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Artifacts

검색결과 740건 처리시간 0.031초

Identity Formation and Self-Reflection Strategies in the Development of Apparel Design ePortfolios

  • Seifert, Christin;Chattaraman, Veena
    • Fashion, Industry and Education
    • /
    • 제14권2호
    • /
    • pp.60-69
    • /
    • 2016
  • Visual literacy, a key element of a design portfolio, is achieved by communicating a consistent visual aesthetic with respect to design elements, design principles and individual style. Yet, students often feel challenged in articulating their personal aesthetic or design philosophy in order to create a unifying design identity within a body of artifacts. This paper shares some best practices on overcoming this challenge through students' engagement in self-reflection and identity formation processes. The implemented innovative strategy in a senior-level portfolio development course for apparel designers involved four different phases: 1) one-on-one meetings to self-reflect on previous design work, 2) selection and revision of artifacts, 3) peer-review and critiques of revised portfolio artifacts, and 4) development of a final ePortfolio to showcase a unified design identity. It was evident that recording students' initial self-reflection in the form of a metacognitive oral report encouraged and motivated identity development in their portfolio. Further, students expressed their satisfaction in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the selection process of artifacts by self-reflecting about what they wanted to highlight about themselves and why. Overall, student outcomes from this strategy exceeded expectations and the portfolios developed were successful in creating a cohesive design identity.

Co-evolving with Material Artifacts: Learning Science through Technological Design

  • Hwang, Sung-Won;Roth, Wolff-Michael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6-89
    • /
    • 2004
  • Recent stud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he-making" revealed that the process of designing material artifacts is not a straightforward application of prior images or theories by one (or more) person(s) isolated from his or her (their) environment. Rather, designing is a process contingent on the social and material setting for both engineering designers and students. Over the past decade, designing technological artifact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learning environment in science classrooms. Through the analyses of a large database concerning an innovative simple machines curriculum for sixth-and seventh-grade students, we accumulated valid evidence for the nature of the designing process and science learning through it. In this paper, we show that design actions intertwine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objectified raw materials and artifact, the designer collective, and the mediating tools enabling that transformation, which constitute the elements of an ac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We conceptualize the continuous change of relation between material artifacts, designers, and tools throughout the design activity as co-evolution. Two episodes were selected to exemplify synchronic and diachronic change of relations inherent in co-evolving activity system.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co-evolution during design activity for science learning.

플라스틱 작품의 기초조사 및 보존처리 재료 연구: 이인희 '앨리스의 가방 - 눈 없는 물고기'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Basic Survey and Materials Properties for Conservation of Plastic Artifacts: 'A Bag of Alice - a Fish without Eyes')

  • 한예빈;김정흠;범대건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79-385
    • /
    • 2018
  • 본 연구는 열화된 플라스틱 작품의 보존처리를 위해 작품의 상태조사 및 재질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존처리에 주로 사용되는 접착제 5종(EVA계, PVAc계, Cyanoacrylate계)의 물성 및 접합특성을 평가하여 작품에 적합한 접착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작품은 현재 열화로 인해 표면의 균열, 들뜸, 형태적 변형이 발생하였으며, FT-IR을 통한 재질분석결과, 작품에 사용된 합성수지는 EVA계로 추정되었다. 접착제의 물성평가를 위해 산성도 및 경도 측정을 실시한 결과, 산성도는 접착제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경도는 EVA계 보다 PVAc계 접착제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의사시편을 제작하여 인공열화 후 접합특성을 비교한 결과, PVAc, Cyanoacrylate계 접착제는 색차 및 경도가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EVA계 접착제는 변화가 적어 가장 안정하였다. 작품의 보존처리 재료로써 EVA계 접착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작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처리재료 연구로써 현재 플라스틱 작품의 보존처리에 대한 국내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프트웨어 R&D에서 산출물(문서와 프로그램) 검증을 위한 활동 (Describing Activities to Verify Artifacts(Documents and Program) in Software R&D)

  • 아마르멘드;이은철;이정원;이병정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9-47
    • /
    • 2016
  •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R&D 프로젝트에서는 프로그램 코드와 문서 산출물이 생성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R&D 산출물들은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분류는 연차 실적 계획서, 연구개발과제계획서, 연구성과보고서, 연구 노트와 같은 소프트웨어 연구 산출물들이 포함된다. 그리고 다른 분류는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서, 소프트웨어 설계 명세서, 소프트웨어 테스트 계획서, 프로그램 코드와 같은 소프트웨어 개발 산출물들이다. 프로젝트의 진행 방향을 확인할 때 프로그램 코드를 테스트하고 문서 산출물을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연구 문서와 개발 산출물 사이에 완전성, 일관성 등의 관계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한 검증과 테스트는 프로젝트 관리자와 연구자들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올바르게 진행하고 있다는 확신을 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R&D에서 생성되는 문서와 프로그램을 검증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본 프로세스는 문서 산출물을 검토하고 프로그램 코드를 테스트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Essence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사례 연구를 통해 보인다.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신장결석으로 인해 발생되는 Twinkling 인공물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Twinkling Artifacts Caused by Kidney Stones on Abdominal Ultrasound)

  • 김주희;장현철;조평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37-642
    • /
    • 2021
  • 신장결석은 발생 위치에 따라 크게 신장결석, 요관결석, 요로결석 등으로 구분되며, 유전적 요인, 식생활 습관, 생활 환경, 수술 병력 및 감염 요인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9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대구시 소재한 종합병원에서 옆구리 통증을 동반 하나거나 복부초음파 검사를 위해 내원한 환자 중 요로결석을 진단받은 환자 112명을 대상으로 발견된 신장결석이 Twinkling artifac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스캔 방법 중 세로주사 스캔에서 신장결석에 따른 Twinkling artifact 발생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신장결석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Twinkling artifact 발생이 1.296배 증가하였고(p<0.05). 신장결석 크기가 증가할수록 Twinkling artifact 발생이 0.086배 증가하였다(p<0.05). 신장결석의 개수와 크기가 Twinkling artifact에 영향을 주는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신장결석이 Twinkling artifact에 미치는 영향은 신장결석의 개수와 크기가 연관성이 있기에 Twinkling artifact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활용하여 신장결석 발견에 도움이 되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척추 MRI 검사 시 척추 유합술로 인한 금속 인공물 억제 방법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n Methods to Suppress Metal Artifacts Caused by Spinal Fusion during Spine MRI Study)

  • 유세종;권순용;김성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123-1131
    • /
    • 2023
  • 본 연구는 척추 MRI 검사 시 척추 유합술로 인한 금속 인공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척추 수술용 나사로 제작된 팬텀을 제작하여 금속 인공물을 재현하였다. 그리고 1.5T 그리고 3.0T MRI 장치로 영상을 획득하여 자기장 세기에 따른 금속 인공물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더불어 수신대역폭을 200, 400, 800 Hz/PX로 증가시키며 금속 인공물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5T MRI 장치에서 획득한 영상에서 발생한 금속 인공물은 3.0T MRI 장치에서 획득한 영상과 비교하여 약 52.2%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특히, 신호 감쇄 및 신호 누적 영역이 각각 약 52.81%, 42.71% 감소하여 금속 인공물 억제에 큰 효과가 있었다. 반면, 수신대역폭을 200에서 800 Hz/PX까지 증가시키며 영상을 획득한 경우는 1.5T MRI 장치의 경우 최대 8.93%, 3.0T MRI 장치의 경우 최대 10.98% 감소하여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 수신대역폭의 증가는 신호 감쇄를 줄여 일부 금속 인공물을 줄였지만 신호 누적을 억제하지 못해 큰 효과가 없었다. 하지만 3.0T에서 1.5T로 자기장의 세기를 줄인 경우, 신호 감쇄와 신호 누적이 크게 감소해 금속 인공물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척추 유합술로 인한 금속 인공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저 자기장 MRI 장치에서 검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인공 무릎관절에서 자화율 인공물의 감소를 위한 O-MAR XD 기법의 평가 (Evaluation of O-MAR XD Technique for Reduction of Magnetic Susceptibility Artifact of Knee Implant)

  • 이정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5호
    • /
    • pp.413-419
    • /
    • 2018
  •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patients with metallic implant has poor image quality, and signal loss and artifacts including distortion can occ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a comparative evaluation on high receive bandwidth(hiBW), O-MAR, O-MAR XD to reduce artifacts in knee implant. To take MRI, 3.0T scanner and dual-source radiofrequency transmission were used. O-MAR XD technique's strong op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with O-MAR XD technique's weak option, O-MAR and hiBW excluding the medium option. O-MAR XD's medium op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with O-MAR XD's weak, O-MAR and hiBW. O-MAR XD technique's weak op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with O-MAR XD's strong and medium options, O-MAR and hiBW. O-MAR techniqu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with strong, medium, weak options of O-MAR XD technique except for hiBW. HiBW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with strong, medium and weak options of O-MAR XD technique except for O-MAR. The results showed that O-MAR XD technique was more useful for MRI scan for patients with knee replacement surgery than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hiBW or O-MAR, and susceptibility artifacts decreased more when O-MAR XD technique's strong or medium option was applied.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acquire images whose susceptibility artifacts were highly decreased by using O-MAR XD technique's strong or medium option when conducting MRI for artificial knee joint and it will be helpful for checking and monitoring patients with knee joint replacement.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누금세공 유물의 제작기술 연구 (A Study on Handiwork Technique of Filigree Artifacts Excavated from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Korea)

  • 이선명;남궁승;김연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24
    • /
    • 2010
  •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누금세공 유물 4점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재질특성과 미세조직을 분석하여 각각에 대한 제작방법을 살펴보았다. 이 결과 모두 22.7K 이상의 비교적 높은 순도를 나타냈으며 일부 유물에서는 금과 은이 일정 비율로 합금된 상태를 보였다. 표면을 장식한 금선은 0.2~0.8mm 두께를 보이고 다양한 단면형태를 나타냈다. 금입자는 2개 또는 3개가 접합되어 부착된 상태로, 0.3~0.8mm의 직경을 나타냈다. 금세선과 금입자의 표면 접합부에서는 땜의 잔재가 관찰되었으며 성분분석을 통해 금 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진사(HgS), 먹과 같은 안료를 감장하여 표면을 장식한 모습도 보였다.

Wiggle Matching for Radiocarbon Dating Korean Artifacts with Biannual Samples

  • Park, Won-Kyu;Nam, Tae-Kwang;Park, Jung-Hun;Hong, Wan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05-611
    • /
    • 2009
  • This paper reports the application of radiocarbon wiggle matching for Korean wooden artifacts such as furniture and Buddhist statues for precise dating. Ten biannual samples of 20 years (AD 1249-1268) for AMS (accelerator mass spectrometry) radiocarbon measurements were prepared from a board of the pedestal for Buddhist statue at Jeongsusa (temple) in Kangwhado, Korea, which was dendrochronologically dated. The average 95.4% confidence interval of radiocarbon dating without wiggle matching was 123 year. When wiggle matching technique was applied, it became 37 year, 3.3 times smaller than that without wiggle match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wiggle matching technique using the calibration curve for northern hemisphere (IntCal04: International radiocarbon calibration curve announced in 2004) can produce precise dates for Korean wooden artifacts which possess as much as 20 tree rings.

  • PDF

복부 핵자기공명 영상에서 영상번짐의 교정을 위한 최적 호흡 정렬법 (Optimal Respiratory Ordering Scheme (OROS) for Correcting Blurring Artifacts in Abdomi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정관진;안우연;조장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18
    • /
    • 1990
  • In abdominal NMR imaging the respiratory ordering techniques have been successfully used to remove the ghosting artifacts arising from the respiratory motion. In the existing respiratory ordering schemes, however,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blurring of the moving parts still remains as in the signal averaging technique. A new optimal respiratory ordering scheme which can correct the blurring as well as the ghosting artifacts is theoretically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hase encoding directional motion effects in Fourier imaging. The performance of the optimal respiratory ordering scheme is experimentally confirmed together with a suboptimal ordering scheme which is suggested as a compromise for the practic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