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1

검색결과 1,041건 처리시간 0.031초

Antimutagenic Activities of 24 Synthetic Flavones with The Salmonella Microsomal Assay

  • Laget, M.;De Meo, M.;Wallet, J.C.;Gaydou, E.M.;Guiraud, H.;Dumenil, 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8권6호
    • /
    • pp.415-422
    • /
    • 1995
  • Twenty-four flavones were synthesized with various hydroxyl and/or methoxyl groups on A and B rings. Their antimutagenic properties were evaluated against ben:w(a)pyrene (BaP) and a pool of mutagenic urine concentrate (U) using a modified liquid incubation method of Ames test. The tester strain was Salmonella typhimurium TA98+S9 Mix. The antimutagenic activities were calculated by non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he doses of flavones (in nmoles) required for a 50% reduction of induced revertants with BaP and U were defined as the inhibition doses (TEX>$ID_{508}{\;}and{\;}ID_{508}$ respectively). Seventeen flavones possessed significant 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BaP. $ID_{508}$ ranged from 15.1 nmoles (F22) to 1000.6 nmoles (F13). Eighteen f1avones showed significant 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U. $ID_{50U}$ ranged from 23.5 nmoles (F22) to 354.6 nmoles (F3). The 2',3',4'-trihydroxyflavone (F22, $ID_{508}=15.1$ nmoles, $ID_{50U}=23.5$ nmoles) and the 2',3',4',7-tetrahydroxyflavone (F20, $ID_{508}=37.8$ nmoles; $ID_{50U}=62.3$ nmoles) had antimutagenic activities similar to those of chlorophyllin ($ID_{508}=19.6$ nmoles and $ID_{50U}=44.2$ nmoles) and were evaluated against B(alP 7,8-dihydrodiol-9,10-epoxide. Against this last mutagen, the flavones which included three OH in B ring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nd this property seemed independent of the substituent groups on A ring.

  • PDF

망간산화물(Birnessite)을 이용한 1- Indanone 제거 시 페놀계 반응매개체와 휴믹산(HA) 영향 평가 (Effect of Phenolic Mediators and Humic Acid on the Removal of 1-Indanone Using Manganese Oxide)

  • 최찬규;엄원숙;신현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445-45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PAHs 오염토양의 자연 풍화 및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과정에서 반응부산물로 흔히 발견되는 PAH-케톤화합물인 1-indanon (1-ID)을 대상으로 페놀계 반응매개체 존재 하에서의 망간산화물에 의한 산화 변환 제거특성 및 용존 자연유기물인 휴믹산(HA)의 존재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반응성 평가 실험은 수용액 상에서 회분식(10 mg/L 1-ID, 0.3 mM phenolic mediators, $1.0g/L\;{\delta}-MnO_2$, at pH 5)으로 수행 하였으며, 페놀계의 반응매개체(phenolic mediator)는 자연산 페놀화합물로서 휴믹물질의 모델 화합물로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11종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1-ID은 망간산화물 자체에 대하여는 비반응성을 띠었으나 페놀계 반응매개체 존재 하에서 교차-결합(cross-coupling)반응을 통해 제거됨을 HPLC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1-ID의 제거율은 반응 2일 경과 후 9.2~71.2%범위에서 페놀계 반응매개체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각 반응매개체 존재 하에서의 1-ID의 교차결합 반응은 유사1차 반응 속도식을 따랐으며, 초기 반응속도 상수 값($K_{int}$, $hr^{-1}$)은 0.48~15.0의 넓은 범위에서 나타났다. 1-ID의 제거효율(제거율, 속도상수)은 -OH, $-OCH_3$ 등 전자주게(electron donating) 작용기를 포함하는 반응매개체에서 높았으며, -COOH, -CHO 등 전자받게(electron withdrowing) 작용기를 포함하는 반응매개체일수록 낮았다. 또한 동일 반응 조건에서 HA 존재에 따른 영향을 검토한 결과 낮은 HA 농도(< 2 mg/L) 조건에서는 1-ID 제거효율의 상승효과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는 HA 주입 농도가 증가할수록 교차 결합 반응효율이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Anthracycline계 항암제 Hyrubicin ID6105에 대한 유전독성연구 (Genotoxicity Tests on Hyrubicin ID6105, a Novel Anthracycline Anticancer Agent)

  • 장호송;정미숙;이홍섭;유정수;김태영;김윤배;강종구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385-391
    • /
    • 2002
  • The genotoxic potential of Hyrubicin lD6105, a novel anthracycline anticancer agent, was examined on bacterial mutagenicity, mammalian cell chromosome aberration and mouse micronucleus tests. In mutagenicity (Ames') test,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 TA98, TA100, TA1535 and TA1537, and Escherichia coli WP2uvrA- were treated with ID6105 at doses of 312.5, 625, 1,250, 2,500 and 5,000 $\mu\textrm{g}$/ plate with or without a metabolic activation system (S9 mix). Interestingly, ID6105 significantly enhanced the number of revertant colonies of TA98 strain at all dose levels us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9 mix, without affecting other strains of S. typhimurium and E. coli. In chromosome aberration test using cultured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s, ID6105 (1.25, 2.5 and 5 $\mu\textrm{g}$/ml) did not increase the number of aberrant cells, compared with vehicle control.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9 mix. In addition, ID6105 treatment (2.5, 5 and 10 mg/kg) did not induce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 in mice. Taken together, it is suggested that ID6105 might not affect chromosome integrity in mammalian system in vitro and in vivo, although it may induce frame shift mutation of specific bacterial strain such os S. typhimurium TA98.

ATSC 지상파 DTV 시스템에서 TxID를 이용한 부가데이터 전송 기법 (Additional Data Transmission Scheme Using TxID Signal for ATSC System)

  • 강동훈;박성익;김홍묵;오왕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4-72
    • /
    • 2011
  •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지상파 DTV 시스템에서 단일 주파수 망 (Single Frequency Network) 구성 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다수의 송신기와 중계기들로 인하여 수신기에서는 필연적으로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TSC recommended practice (RP) A/111에서는 Kasami 수열로 구성된 송신 식별 (Transmitter Identification, TxID) 신호를 각 송신기 및 중계기에 할당하고 이를 송신 신호에 부가하여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TxID 신호로 제안된 Kasami 수열의 극성 및 위상을 조절하여 부가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 Kasami 수열은 송신기 및 중계기를 식별하기위한 TxID 신호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부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손실 매질에 대한 Isotropic-Dispersion 유한 차분식의 2D Crank-Nicolson FDTD 기법 (2D Crank-Nicolson FDTD Method Based on Isotropic-Dispersion Finite Difference Equation for Lossy Media)

  • 김현;고일석;육종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805-814
    • /
    • 2010
  • 기존 Crank-Nicolson FDTD 기법(CN FDTD 기법)의 비등방성 분산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CN ID-FDTD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CN ID-FDTD 기법은 공간 미분 연산을 위해 기존 CN FDTD 기법의 centered 유한 차분식 (Finite Difference equation: FD 연산식)이 아닌 isotropic-dispersion 유한 차분식(ID-FD 연산식)$^{[1],[2]}$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손실 매질에 대한 CN ID-FDTD 기법의 분산 관계식을 유도하였고, 이 분산 관계식을 이용해 ID-FD 연산식에서 분산 오차(dispersion error)를 줄이는 가중치(weighting factor)와 보정값(scaling factor)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해석 결과의 정확성 비교를 통해 CN ID-FDTD 기법에서는 기존 CN FDTD 기법의 단점이었던 비등방성 분산 오차가 확연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드반응이 동반된 족부백선 환자 치험 1례 (The Case Report of Tinea Pedis with Id Reaction)

  • 권강;김철윤;이동진;김남권;서형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4-142
    • /
    • 2015
  • Objectiv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s on tinea pedis with id reaction. Method : We treated a 33-year-old man was afflicted with tinea pedis complicating id reaction with herbal medicine, acupuncture, ointment, wet-dressing and steam treatment. After treatments, we measured the status of scales, fissures and the degree of pruritus. We followed up symptom changes by taking pictures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Result & Conclusion : Three days after admission, erythema occurred at upper and lower limbs and the degree of pruritus increased by id reaction. As tinea pedis improved, id reaction decreased, too. Consequently, both sites of primary lesions of tinea pedis and secondary id reaction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d accompanied symptoms were resolved simultaneously.

ID관리시스템의 접근통제기반 프라이버시 보안모델 (An Access Control Based Privacy Protection Model in ID Management System)

  • 최향창;노봉남;이형효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16
    • /
    • 2006
  •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ID관리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 문제는 일반 사용자들에게 매우 주요한 관심사이다. 따라서 ID관리 환경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지 않는다면 ID관리시스템의 활용도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COT(Circle of Trust)안에서 프라이버시 정책을 이용하여 개인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접근통제기반의 프라이버시 보안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프라이버시 보안모델 구성요소와 특성들을 정형적으로 기술하고, 프라이버시 보안 아키텍처와 프라이버시 정책들을 위한 XML기반의 스키마를 보인다.

  • PDF

식이지방 수준이 다른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대한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섭취 효과 (Effects of Indigestible Dextri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Normal or High Fat Diet)

  • 우동호;강현숙;이연숙;박양자;이현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6호
    • /
    • pp.981-990
    • /
    • 1998
  • The effects of indigestible dextrin on lipids in serum, tissue, and feces were investigated in two experiments carried out with 64 male Sprague-Dawley rats for eight weeks. Experiment I diet(normal fat diet) containing 5% corn oil and experiment II diet(high fat diet) containing 18% fat(13% beef tallow and 5% corn oil) and 1% cholesterol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 0.5% cellulose(0.5CL : control), 10% cellulose(10CL), 10% Indigestible dextrin I(ID-I) and 10% indigestible dextrin II(ID-II), respectively. ID-I and ID-II diets produced a decrease in serum total lipid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both normal and high fat diets but more significantly in the groups fed high fat diet. ID-I, ID-II, and 10CL of high fat diet decreased serum glucose concentration. ID-I and ID-II diets also decreased liver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rats fed normal and high fit diets. The fecal excretion of cholesterol in ID-II/high fat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0.5CL diet. Bile acid excretion was increased in the rats fed 10CL and ID-II diets of normal and high fat diets. These observations indicat the hypolipidemic and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indigestible dextrin on the rats. These effects are mediated by the increase of facal cholesterol and bile acid excretion. (Korean J Nutrition31(6) : 981-990, 1998)

  • PDF

ID 관리 기술과 표준화 동향

  • 정영곤;장기헌;이상래;장재훈;진승헌;염홍열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4-80
    • /
    • 2011
  • 인터넷이 활발히 보급되고 활성화 되면서 그로 인하여 사용자는 많은 정보를 다루게 되고 수많은 자신의 정보를 기억하고 활용하기는 쉽지 않다. 이렇게 수많은 자신의 정보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ID관리 중요성과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고에서는 국내외적으로 개발된 ID관리 기술들을 조사하고 분석하고 ID관리와 관련된 표준화의 동향을 국내외 표준화 기구를 대상으로 살펴본다. 또한 요즘 들어 이슈화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ID관리 기술을 융합하는 기술과 표준화의 동향을 알아본다.

Bin 슬롯 정보를 이용한 UHF 대역 Anti-collision 알고리즘 (Anti-collision algorithm using Bin slot information for UHF)

  • 최호승;김재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호
    • /
    • pp.41-48
    • /
    • 2006
  • RFID 시스템에서의 태그인식속도와 정확성을 결정하는 Anti-collision 알고리즘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Bin 슬롯을 사용하는 EPC CLASS 1 UHF Anti-collision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고, 기존 알고리즘을 개선한 Anti-collisio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에서는 리더가 Bin 슬롯 정보를 저장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PingID 명령의 반복 회수를 줄여 태그인식시간을 줄인다. 또한 제안한 알고리즘에서 ScrollAllID 명령을 사용하면 리더는 태그 E들의 충돌정보를 알게 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PingID 명령 반복회수를 줄여 태그인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기존의 알고리즘과 비교하였으며, 수학적 성능분석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이 월등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기존 알고리즘보다 랜덤한 ID를 갖는 태그를 사용했을 경우 충돌이 발생한 태그의 개수가 20개 일 때 약 $70\%$ 정도의 성능 향상이 있었으며, 태그의 개수가 200개 일 때 약 $130\%$ 정도의 성능 향상이 있었다. 또한, 기존 알고리즘은 순차적인 태그 ID를 사용하였을 경우 랜덤한 ID를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성능이 저하 되었으나 제안한 알고리즘은 순차적인 태그 ID를 사용하였을 경우 랜덤한 ID를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최대 약 $16\%$ 정도 성능이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