 replicates of 4 pigs each. Half of the piglets of per dietary treatment were injected with LPS or saline on d 14. Blood samples were obtained at 3 h after immunological injection on d 14 and piglets were slaughtered to obtain spleen samples on d 21. Dietary ASPS did not affect average daily gain (ADG) (p = 0.634),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p = 0.655), and gain:feed (p = 0.814) prior to LPS challenge. After LPS challenge, for LPS-challenged pigs those fed ASPS had higher ADG and ADFI than the non-supplemented group (p<0.05), and an interaction between $LPS{\times}ASPS$ was observed on the two indices (p<0.05). Dietary ASPS improved lymphocyte proliferation among saline-injected and LPS-injected pigs (p<0.05). Interaction between $LPS{\times}ASPS$ was also revealed on lymphocyte proliferation (p<0.05). Circulatory concentration of IgG was influenced neither by ASPS (p = 0.803) or LPS (p = 0.692), nor their interaction (p = 0.289). Plasma concentration and spleen mRNA expression of interleukin-1beta (IL-$1{\beta}$), interleukin-6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were induced to increase (p<0.05) by LPS challenge, in contrast, these indices were decreased by dietary ASPS (p<0.05), and interactions were found on these cytokines (p<0.05). For LPS-challenged pigs, dietary ASPS also reduced the circulating concentration and spleen mRNA expression of IL-$1{\beta}$, IL-6 as well as TNF-${\alpha}$ (p<0.05). The interaction between $LPS{\times}ASPS$ was also observed on the circulating concentr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alpha}$-acid glycoprotein (${\alpha}$-AGP), nonesterified fatty acid, and glucose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dietary ASPS can modulate the releas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during immunological challenge, which might enable piglets to achieve better growth performance.

Influences of Phytoncid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rofiles, Diarrhea Scores and Fecal Microflora Shedding in Weaning Pigs

  • Zhang, S.;Jung, J.H.;Kim, H.S.;Kim, B.Y.;Kim, In-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9호
    • /
    • pp.1309-1315
    • /
    • 2012
  • A total of 140 weaning pig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BW = $6.47{\pm}0.86$ kg) were used in a 5-wk growth trail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hytoncid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blood profiles, diarrhea scores and fecal microflora shedding. Pigs were assigned randomly by BW into 5 treatments, dietary treatments were: i) NC, basal diet; ii) PC, NC+0.05% tylosin; iii) EO, NC+0.1% essential oil; iv) PP, NC+0.2% PP (phytoncide with 2% citric acid), and v) PA, NC+0.2% PA (phytoncide). Each treatment had 7 replicate pens with 4 pigs per pen. All pigs were housed in pens with a self-feeder and nipple drinker to allow ad libitum access to feed and water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During 0 to 2 wks, supplementation with essential oil and PA decreased (p<0.05) G/F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s. During 2 to 5 wks, supplementation with PA led to a higher (p<0.05) G/F than the other treatments. At 2 wk, ATTD of dry matter (DM) and gross energy (GE) in EO treatment were decreased (p<0.05) compared with NC treatment. Dietary PC treatment improved (p<0.05) ATTD of DM and E compared with the CON group, and PA and PP treatments showed a higher (p<0.05) ATTD of E than that in NC treatment. Pigs fed phytoncide (PA and PP) had a greater (p<0.05) ATTD of DM than those of NC and EO treatments at 5 wk. Moreover, supplementation with phytoncide elevated (p<0.05) the concentration of immunoglobulin (IgG) in blood at 2 wk. The inclusion of EO, PP and PA treatments showed a greater (p<0.05) amount of fecal Lactobacillus compared with CON group. However, no difference (p>0.05) was observed in diarrhea scores among treatments. In conclusion, phytoncide can elevate feed efficiency, nutrient digestibility, and improve the fecal Lactobacillus counts in weaning pig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phytoncide could be used as a good antibiotics alternative in weaning pigs.

Differential Toxicity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Chung-Sang, an Experimental Herbal Formula

  • Won, Ran;Choi, Jun-Yong;Han, Chang Woo;Jeong, Han-Sol;Shin, Sang Woo;Jung, Hee Jae;Joo, Myungsoo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55-260
    • /
    • 2018
  • Chung-Sang (CS) is an experimental herbal remedy that is formulated to treat respiratory diseases implicated by inflammation. The herbs comprised of CS are frequently prescribed for treating various inflammatory symptoms: Menthae haplocalycis Herba, Magnoliae Flosis, Xanthii Fructus, Herba Asari, and Caryphylli Flos. Here, we prepared the extract of CS with boiling water (wCS) or with 50 % ethanol (eCS) and examined whether the two different extracts of CS exhibit a toxicity to cultured cells and mice. RAW 264.7 cells were treated with wCS or eCS, and the cytotoxicity of these extracts to RAW 264.7 cells was determined by an MTT assay. Although the produc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that are detrimental to the cells was not increased by the extracts, the cytotoxicity to the cells was evident from 10 mg/ml of wCS and 100 mg/ml of eCS, suggesting that eCS is less cytotoxic. When mice (n = 10/group) received a single intratracheal wCS or eCS daily for 14 days, wCS yielded 40 % mortality, whereas eCS showed none. Both wCS and eC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weight of the body and of vital organs, except the lung. Biochemical analyses of mice blood indicated no damage to liver or kidney. However, unlike eCS, wC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IgE in serum. Collectively, our results show that eCS was less toxic than wCS, suggesting that CS prepared with 50 % ethanol is preferential over the conventional way of preparing CS.

폐 한방슬러지로 배양한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추출물의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Effect of Flammulina velutipes Extracts Cultivated with Oriental Herbal Plants on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 김종진;이상원;박경욱;서권일;이성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28-836
    • /
    • 2012
  • 일반적인 버섯 배지(미강 10%), 폐 한방슬러지를 10% 첨가한 배지, 그리고 미강 10%와 폐 한방슬러지 10%를 혼합한 배지에서 재배한 팽이버섯의 면역기능 강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로 분리하여 실험하였다. 그 중 폐 한방슬러지 10%를 첨가한 배지에서 재배한 팽이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비장세포의 증식을 크게 유도하였으며 또한 IL-6, TNF-${\alpha}$, IFN-${\gamma}$ 분비를 유도하였다. 그리고 B세포의 증식반응과 면역글로불린 생산도 증가하였으며, 대식세포주의 일산화질소 분비와 IL-6, TNF-${\alpha}$, GM-CSF 생산도 증가하였다. 또한 복수암 유발 종양세포를 이용한 항종양 효과를 측정 한 결과 대조군의 평균 21.1일보다 실험군은 24.5일로 16.1%의 수명 연장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폐 한방슬러지를 이용하면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버섯 재배 배지 원료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역세포조절 기능을 강화시키는 기능성 버섯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육제품에 첨가된 대두단백 정량을 위한 면역분석법 개발에 관한 연구: 대두단백 정량을 위한 항체생산 및 특성조사 (Development of Immunoassay Systems for the Assay of Soy Protein in Meat Products; Antibody Production and Properties for the Assay of Soy Protein)

  • 김천제;김종배;김병철;이승배;정성원;신현길;고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4-208
    • /
    • 1992
  • 본 실험은 가공한 육제품에 첨가된 대두단백질(soy protein)을 정량하기 위한 면역분석(Immunoassay)법의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Isolated soy protein(ISP)의 whole buffer extract(WBE) 분획을 SDS 처리 후 토끼에 주사하여 생산된 항혈청의 항체역가를 indirect ELISA법으로 조사하였을 시 1 : 10,000 이상에서도 반응을 나타내었다. 시료의 처리시 SDS의 최종농도가 0.03% 이상에서는 항원-항체 반응이 심각하게 저지되었으나, 0.02% 이하에서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실험에 사용한 항체는 SDS로 변성된 항원(대두단백질)은 물론 SDS를 투석으로 제거한 재생항원(renatured antigen)과도 반응하였으나 그 정도는 변성항원에 비하여 약간 낮았다. 검정곡선(calibration curve)을 indirect competitive ELISA 법으로 작성하였을 시 ISP를 100 ng/100 ml까지 측정할 수 있는 감도(sensitivity)를 얻었다.

  • PDF

효소 분해에 의한 밀가루의 항원성 저감화 (Reduction of Allergenicity of Wheat Flour by Enzyme Hydrolysis)

  • 박주연;안정엽;홍희옥;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2-157
    • /
    • 2004
  • 효소에 의한 단백질 분해로 우리 밀의 저 알레르겐화를 시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금강밀에서 gluten fraction을 추출하여 동물 실험을 통하여 경구 섭취된 gluten에 대한 항체 생성을 유도하였다. Gluten fraction은 UTH buffer로 추출하여 10-50kDa 사이의 분자량에서 여러 밴드가 확인된 분획을 얻었으며 약 25 kDa, 34 kDa 그리고 45 kDa 부근의 밴드가 주요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구 투여로 유도된 gluten에 대한 항체는 ELISA와 western blot의 항원-항체 반응을 실시하여 anti-gluten lgG, IgE를 확인하였다. 또한 경구 투여의 투여 시간 경과에 따라 항체가는 상승하였다. 추출된 gluten fraction은 bromelain, papain, ficin 그리고 b.p. protease 각 효소의 최적 pH와 온도에서 가수 분해하여 gluten fraction의 알레르겐 저감화를 시도하였다. 효소 분해 후 gluten fraction의 저분자화 정도는 anti-gluten 하체에 대한 ELISA를 실시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bromelain, papain, ficin의 경우보다 b.p. protease을 처리한 경우가 ELISA value를 크게 저하시켰다. 이것은 gluten fraction이 b.p protease 효소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항체가 인식하는 amino acid 서열 (epitope)이 분해되었음을 나타낸 것이다. 마지막으로 b.p. protease의 분해능력을 1mg, 2mg, 3mg/10mL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검토한 결과 첨가량에 따른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금강밀의 gluten fraction 10mL에 b.p protease 1mg으로 4시간 처리하여 단백질을 분해하여 우리밀의 항원성 저하 가능성이 탐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