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관리 기술과 표준화 동향

  • 정영곤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 장기헌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 이상래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 장재훈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 진승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염홍열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인터넷이 활발히 보급되고 활성화 되면서 그로 인하여 사용자는 많은 정보를 다루게 되고 수많은 자신의 정보를 기억하고 활용하기는 쉽지 않다. 이렇게 수많은 자신의 정보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ID관리 중요성과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고에서는 국내외적으로 개발된 ID관리 기술들을 조사하고 분석하고 ID관리와 관련된 표준화의 동향을 국내외 표준화 기구를 대상으로 살펴본다. 또한 요즘 들어 이슈화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ID관리 기술을 융합하는 기술과 표준화의 동향을 알아본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영섭, 진승헌 "디지털 ID 관리 기술 동향 및 전망", 한국인터넷정보학회 9(3) pp14-24, 2008년 9월.
  2. Kantara Initiative, ''http://kantarainitiative.org/''
  3. 윤재석, 민경식, 김정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IITA] 정보통신연구진흥원 학술정보 주간기술동향 1311호"
  4. 조영섭, 진승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권 제3호", 2007.6
  5.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http://www.tta.or.kr/index.jsp"
  6. ITU-T SG17, ''http://www.itu.int/ITU-T/studygroups/com17/index.asp"
  7. OASIS, ''http://www.oasis-open.org/home/''
  8. ISO/lEC JTC1 SG27, ''http://isotc.iso.org/livelink/livelink?func=11&objId=8916751 &objAction=browse&sort=name"
  9. 안영훈, 육석예, 김진원, 김윤정, 이화영, "인터넷에선 주민번호 대신 아이핀(i-PIN)",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8년 9월
  10. OpenID, ''http://openi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