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ntification-based trust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9초

온라인 쇼핑에서 신뢰의 역할 - 위계적 관계 관점 (The role of trust in online shopping: A hierarchical relationship perspective)

  • 이재남;강민형
    • 지식경영연구
    • /
    • 제14권3호
    • /
    • pp.15-35
    • /
    • 2013
  • Nowadays, online shopping has become popular among consumers. As such, gaining loyal online shopping customers has become a rising concern for online shopping vendo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s among Lewicki and Bunker's three different types of trust, namely, calculus-based trust, knowledge-based trust, and identification-based trust, in the context of online shopping and their impa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 total of 104 responses from online shopping users were analyzed to test the proposed model and its hypotheses using Partial Least Squares (PL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online environment, hierarchical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types of trust exist and that, among them, knowledge-based trust has the stronges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is finding implied that practitioners should focus on developing appropriate online strategies for building trust-based relationships with online customers.

  • PDF

온라인상에서 정보공유 의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보 중요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ntion and Behavior of Sharing Information in Online World: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 Importance)

  • 김구
    • 정보화정책
    • /
    • 제20권1호
    • /
    • pp.22-41
    • /
    • 2013
  •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서 신뢰와 상호성 규범이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오프라인의 면대면 정도를 선행요인으로, 정보 중요성을 조절변수로 설정한 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오프라인의 면대면 정도는 온라인상의 동일시기반 신뢰와 상호성 규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대면 정도로부터 영향을 받는 동일시기반 신뢰와 상호성 규범 중에서 상호성 규범이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동일시기반 신뢰는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의 관계에 유의적 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호성 규범은 정보공유 의도가 매개된 경우에 정보공유 행동과 유의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중요성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조절변수의 개입이 배제된 상태보다 개입된 경우에 더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정보의 중요성 정도에 따라 상호성 규범과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의 관계가 변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글로벌 비즈니스 협상의 신뢰수준별 차이 : 한-캐나다인의 대중국 협상문화 비교연구 (Different Levels of Trust in Global Business Negotiation: A Comparative Study about Canadians and Korean Perspective on Doing Business Negotiation with Chinese)

  • 김미정;왕려원;박문서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3호
    • /
    • pp.155-176
    • /
    • 2015
  • 본 논문은 글로벌 비즈니스 협상과 신뢰요인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크리스틴 블랭클리(2010)는 비즈니스 협상에 있어서 각 단계별로 영향을 미치는 신뢰수준을 계산기반의 신뢰, 지식기반의 신뢰, 그리고 동일체기반의 신뢰 등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지적한 바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중국인 거래 파트너와의 비즈니스 협상경험을 가진 한국인과 캐나다인의 협상에 초점을 맞추어 각각의 신뢰수준과 비즈니스 협상 프로세스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응답자들의 경우 계산기반의 신뢰와 동일체기반의 신뢰는 협상 분위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캐나다 응답자들의 경우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응답자들은 비즈니스 협상과정에서 지식기반의 신뢰가 각 단계별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패션기업 팀장의 리더십과 팀원의 신뢰가 직무몰입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dership of Team Leaders and Trust of Team Members on Job Commitment and Satisfaction in Fashion Companies)

  • 최수일;이은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99-40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leadership of team leaders and trust of team members have an effect on job commitment and satisfaction in fashion companie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8 to 22 in 2008, among team members of fashion companies. The data was collected with 464 subject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tingent reward,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of leadership had an effect on all factors of trust. Charisma of leadership had an effect on calculus-based trust and identification-based trust, but management by exception had an effect on knowledge-based trust. Second, calculus-based trust and identification-based trust about team leaders had an effect on job commitment and satisfaction of team members. Third, charisma, contingent reward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of leadership had an effect on job commitment and satisfaction of team members.

The Effects of Customer Engagement and Brand Trust on Brand Loyalty: A Case Study of BPJS Healthcare Participants in Indonesia

  • KHOLIS, Noor;RATNAWATI, Alifa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1호
    • /
    • pp.317-324
    • /
    • 2021
  •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o increase the brand loyalty of BPJS Healthcare participants who are Muslim in Indonesia by increasing customer engagement and brand trust.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effective customer engagement is the first step toward gaining brand trust and loyalty. The five dimensions of customer engagement, namely enthusiasm, attention, absorption, interaction, and identification, were tested on how they affect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216 Muslim respondents who were BPJS Health users from six Islamic hospitals in Central Java, Indonesia.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regression test with SP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mensions of customer engagement consisting of enthusiasm, attention, and absorp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Meanwhile, the dimensions of customer engagement which consist of interaction and identification, do not affect brand trust. Furthermore, brand loyalty can be influenced by enthusiasm, interaction, and brand trust. Meanwhile, attention, absorption, and identification cannot affect brand loyalty. Thus, the dimensions of customer engagement that can directly affect brand loyalty are enthusiasm and interaction, while those that affect indirectly (through brand trust), are enthusiasm, attention, and absorption.

여행사에서의 윤리적 풍토와 이직의도 -신뢰와 조직 동일시의 매개효과- (Ethical Climate and Turnover Intentions in Travel Agency -Mediating of Trus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김용순;권문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96-505
    • /
    • 2011
  • 본 연구는 여행사 종사원을 대상으로 하여 윤리적 풍토, 신뢰, 조직 동일시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윤리적 풍토는 윤리적 내용에 대한 전형적인 조직관행과 절차에 있어서의 지배적인 인식이다. 즉 조직 작업환경 내에서의 옳고 그름에 대한 지각과 기업 내에서 수용하거나 수용할 수 없는 행동에 대한 규범을 세우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본 연구는 윤리적 풍토에 대한 인식이 신뢰와 조직 동일시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문헌연구와 더불어 여행사의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231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윤리적 풍토는 신뢰와 조직 동일시 및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와 이직의도는 유의성이 없는 반면, 조직 동일시와 이직의도는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풍토와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만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윤리적 풍토의 측면에서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숙박 공유 플랫폼에서 고객들의 재방문 의도의 선행 요인에 대한 연구: 상대적 매력, 브랜드 동일화, 즐거움의 역할 (A Study on Antecedents of Consumer's Revisit Intention in the Context of Accommodation Sharing Platform: The Role of Relative Attractiveness, Brand Identification, and Enjoyment)

  • 김선주;김병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269-278
    • /
    • 2022
  • 코로나 펜데믹 확산으로 여행 산업이 침체를 겪고 있으나, Airbnb의 경우 차별화된 전략으로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irbnb의 특성이 고객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가치, Airbnb에 대한 신뢰, 주관적 규범을 재방문 의도 형성의 핵심 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또한 상대적 매력, 브랜드 동일화, 즐거움이 지각된 가치와 Airbnb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갑 점유율의 조절 효과도 살펴보았다. 제안한 연구 모형은 Airbnb를 2번 이상 사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상대적 매력, 브랜드 동일화, 즐거움이 지각된 가치와 Airbnb에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각된 가치는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Airbnb에 대한 신뢰와 주관적 규범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지갑 점유율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irbnb는 고객들의 재방문 의도 형성 메커니즘을 이해하여, 마케팅 및 운영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이미지, 신뢰성, 반응성이 개인 기부자의 후원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와 경제형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Image, Trust and Respons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on Continuing Sponsorship of Private Donors: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Moderation Effect of their Financial Status)

  • 이원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58-270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이미지, 신뢰성, 반응성이 개인후원자들의 후원지속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 그리고 경제형편 수준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한 주요 변수들의 인과관계 분석결과, 개인 후원자들의 경제수준과 상관없이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이미지, 신뢰성, 반응성은 후원지속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경제형편이 좋은 집단의 경우, 조직 이미지, 신뢰성, 반응성은, 조직동일시에 각각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고, 조직동일시는 후원지속성에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다. 조직동일시를 완전매개로 하여, 조직이미지, 신뢰성, 반응성 등이 각각 후원지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반면, 경제형편이 좋지 않은 경우는, 조직이미지와 신뢰성만 조직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인 후원자들의 경제형편 수준에 따라 후원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 간접효과가 상이한 양상을 보인다는 사실이 확인되어, 경제형편의 조절효과가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잠재평균 분석결과, 경제형편 수준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는 후원지속성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평균값, .197, Cohen's D=.779). 개인 기부자들의 후원기관에 대한 동일시가 후원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결정적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면서,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판매원 브랜드 관계, 고객 지향성 및 고객 점포 충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lesperson Brand Relationships, Customer Orientation, and Customer Store Loyalty)

  • 최순화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7-64
    • /
    • 2018
  • Purpose - As the importance of salesperson attitudes and behaviors enhancing customer perception and loyalty have increased, many retail companies put emphasis on internal marketing activities. The issue also has captured the interest of academics, but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tends to be limited to investigating antecedents of salesperson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Based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concep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alesperson-brand relationships on customers' service evaluation and store loyal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t is hypothesized that salesperson brand identification influences salespersons' brand trust and affect, which are the two dimensions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s. Salespersons' brand trust and affect are expected to increase salespersons' customer orientation, which in turn influences customers' service evaluations and store loyalty. To test this hypotheses a set of data collected from department stores in Seoul is utilized. Results - First, it was found that salesperson brand identification is a significant antecedent to salespersons' brand trust and affects, the two dimensions of salesperson brand relationships. Second, salespersons' brand trust and affect were found to enhance salespersons' customer-oriented behaviors. Third, salespersons' customer orientation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s' service evaluation. When a salesperson makes more effort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ulfilling customer needs, customers evaluate the salesperson's service more positively. Finally, customers' service evalu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s' store loyalty. Conclusions -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based on the theory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s, the concept of salesperson-brand relationships was introduced and found to be an effective motivator of salespersons' customer oriented attitudes and behaviors. Therefore, the two dimensions of brand relationships, brand trust and affec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critical factors both in developing theoretical research and improving long-term company performance. Also, internal marketing activities should focus on maximizing employees' brand identification. That is, retail companies need to put emphasis on sharing their brand values and personality with internal customers to strengthen the brand relationships with salespersons and to enhance customer responses.

온라인에서 점포 개성이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동일시, 신뢰, 인게이지먼트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e-Store Personality on e-Store Loyalty-Focus on the Mediating Role of Identification, Trust, and Engagement)

  • 박효현;정강옥;이승창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6권2호
    • /
    • pp.57-94
    • /
    • 2011
  • 자사 온라인점포로 고객 방문을 이끌어내기 위해 마케터는 고객의 욕구를 반영한 웹사이트를 구축한다. 기존 연구의 상당수는 온라인점포에서 고객의 반응에 영향을 주는 기술적, 기능적, 내적 특성 변수들에 관한 것이어서 소비자 심리, 외적 단서 변수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계의 선행 변수로 제시되는 개성을 온라인에서의 점포 개성으로 하여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소비자 심리 변수인 동일시, 신뢰, 인게이지먼트를 매개변수로 고려하여 이들 변수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규명해 보았다. 연구결과, 온라인에서도 점포 개성이 존재하며 온라인점포 개성의 일부 차원이 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동일시는 점포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신뢰와 인게이지먼트를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후반부에 본 연구의 시사점, 한계,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