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ntity Establishment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초

문화상품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 문화요인에 대한 컨셉 디자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ultural Product Design Development -Case Study on Concept Design Development from the Cultural Factors of Gwang-Ju)

  • 김혜숙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299-308
    • /
    • 2002
  • Along with the increasing social concern on cultural products and corresponding policy development by government many domestic regions have been trying to establish their own cultural identity. Based on the case stuffy for Gwang-Ju, this paper provides a methodology of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from the unique regional resource. Its scope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lread-developed, regional character and regional theme products. For this purpose, marketing strategies were established for quality improvement and promotion of cultural products through analysis on the current products including a questionnaire to customers. Then, conceptual designs for each scope were developed through the five steps of "selection of items", "target customer analysis", "concept establishment", "extraction of cultural factos7" and "derivation of conceptual design". The concept establishment was based on the express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the harmony of tradition and modernity, symbolization of images and so on. The cultural factors taken into account included the natural resources, historical heritages and landmarks. Finally, several examines of the conceptual designs were illustrated for commercial products. This study could be extended further in the future by introducing potential immaterial resources into the cultural factors.

  • PDF

서울의 도시경관 이미지 분석 및 시각화 방법 : 한국인과 일본인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Method of the Analysis and the Visualization of Urban Landscape in Seoul : Focus on the Difference of Cogni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 김정섭;이규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48-158
    • /
    • 2012
  • 글로벌화라는 세계적인 흐름 속에 각국의 도시들은 각 도시의 인지도와 이미지를 제고시키기 위해 도시경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 속에 서울도 도시경관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도시경관의 문제점 파악과 그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현재 구축된 도시경관 자체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연구는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인지도 및 인식 차이를 기반으로 도시경관을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는 분석틀을 제안한다. 본 분석틀의 가장 핵심이 되는 도시경관에 대한 인식 및 인지도 차이 분석은 설문조사의 응답에서 추출한 정답률과 명답률에 의해 이루어지며 시각화는 이들의 상관관계를 통해 도출되는 정확률을 도식화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지역재단의 운영실태와 문제점 (What are the Community Foundation Doing, and What Difficulties do They Have?)

  • 노혜진;이현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226-24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지역재단의 활동에 주목하여, 지역재단의 역사가 길지 않은 한국의 현실에서 과연 지역재단의 정체성이 무엇이고, 어떻게 운영되며, 어떠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민간과 지자체 지역재단에서 활동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지역재단의 정체성 규정에 있어 설립주체에 따른 구분보다 지역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모금을 지역재단의 중요한 성과로 보았다. 지역재단 운영과정에서 제도적 정치적 환경의 문제, 조직역량의 미흡으로 인한 모금의 어려움, 지역재단 정체성 확립에서의 문제, 지역내 다른 기관들과의 관계 및 주민참여의 문제, 역량부족과 제도적 불안정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재단이 지역문제해결의 중간지원조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적 상황에 맞는 정체성 수립과 모델 개발, 중간지원조직으로서의 기능 강화, 지역재단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행정적 제도적 지원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원격건강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신원기반 프록시 재암호화 기법을 이용한 건강정보 전송 보안 프로토콜 (A Secure Health Data Transmission Protocol Using Identity-Based Proxy Re-Encryption in Remot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 노시완;박영호;이경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4호
    • /
    • pp.197-202
    • /
    • 2017
  • 원격 건강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의사는 원격지에서 환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거나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공개된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과정에서 환자의 민감한 건강정보의 노출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자와 의사 사이에 비밀 공유키를 생성하여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의사의 오진을 고려할 때 다수의 의사에게 진단을 받는 것이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진단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기존 프로토콜에서는 환자가 여러 의사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모든 의사와 각각 공유하는 키의 생성이 필요하고 전송과정에서 선택한 모든 의사들을 위해 여러 번의 암호문 생성과정을 필요로 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신원기반 프록시 재암호화 기법을 사용한 원격건강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송 보안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 프로토콜에서 환자는 별도의 세션키 관리가 필요하지 않고 전송과정에서 환자가 비밀키로 생성한 암호문을 모니터링 서버에서 재암호화하여 선택한 의사에게 전달하므로 기존 프로토콜을 적용했을 때 환자에게 필요한 과도한 연산부담을 개선할 수 있다.

여성운전자시장을 위한 타이어패턴디자인연구 - 금호타이어의 ECSTA브랜드 디자인개발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ire Pattern Design for Female Drivers′ Market)

  • 황영성;손장완;이진렬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73-282
    • /
    • 2004
  • 본 연구는 과거 타이어 개발업체들이 주로 기술적 측면을 고려한 타이어패턴개발을 수행하면서 향후 더욱더 치열해지는 타이어시장환경에서 브랜드아이덴티티구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함으로써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타이어패턴개발에 있어서의 디자인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로 금호타이어와의 산학프로젝트를 통해 이루어진 내용을 정리한 것이며 타이어개발프로젝트 과정에서 최근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틈새시장인 여성운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개발을 추진하였다. 디자인 개발은 소비자의 니즈분석을 통하여 디자인컨셉을 결정하였으며 결정된 디자인컨셉을 실현하기 위하여 패턴 방향의 디자인개발과 기술방향의 디자인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졌다. 도출된 아이디어는 금호타이어 디자인팀과의 회의를 통하여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으며 결정된 결과에 따라 최종적으로 2개의 디자인 안이 개발되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타이어산업체에 공학 적 접근과 더불어 디자인개발에 대해서도 더욱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 질 수 있는 계기가 됨으로써 향후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 타이어시장에서 효과적인 브랜드아이덴티구축이 가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해방 이후 한의학의 현대화 논쟁 - 1950년대와 1990년대 이후의 논의를 바탕으로 - (The Dispute on the Modernization of Korean Medicine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Based on the 1950s and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 이태형;정유옹;이덕호;김남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3-73
    • /
    • 2012
  • Objectives : The inclusion of Korean Medicine in the national health care system led to the need of a serious discussion on its modernization. This paper looked at how these discussions were progressed. Especially, a difference in the meaning of 'science' in the 1950s and the 1990s was observed. Methods : Articles related to the medical dispute between Korean and Western Medicine in "EE LIM", especially the ones from the 1950s, were selected, classified and analyzed. Research papers on Evidence-Based Medicine were also analyzed. Evidence-Based Medicine was a new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in the 1990s. Articles on Evidence-Based Medicine were searched and selected from journal databases: DBpia, KISS, RISS, and OASIS. Results : The problem of establishment of modernity of Korean Medicine in the recent times was addressed in the context of scient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Accordingly, the academic societies of Korean Medicine aimed for scientification. But efforts to secure the identity of Korean Medicine opposed to western science were also made. Meanwhile, Evidence-Based Medicine established in 1992 presented a different concept of science. This led to a new means of acknowledgement of Korean Medicine in the modern society. Conclusions :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n Medicine up to now was a course of scientification. But as this process did not fully reflect its characteristics, the modernization of Korean Medicine still remains a pending question. A modern study methodology that fully reflects the identity of Korean Medicine needs to be established.

들뢰즈와 가타리의 기계론과 배치의 교육학 (Deleuze and Guattari's Machinism and Pedagogy of Assemblages)

  • 최승현;서범종
    • 한국교육논총
    • /
    • 제43권1호
    • /
    • pp.183-213
    • /
    • 2022
  •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기하는 느리고, 경험적인 교육은 시간 속에서 반복되는 지속을 경험해야만 가능하다. 잠재성과 현실성의 짝으로 이루어진 이 세계의 주체성은 '기계'로 표현된다. '기계'의 주체성은 생성 자체이다. 클라우드 상 어디에나 존재하면서 무의식적으로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정보사회의 주체성 또한 정보사회 자체이다. 정보사회는 개인의 욕망을 주체성의 발현에 앞서 관리하는 사회로 기울 위험을 안고 있다. '기계'는 언표적 배치와 기계적 배치로 이루어져 있다. 배치론에 입각한 사회과학은 반복되는 패턴, 언어성과 물질성의 공존, 경계에 대한 주의, 총체적 전체에 대한 부정이라는 특징을 공유한다. 시간 속에서 집합적 패턴이 구조적으로 변형되어 가는 양상을 띠는 배치의 교육학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본래 문제의식인 느리고, 경험적인 교육에 부합한다. 또, '교육-기계'의 물질성과 언표성을 고찰하는 작업은 탈인간 시대의 새로운 학습론, 교육론 확립에 기여할 것이다.

한의학 전공학생의 진료 및 의사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동료 역할극 모델제안과 사례분석 (Peer Role-Play in a College of Korean Medicine to Improve Senior Students' Competencies in Patient Care and Communication: A Case Analysis and Proposal for a Model)

  • 조은별;정현종;임정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9-64
    • /
    • 2022
  • Objectives: Peer role-play (PRP) has been used in health care training simulations because standardized patient training requires considerable time and expense. This study described the implementation of clinical simulation using PRP and examined the effect. Methods: Final year students from a single college of Korean medicine engaged in PRP as part of clinical skills practice. Education tools from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were used to structure the PRP. Communication competency was assess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Efficacy Questionnaire (KSE-12). Whether this training helped to achieve graduate outcomes was evaluated on a five-point scale. Results: Fifty-nine students (53.2%) participated in the survey. Among 12 items on the KSE-12, the score for "How certain are you that you are able to successfully listen attentively to the patient?" was the highest. Further, PRP was found to be helpful for self-directed learning, establishment of one's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manage patients. Three themes ("Benefits of role-play", "The importance of positive feedback", "Limitations and problems of role-play"), 15 categories, and 16 central meanings were derived by categorizing learners' subjective opinions about PRP. Conclusions: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PRP may contribute to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establishing a professional identity for future Korean medicine doctors. We suggest using PRP in clinical education in colleges of Korean Medicine.

시설보호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증진을 위한 치료적 노래만들기 사례 (A Case Study of Therapeutic Song Making to Enhance the Self-identity of Adolescents in Residential Treatment Facility)

  • 황혜진;송인령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1호
    • /
    • pp.43-67
    • /
    • 2022
  • 본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향상을 목적으로 한 노래만들기 활동의 개별 음악치료 사례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쉼터에 거주하는 만 16~18세 남자 청소년 3명이다. 노래만들기 프로그램은 각 대상자별 자아정체감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중 낮은 영역을 중심으로 선율과 가사 등의 음악적 요소를 활용하여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주 1회, 각 회기별 60분씩 총 13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대상자들에게 시행되었다. 자료분석은 자아정체감 척도에 따른 하위영역별 사전, 사후 검사 결과와 회기별 언어적, 음악적 반응에 따른 변화, 사후 대상자들의 언어적 반응을 분석하는 평가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 A를 제외한 대상자 B, 대상자 C는 자아정체감 사전 척도 검사 결과에 비해 사후 결과가 향상하였으며 하위영역 별로 대상자 B는 친밀성이, 대상자 C는 주도성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회기별 언어적, 음악적 반응에서 참여 대상자 모두 자아 탐색 과정을 통해 주체성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긍정적 자아상 확립에 기여하였다. 또한 사후 언어적 반응에서 대상자 3명 모두 '나'를 주제로 한 창작곡이 자아를 탐색하고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 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표현하였다. 결과적으로 치료적 노래만들기는 시설보호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확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전통정원 해외조성을 위한 정원보급 유형 제안 - 공공 공간에 적용될 정원을 대상으로 - (Suggestions on the Types of the Distribution of Gardens for the Overseas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 Oriented the Garden which is Applicable to the Open Space -)

  • 권진욱;박은영;홍광표;황민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06-113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조성하기 위한 보급 및 활성화의 일환으로 한국문화 즉 전통정원의 정체성을 정립하며,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자국민들로 하여금 한국전통정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보편적 실현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이 해외에 조성될 때 개별성을 가질 수 있는 계획 및 설계에 대하여 최소한 지침을 마련하고, 계획가들이 고려하여야 할 방향성을 수립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해외에 조성되는 한국전통정원의 유형은 조성목적과 실현되는 공간의 규모에 따라 형식적 다양성을 지니기도 하는 데,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은 한국적 경치에 어울리는 정서를 담아야 하고, 누구에게나 인지되고 이해 가능한 설계언어를 내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보급하기 위한 공간 기본유형은 '전시(박람회)형', '정원형', '공원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본유형은 정원 조성 시목적에 부합되는 특성별 프로토타입에 해당하며, 공간 규모적 측면을 고려할 때 전시(박람회)형의 모형을 구성의 최소단위로 설정하며, 도입 기본시설로는 '수목', '정(정자)', '방지(池)와 원도', '화계', '담장' 등의 요소를 권장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의 해외 조성을 위한 계획 및 설계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의 의미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