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PCC 시나리오

Search Result 20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ssessment of water supply reliability under climate stress scenarios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 기반 댐 이수안전도 평가)

  • Jihyeon Jo;Dong Kook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85-385
    • /
    • 2023
  •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되는 특성 및 기후변동을 체감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수자원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IPCC의 미래 기후변화 예측 시나리오는 특정 복사강제력에 기반을 하기에 그 자체만으로도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전 지구적 모형을 활용하는 점에서 우리나라 기후변화 예측 정확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장래 수자원 공급의 의사결정 객관성 및 체계를 확보하고 위에 제시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Decision-Scaling을 적용하여 댐 이수안전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충주, 용담, 합천, 섬진강댐을 선정하였다. 기후스트레스 시나리오는 총 91개(순위 기반 강우 스트레스 시나리오 13개 및 0℃에서 6℃까지의 7개 온도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1995년부터 2014년까지 관측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축하였다. 수문모형(IHACRES)과 저수지모형(HEC-ResSim)을 결합하여 이수안전도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검정은 과거 댐 유입량과 비교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은 매우 높은 정확도(R2≥0.81)를 보여, 과거 사상에 대한 모의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여름철 강우 변동이 온도와 비교하여 용수공급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i) 강우와 온도가 동시에 변화하는 시나리오와, (ii) 개별적으로 변화하는 시나리오에 대한 이수안전도의 합과 비교하여, (i)의 경우가 이수안전도에 더 큰 영향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름철 강수량의 감소와 증가로 인해 각각 물과 에너지가 제한된 실제증발산이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를 포함한 기후 스트레스 발생 시 효율적인 댐 관리 및 운영을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cipitation-Streamflow Elasticity analysis of Nakdong River Based on RCP 4.5 Climate Change Scenario (RCP 4.5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낙동강 유역의 강우-유출 탄성도 분석)

  • Jang, Young-su;Park, Jae-Rock;Shin, Hyun-s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2
    • /
    • pp.605-612
    • /
    • 2017
  • Climate change affects the natural ecosystem and human socioeconomic activities by acting on various constituents such as the atmospheric, oceanic, biological, and land constituents of the climate. Predicting the impacts of ongoing climate change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adapting to the climate of the future. In this study, precipitation-streamflow elasticity analysis of the Nakdong River area was conducted using the RCP 4.5 scenario developed by the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recipitation and streamflow in the Nakdong River area was analyzed using monthly, seasonal, and yearly data. Results found that the climate would become very humid climate by 2100.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hydraulic structures.

Future Inflow Simulation Considering the Uncertainties of TFN Model and GCMs on Chungju Dam Basin (TFN 모형과 GCM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충주댐 유역의 미래 유입량 모의)

  • Park, Jiyeon;Kwon, Ji-Hye;Kim, Taereem;Heo, Jun-Hae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2
    • /
    • pp.135-143
    • /
    • 2014
  • In this study, Chungju inflow was simulated for climate change considering the uncertainties of GCMs and a stochastic model. TFN (Transfer Function Noise) model and 4 different GCMs (CNRM, CSIRO, CONS, UKMO) based on IPCC AR4 A2 scenario were used. In order to evaluate uncertainty of TFN model, 100 cases of noises are applied to the TFN model. Thus, 400 cases of inflow results are simulated. Future inflows according to the GCMs show different rates of changes for the future 3 periods relative to the past 30-years reference period. As the results, the summer inflow shows increasing trend and the spring inflow shows decreasing trend based on AR4 A2 scenario.

A Review of Regional Climate Change in East-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Global and Regional Climate Modeling Researches (전구 및 지역기후 모델 결과에 근거한 동아시아 및 한반도 지역기후 변화 전망 연구 소개 및 고찰)

  • Hong, Song You;Kwon, Won Tae;Chung, Il Ung;Baek, Hee Jeong;Byun, Young Hwa;Cha, Dong Hyun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2 no.4
    • /
    • pp.269-281
    • /
    • 2011
  • In this review, numerical model results from global and regional climate models are introduced to regional detailed climate changes over East Asia and Korea. In particular, regional climate change scenarios in this region, which are created by several research groups in Korea based on 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SRES) of IPCC 4th assessment report are introduced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enarios are investigated. Despite slight differences in intensity, all scenarios reveal prominent warming over the Korean peninsula in future climate. Changes in precipitation amount vary with given scenarios and periods, but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heavy precipitation generally tend to increase in all scenarios. South Korea except for mountainous regions is expected to change into subtropical climate in future, which accompanies distinct changes in ecosystems and seasons.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hydrological safety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on Chungju dam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충주댐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 Park, Jiyeon;Gwon, Ji-Hye;Kwon,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9-479
    • /
    • 2017
  • 전지구적으로 진행 중인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변화 등으로 강우량 및 유출량의 증가는 지속적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현재 댐 시설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에 대한 기준 및 제도에는 이러한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대책 및 적응방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기후변화로 인해 지속적 증가로 예상되는 피해에 대응하기 위하여 댐 수문학적 안전성 재평가가 필수적이고, 그에 따른 각종 위험도 및 취약성 평가가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미래에 대한 댐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IPCC AR5 RCP 4.5/8.5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충주댐 유역의 가능최대강수량(PMP)와 가능최대홍수량(PMF) 산출 및 댐의 월류 및 여유고 확보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를 사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전 기간(2040, 2070, 2100)에 대한 수문학적 안전성평가를 수행하여 향후 미래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Generation of High Resolution Scenarios for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 Resources (II): Runoff Scenarios on Each Sub-basins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II): 유역별 유출시나리오 구축)

  • Jung, Il-Won;Bae, Deg-Hyo;Im, Eun-S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3
    • /
    • pp.205-214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the regional scale runoff scenarios by using IPCC SRES A2 climate change scenario for analyzing the spatial variation of water resources in Korea. The PRMS model was adopted to simulate long-term stream discharge. To estimate the PRMS model parameters on each sub-basin, the streamflow data at 6 dam sites and Rosenbrock's scheme are used for model parameter calibration and those parameters are translated to ungauged catchments by regionalization method. The other 3 dam sites are select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adequateness of regionalized model parameters in ungagued catchments.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simulated flows by using regionalized parameters well agree with observed ones. The generated runoff scenarios by climate change are compared with observed data on 4 dam sites for the reference period. The consequences show that the selection of climate station for generating climate scenario affects the reliability of climate scenario at sub-basin. The comparison results of the stream flows between the 30-year baseline period (1971-2000) and future 90-year (2001-2030, 2031-2060, 2061-2090) show that the long-term mean annual runoff in the Han River has increasing trend, while the Nakdong, the Gum, the Youngsan and the Sumjin Rivers have decreasing trend.

Climate Change effect on Rainfall Frequency analysis using high resolution RCM Data (고해상도의 RCM 자료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강우빈도 분석에 미치는 영향)

  • Kim, Byung-Sik;Kim, Bo-Kyung;Kwon, Hyun-Ha;Yoon, Seo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4-228
    • /
    • 2008
  • 2007년 세계경제포럼(WEF)은 우리가 직면한 최우선 해결과제로 기후변화를 언급하였다. 최저 기온 상승과 가뭄 영향 지역 확대, 폭염일수와 지역적 홍수 위험 증가 등 각종 이상기상이 야기하는 피해 확대에 대한 예상과 우려 때문이다(IPCC, 2007). 세계적으로 고온극한과 호우빈도 증가, 태풍 세기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IPCC, 2007), 국내의 경우 겨울철 한파 감소와 대설 피해 증가, 여름철 집중호우의 강도 심화, 가을철 초대형 태풍 발생으로 인한 피해 가능성이 예측 되고 있다(기상연구소, 2007). 현재, 이러한 현상들을 가시화하고 대처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일환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GCM)가 작성되어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GCM의 경우, 공간적 해상도가 낮아 지형학적 특성 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공간 해상도가 GCM보다 높은 RCM(Regional Climate Model, 지역기후모델)자료를 적용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RES A2 온난화가스시나리오 기반의 기상청 RegCM3 RCM($27km{\times}27km$)로 부터 일(daily)단위 자료를 각각 모의하여 비교하고, BLRPM을 이용하여 일(daily)단위 자료를 시(hourly)단위로 분해(disaggregation)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이용하여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미래 기후변화가 극한 강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Runoff Prediction according to Land Use Change Considering Uncetainty based on AR5 Scenario in Doam Dam Watershed (AR5 시나리오기반 불확실성을 고려한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도암댐 유역의 유출전망)

  • Kim, Jung Min;Moon, Soo Jin;Kim, Ji Hoon;kang, Boosik;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1-421
    • /
    • 2015
  • 2007년 IPCC 4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발간 이후, 최근 제 5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에 표준 온실가스 시나리오를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로 새롭게 선정하여 발간되었다. 이러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수자원변화를 예측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후변화 모델을 제공하는 기관이 많고 전지구적인 스케일로 제공되고 있어 모델의 선택여부와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케일 불일치 등 다양한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 대상지역인 도암댐 유역은 상류에 고랭지 밭이 다수 위치해 있으며 2018년 동계올림픽을 유치하는 평창에 속해있어 2011년 이후로 급격한 개발이 이루어졌고 지속적으로 토지 이용변화가 일어나는 유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CP 4.5와 8.5시나리오를 대상으로 총 20개의 기후변화 모델 자료를 수집하였고 지역오차보정을 통해 지역적인 스케일의 불일치를 개선하고 미래시나리오에 대해서는 비정상성을 고려한 비정상성 분위사상법을 통해 미래 시나리오의 정확성을 높였다. 과거 토지이용변화추세를 반영하여 5가지의 미래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이를 유역모형인 SWAT모형에 적용하여 미래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를 모두 고려하여 도암댐 유역에서의 유출을 전망하였다.

  • PDF

Future precipitation changes in Jeju island based on CMIP6 models (CMIP6 모델을 기반으로 한 제주도 강수량의 미래 변화)

  • Kim, Sunghun;Seo, Miru;Lee, Taew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86-18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6차 평가보고서(6th Assessment Report, AR6)에서 제시한 새로운 온실가스 경로(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에 따라 산출된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제주도의 미래 강수량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기후정보포털(http://www.climate.go.kr/)에서는 6가지 기상요소(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풍속 등)에 대하여 SSP 시나리오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SSP 시나리오는 SSP1-2.6 저탄소 시나리오(사회 불균형의 감소와 친환경 기술의 빠른 발달로 기후변화 완화, 적응능력이 좋은 지속성장가능 사회경제 구조)와 SSP5-8.5 고탄소 시나리오(기후정책 부재, 화석연료 기반 성장과 높은 인적 투자로 기후변화 적응능력은 좋지만 완화능력이 낮은 사회경제 구조)로 구분되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현재의 기후 상태를 모의하는 historical period (1850-2014) 자료와 미래의 기후상태를 모의한 future period (2015-2100) 자료가 있으며, 월별(momthly), 연간(yearly) 자료의 형태로 제공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SSP 시나리오를 이용한 제주도 강수량의 미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기후변화에 능동적인 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Analysis of Design Floo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in Han River Basin (기후변화를 고려한 한강유역의 설계홍수량 분석)

  • Kim, Sunghun;Kim, Sooyoung;Jang, Hanji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95-95
    • /
    • 2015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전망하고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증가하는 위험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013년부터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배포하는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시나리오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과 호우일수는 뚜렷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수공구조물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설계기준은 미흡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한강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설계홍수량을 분석하였다. 유출량은 실무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HEC-1을 이용하여 산정하였고, 입력매개변수 중 강수인자는 RCP 시나리오 기반의 확률강우량을 적용하였다. 또한, 한강유역종합치수계획(2008)을 참조하여 나머지 매개변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확률홍수량을 산정하여 점차 증가하는 홍수위험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기존 하천시설물의 설계 기준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