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 및 $H^1$-NMR 스펙트럼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9초

춘란(Cymbidiym goeringii REICHB. fil)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Sterol 화합물의 분리 (Isolation of Sterols from the Methanol Extracts of Cymbidium goeringii REICHB. fil)

  • 이진희;김동현;방면호;양혜정;방성훈;정인식;권병목;김성훈;김대근;박미현;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263-266
    • /
    • 2005
  • 춘란을 80% MeOH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EtOAc 분획에 대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3종의 sterol을 분리하였다. 각각에 대하여 2D-NMR을 포함한 스펙트럼 데이터의 해석과 문헌 자료를 조사하여 ${\beta}-sitosterol$, daucosterol, ergosterol peroxide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춘란에서 이번에 처음 분리, 보고되었다.

서로 다른 측쇄 구조를 가진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의 저온유동성 향상제 합성 (Synthesis of Poly(alkyl methacrylate)s Containing Various Side Chains for Pour Point Depressants)

  • 홍진숙;김영운;정근우;정수환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42-547
    • /
    • 2010
  • 디젤연료 및 바이오 디젤을 포함하는 디젤연료는 성분 내에 n-파라핀과 포화 지방산 메틸에스테르가 저온에서 결정화가 이루어져 연료의 저온 특성을 감소시키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에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가 저온유동특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MA (lauryl methacrylate), SMA (stearyl methacrylate)를 각각 측쇄 구조가 다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70 : 30의 몰 비율로 라디칼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의 구조는 $^1H$-NMR 및 FT-IR 스펙트럼으로 분석하였으며, GPC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디젤연료에 500~1000 ppm, 바이오디젤을 5%, 20% 함유한 디젤연료(BD5 및 BD20)에 1000~10000 ppm을 각각 첨가하여 유동점, 구름점 및 저온필터막힘점 등의 저온유동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온유동특성을 측정한 결과 BD5에서 SMA를 포함한 공중합체 $PSMAmR_2n$에서 첨가 전 대비 유동점 $15^{\circ}C$, 구름점 $6^{\circ}C$, 저온필터막힘점 $10^{\circ}C$ 강하되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식용 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VIII. - 용안육(Euphoria longana L.)으로부터 분리된 uridine의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 -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VIII. - Isolation of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y Compounds from the Arils of Euphoria longana L. -)

  • 김동현;송명종;최정민;김성훈;김대근;정인식;박미현;권병목;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130-134
    • /
    • 2004
  • 용안육을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n-BuOH 분획을 silica gel,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1,1-dimethyl-2-propenyl $1-O-{\beta}-D-glucopyranoside$, ethyl ${\beta}-D-glucopyranoside$, 5-(hydroxymethyl)-2-furfuraldehyde 및 uridine으로 동정하였다. Uridine은 $5\;{\mu}g/ml$의 농도에서 collagen으로 유도한 혈소판 응집을 78% 저해하였다.

Vinylsulfilimine유도체에 대한 1-methyl-5-mercapto-1,2,3,4-tetrazole의 친핵성 첨가물에 관한 연구 (Synthetic Studies on the Nucleophilic Addition of 1-Methyl-5-mercapto-1,2,3,4-tetrazole to Vinylsulfilimines)

  • 김태린;이소영;변상용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18-323
    • /
    • 1992
  • Vinylsulfilimine 유도체(H, p-$CH_3$, m-TEX>$CH_3$, p-Cl, p-Br, p-$OCH_3$, 및 p-$NO_2$)에 1-methyl-5-mercapto-1,2,3,4-tetrazole을 반응시켜 다음 7가지의 새로운 호합물을 합성하였다. S-Phenyl-S-2-(1-methyl-1,2,3,4-tetrazole-5-thio)-ethyl-N-p-tosylsulfilimine, S-p-tolyl-S-2-(1-methyl-1,2,3,4-tetrazole-5-thio)-ethyl-N-p-tosylsulfilimine, S-m-tolyl-S-2-(1-methyl-1,2,3,4-tetrazole-5-thio)-ethyl-N-p-tosylsulfilimine, S-p-chlorophenyl-S-2-(1-methyl-1,2,3,4-tetrazole-5-thio)-ethyl-N-p-tosylsulfilimine, S-p-bromophenyl-S-2-(1-methyl-1,2,3,4-tetrazole-5-thio)-ethyl-N-p-tosylsulfilimine, S-p-methoxyphenyl-S-2-(1-methyl-1,2,3,4-tetrazole-5-thio)-ethyl-N-p-tosylsulfilimine and S-p-nitrophenyl-S-2-(1-methyl-1,2,3,4-tetrazole-5-thio)-ethyl-N-p-tosylsulfilimine. 이 화합물들의 구조는 원소분석, MP, UV, IR 및 NMR 스펙트럼에 의해 확인되었다.

  • PDF

질소-산소계 여섯 자리 리간드들의 전이금속이온 착물에 대한 전위차법 연구 (Potentiometric Study of Transition Metal Ions Complexes of Hexadentate($N_4$, $O_2$) Ligands)

  • 김선덕;김준광;이우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18-525
    • /
    • 2000
  • 열린 고리 형태의 질소-산소계 여섯 자리 리간드 1,13-bis(2-hydroxybenzyl)-2,5,9,12-tetraazatridecane-tetrahydrochloride(BSATD${\cdot}$4HCl)와 1,14-bis(2-hydroxybenzyl)-2,6,9,12-tetraazatetradecanetetrahydrochloride(BSATED${\cdot}$4HCl)을 네 개의 염산염으로 합성하여 원소분석, 적외선 분광법, 핵 자기 공명법 및 질량스펙트럼으로 합성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리간드들의 산 해리상수값(log$K^{n}_{H}$)과 Cu(II), Ni(II), Co(II) 및 Zn(II)에 대한 안정도 상수 값 (log$K_{ML}$)을 전위차 적정법으로 구하고, 지방족 아민의 질소 원자들 사이에 에틸렌기와 프로필기를 포함하는 리간드들의 고리길이 효과에 따른 산 해리상수 특성 및 전이금속에 대한 안정도상수값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Cu(BSATD)]ClO_4$$[Cu(BSATED)](ClO_4)_2$구리(II)착물을 합성하여 그 성질을 알아보았다.

  • PDF

피리딘을 포함하는 여섯자리 $N_6$ 리간드와 전이금속 이온 착물의 안정도상수 (Stability Constants for Transition Metal ions of Hexadentate $N_6$ Ligands Containing Two Pyridyl Groups)

  • 김선덕;김준광;박윤열
    • 분석과학
    • /
    • 제12권5호
    • /
    • pp.397-402
    • /
    • 1999
  • 두 개의 피리딘기를 포함하는 열린고리 형태의 여섯자리 질소계 리간드 1,15-bis(2-pyridyl)-2,6,10,14-tetraazapentadecane tetrahydroehloride (bpyped 4HCl)을 합성하고 원소분석, 적외선 분광법, 핵자기 공명법 및 질량 스펙트럼으로 분석하였다. 합성된 리간드의 산 해리상수($logK{^n}_H$)와 Cu(II), Ni(II), Co(II) 및 Zn(II) 에 대한 안정도 상수값을 수용액에서 전위차 적정법으로 구하였고, 이때 온도는 $25^{\circ}C$ 및 이온강도 0.10 M($KNO_3$)으로 고정시켰다. 지방족 아민의 질소 원자들 사이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프로필기를 포함하는 bpyped와 유사한 리간드들의 지방족 아민 고리 길이 효과에 따른 산 해리 상수 및 전이금속(II)에 대한 안정도 상수 영향을 알아보았다.

  • PDF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IX. 사자발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abalssuk)의 전초로부터 저밀도 지질 단백질(LDL) 산화 억제물질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IX. Isolation of Inhibitory Compound on LDL-Oxidation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abalssuk))

  • 방면호;송명종;한민우;이대영;조진경;정해곤;정태숙;이경태;최명숙;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224-227
    • /
    • 2007
  • 사자발쑥의 전초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과 octadecyl silica gel(ODS)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2종의 phenylpropanoids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eugenol(1) 및 (-)-sesamin(2)으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사자발쑥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Eugenol(1)은 LDL-항산화활성 억제활성이 40 ${\mu}g/ml$ 처리 농도에서 $87.8{\pm}1.0%$로 나타났다.

식용 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VIII. 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 자실체로부터 Ergosterol 유도체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VIII. Isolation of Derivatives of Ergosterol from the Fruit Body of Phellinus linteus)

  • 류하나;유종수;송명종;이대영;김동현;노영덕;김인호;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57-62
    • /
    • 2007
  • 상황버섯 자실체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을 silica gel 및 octadecyl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sterol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ergosta-7,24(28)-dien-3${\beta}$-ol (episterol, 1), 5${\alpha}$,8${\alpha}$-epidioxyergosta-6,9(11),22-trien-3${\beta}$-ol (dehydroperoxyergosterol, 2), 5${\alpha}$,8${\alpha}$-epidioxyergosta-6,22-dien-3${\beta}$-ol (ergoterol peroxide, 3), 및 $3{\beta}$,$5{\alpha}$-dihydroxy-6${\beta}$-methoxyergosta-7,22-diene (6-O-methylcerevisterol, 4)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이번에 상황에서 처음 분리 보고되었다.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VII. 싸주아리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uarissuk) 지상부의 화학성분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VII.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uarissuk))

  • 유종수;방면호;안은미;송명종;정해곤;정태숙;이경태;최명숙;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53-56
    • /
    • 2007
  • 싸주아리쑥 지상부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이중 EtOAc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과 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friedelin (1), ${\beta}$-amyrin (2), ${\beta}$-amyrin acetate (3), camphanediol (4), hispidulin (5)으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싸주아리쑥에서는 처음 분리되었다.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IV. 사자발쑥(Artemisia herba)의 전초로부터 flavonoid 화합물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IV.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herba))

  • 방면호;김동현;유종수;이대영;송명종;양혜정;정태숙;이경태;최명숙;정해곤;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418-420
    • /
    • 2005
  • 사자발쑥의 전초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을 silica gel과 octadecyl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eupatilin (1), jaceosidin (2), apigenin (3) 및 eupafolin (4)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중 eupatilin과 jaceosidin은 사자발쑥에서 분리, 보고 된 바 있으나 eupafolin과 apigenin은 처음 분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