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Handiwork Technique of Filigree Artifacts Excavated from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Korea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누금세공 유물의 제작기술 연구

  • Lee, Sun-My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ung, Seung-Nam (Conservation Science Lab, National Museum of Buyeo) ;
  • Kim, Yeon-Mi (Conservation Science Lab, National Museum of Buyeo)
  • 이선명 (현재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남궁승 (국립부여박물관 보존과학실) ;
  • 김연미 (국립부여박물관 보존과학실)
  • Received : 2009.12.28
  • Accepted : 2010.03.03
  • Published : 2010.03.2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each handiwork method of 4 filigree artifacts from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Korea through material characteristic and microstructur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indicated that all of the artifacts have comparatively higher purity than 22.7K and some of filigree artifacts showed that gold is alloyed with silver at a certain ratio. Gold thread that decorates surface showed thickness of 0.2~0.8mm and displayed various forms of section. Gold granule indicated that 2 or 3 granules are adhered together and they are 0.3~0.8mm in diameter. Trace of soldering was observed from gold thread and gold granule joints on surface and it confirmed a possibility of being soldering using gold solder through componential analysis. Also, it reveals a surface decorated with pigments such as cinnabar(HgS) and black.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누금세공 유물 4점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재질특성과 미세조직을 분석하여 각각에 대한 제작방법을 살펴보았다. 이 결과 모두 22.7K 이상의 비교적 높은 순도를 나타냈으며 일부 유물에서는 금과 은이 일정 비율로 합금된 상태를 보였다. 표면을 장식한 금선은 0.2~0.8mm 두께를 보이고 다양한 단면형태를 나타냈다. 금입자는 2개 또는 3개가 접합되어 부착된 상태로, 0.3~0.8mm의 직경을 나타냈다. 금세선과 금입자의 표면 접합부에서는 땜의 잔재가 관찰되었으며 성분분석을 통해 금 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진사(HgS), 먹과 같은 안료를 감장하여 표면을 장식한 모습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난영, "韓國古代의 金屬工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2. 이영희, "古新羅 金屬工藝의 鏤金細工技法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3. 이유진, "고대 누금세공(鏤金細工)기법의 전개와 발전". 기초조형학연구, 7, p377-383, (2006).
  4. 권향아, "삼국시대 이식(耳飾의 누금기법(鏤金細工)에 관한 연구". 한국공예논총, 5, p7-35, (2002).
  5. 문환석, 조남철, 홍종욱, "고대 누금 세공기법 제작기술 연구". 보존과학연구, 22, p81-91, (2001).
  6. 주진옥, 강대일, "皇南大塚 南墳출토 太環耳飾의 성분분석과 그 특징". 보존과학연구, 27, p130-143 (2006).
  7. 허우영, "금제태환이식(보물557호)에 사용된 누금기법". 호암미술관 연구논문집, 6, p113-123, (2003).
  8. 허우영, "5-6세기 금제 귀걸이 누금세공에 사용된 접합기법". 삼성미술관 Leeum 연구논문집, 1, p135-145, (2995).
  9. 국립부여박물관, "능사 -부여 능산리사지 발굴조사 진전보고서-" p83-101, (2002).
  10. 국립부여박물관, "백제의 공방". p12-23, (2006).
  11. 문환석, 조남철, 강대일, 이명희, "재질분석을 통한 제작특성 연구".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12. 유혜선, "채색 및 감장안료 분석". 무령왕릉: 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1), p8-27,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