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heon observator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이천관측소에서 측정된 지자기장 및 지자기 전달함수의 시간적 변동성 (On the Temporal Variability of Geomagnetic Field and Transfer Function at Icheon Observatory)

  • 이덕기;권병두;윤용훈;양준모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604-614
    • /
    • 2004
  • 경기도 이천에서 2002년 7월부터 12까지 총 6개월 동안 측정된 지자기 3성분 자료를 이용하여 일별 각 성분의 스펙트럼, 지자기 전달함수의 크기, 위상, 오차 등을 계산하였다. 지자기 스펙트럼은 관측기간 동안 태양활동에 의한 무작위적 강약이 반복되는 형태를 보여주었고, 유의미한 시간적 변동은 존대하지 않았다. 지자기 전달함수의 크기, 위상, 오차의 경우, 주기 100초 이하와 주기 1000초 이상에서 부분적으로 무작위적인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시간에 따른 증감추세 없이 대체로 안정적인 값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전기장의 P$_{1}\;^{0}$ 소스(zonal harmonics) 가정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근사적인 겉보기 전기비저항의 변동을 조사하였는데, 근사된 전기비저항의 변화는 지각의 자체적인 물성 변화보다는 수평 자기장 성분의 시간적 강약에 지배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천 지자기 관측소 플럭스게이트 자력계 온도 조절 장치 개발 및 설치 후 안정성 자체 평가 (Development of Thermostat for the Fluxgate Magnetometer in Icheon Geomagnetic Observatory and Stability Evaluation after Installation )

  • 최두영;이승욱;김준성;이대영;최규철;조정희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2권3호
    • /
    • pp.221-22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온도에 민감한 플럭스게이트 자력계 센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의 설계 및 설치, 그리고 설치 이후 데이터 안정성 평가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온도 조절 장치는 국립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에서 운영 중인 이천 지자기 관측소에 설치되었다. 온도 조절 장치는 사고 안정성, 자기장 측정에 미치는 영향, 온도 조절 효율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온도 조절 장치 설치 이후, 온도가 20℃ 수준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자기 데이터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델타 F(delta-F)와 베이스라인(baseline) 값을 이용하였으며, 장치 설치 이후 델타 F와 베이스라인의 변동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Installation of Induced Current Measurement Systems in Substations and Analysis of GIC Data during Geomagnetic Storms

  • Choi, Kyu-Cheol;Park, Mi-Young;Ryu, Youngsoo;Hong, Youngsu;Yi, Jong-Hyuk;Park, Sung-Won;Kim, Jae-Hu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427-434
    • /
    • 2015
  • Coronal Mass Ejections (CME), which originate from active regions of the Sun's surface, e.g., sunspots, result in geomagnetic storms on Earth. The variation of the Earth's geomagnetic field during such storms induces surface currents that could cause breakdowns in electricity power grids. Hence, it is essential to both monitor Geomagnetically Induced Currents (GICs) in real time and analyze previous GIC data. In 2012, in order to monitor the variation of GICs, the Korean Space Weather Center (KSWC) installed an induced current measurement system at SINGAPYEONG Substation, which is equipped with 765 kV extra-high-voltage transformers. Furthermore, in 2014, two induced current measurement systems were installed on the 345 kV high-voltage transformers at the MIGEUM and SINPOCHEON substations. This paper reports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induced current measurement systems at these three substations. Furthermore, it presents the results of both an analysis performed using GIC data measured at the SINGAPYEONG Substation during periods of geomagnetic storms from July 2013 through April 2015 and the comparison between the obtained GIC data and magnetic field variation (dH/dt) data measured at the Icheon geomagnetic observatory.

한국에서의 지구자기장관측의 현황 (THE STATUS QUO OF THE GEOMAGNETIC FIELD MEASUREMENTS IN KOREA)

  • 임무택;박영수;정현기;이희일
    • 천문학논총
    • /
    • 제15권spc2호
    • /
    • pp.15-20
    • /
    • 2000
  • The geomagnetic measurements on the Korean Territory began in 1918 in the Incheon (Zinsen in Japanese pronunciation) Observatory of which the annual means of total magnetic field intensity, declination, and inclination still remain for 1918-1944. From 1970s, the National Geography Institute (NGI) and the Radio Research Laboratory (RRL) have tried independently to measure the geomagnetic field continuously. The RRL as the result of such efforts has installed 3 geomagnetic observatories, the first in Icheon and the second in Yongin in 1996, and the third in Jeju in 1997. From 1992, the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KIGAM) has tried also to measure the geomagnetism and as the result they have installed 2 geomagnetic observatories, one in Daejeon in 1998 and the other in Gyeongju in 2000. Nowadays, the RRL and the KIGAM collect the measured data into their own main computers by telecommunication in real time. The two institutions will cooperate in near future to link the two geomagnetic data bases so that the whole set of geomagnetic data measured on Korean Territory could be provided to the end users in Korea.

  • PDF

DEVELOPMENT OF 2.8-GHZ SOLAR FLUX RECEIVERS

  • Yun, Youngjoo;Park, Yong-Sun;Kim, Chang-Hee;Lee, Bangwon;Kim, Jung-Hoon;Yoo, Saeho;Lee, Chul-Hwan;Han, Jinwook;Kim, Young Yun
    • 천문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201-207
    • /
    • 2014
  •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solar flux receivers operating at 2.8 GHz to monitor solar radio activity. Radio waves from the sun are amplified, filtered, and then transmitted to a power meter sensor without frequency down-conversion. To measure solar flux, a calibration scheme is designed with a noise source, an ambient load, and a hot load at $100^{\circ}C$. The receiver is attached to a 1.8 m parabolic antenna in Icheon, owned by National Radio Research Agency, and observation is being conducted during day time on a daily basis. We compare the solar fluxes measured for last seven months with solar fluxes obtained by DRAO in Penticton, Canada, and by the Hiraiso solar observatory in Japan, and finally establish equations to convert observed flux to the so-called Penticton flux with an accuracy better than 3.2 sfu.

원격참조(RR: Remote Reference) 기법과 신호잡음분리(SNS: Signal Noise Separation)기술을 이용한 용인 관측소의 지자기 전달함수 분석 (An Analysis on the Geomagnetic Transfer Function at Yongin Observatory Using by RR (Remote Reference) and SNS (Signal Noise Separation) Technique)

  • 양준모;이덕기;권병두;류용규;윤용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2호
    • /
    • pp.155-163
    • /
    • 2005
  • RR (Remote Reference)과 SNS (Signal Noise Separation) 기법을 도입하여 용인과 이천에서 측정된 지자기 전달함수를 분석하였다. RR 기법은 측정 사이트와 동시에 기록되는 원격참조 자료를 사용하여 자기장의 비상관 잡음 (un-correlated noise)을 제거하는 기법으로서 전달함수의 편향을 최소화한다. 한편 SNS 기법은 원격참조 자료가 잡음이 거의 없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신호에 의한 전달함수와 상관잡음(correlated noise)에 의한 전달함수를 분리하는 기법으로서, 측정 사이트에 상관잡음이 지배적인 경우에도 신호에 의해 전달함수를 성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질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이천을 원격참조 자료로 사용하여, 용인에서의 전달함수를 분석하였다. RR기법을 적용한 곁과, 단일 로버스트 추정(Single robust estimation)에서 나타났던 편향이 감소되었고, 주파수에 따른 전달함수의 연결성도 향상되었다. 잡음원에 대한 보다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 SNS 기법을 적용한 결과, 주기 100초 이하에서 용인의 서쪽에 존재하는 잡음원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잡음원은 용인의 서쪽을 지나가는 국철, 고속철도 등의 철도 시스템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시계열 지자기 측정 자료의 복원, 예측 및 잡음 분석 연구 (Restoration, Prediction and Noise Analysis of Geomagnetic Time-series Data)

  • 지윤수;오석훈;서백수;이덕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13-628
    • /
    • 2011
  • 한반도에서 측정되고 있는 시계열 지자기 자료에 대해 결측 자료에 대한 복원과 측정 자료에 기반한 예측, 그리고 기관별 관측 자료에 대한 잡음도를 분석하였다. 결측 자료의 복원을 위해 주성분 분석을 통한 최적화 기법과 지구 통계학적 접근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주성분 기법은 자료의 주기성을 효율적으로 반영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지구통계학적 방법은 안정적인 복원 능력을 보였다. 관측소 별 잡음도를 파악하기 위해 이천 및 청양에서 동일 기간에 관측한 지자기 자료에 대해 공간적 분산성을 스캐터그램을 이용해 파악하였다. 그 결과 청양 관측소의 자료가 이천 관측소의 자료보다 연속적이며 안정적인 측정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복원을 위한 크리깅 추정에서도 실제 자료의 추정이 매우 정확하게 이루어졌다. 결측자료의 복원의 경우 20분 이내의 결측 자료에 대해서는 크리깅 기법과 주성분 기법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그 이상의 결측에 대한 복원과 지자기 자료의 예측이 필요한 경우에는 주성분 기법을 적용해야 주파수 영역에서의 특성이 실제와 더욱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지자기 자료의 예측을 위해서는 주성분 분석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하루 정도의 지자기장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