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PC Classification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1초

블룸 필터를 사용한 길이에 대한 2차원 이진검색 패킷 분류 알고리즘 (Two-Dimensional Binary Search on Length Using Bloom Filter for Packet Classification)

  • 최영주;임혜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4B호
    • /
    • pp.245-257
    • /
    • 2012
  • 패킷 분류는 인터넷 라우터가 수행하는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써 들어오는 모든 패킷을 선 속도로 처리하기를 요구한다. 영역분할을 사용한 사분트라이 구조에 길이 별 이진 검색을 적용한 알고리즘은 2차원 필드를 동시에 검색하면서 검색영역을 반으로 줄여나갈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인 구조이다. 하지만 트라이의 레벨에 노드가 없는 경우에도 해시 테이블에 접근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시 메모리로의 불필요한 접근을 줄이기 위해서 영역분할을 사용한 사분 트라이의 길이별 이진 검색에 블룸 필터를 적용하는 패킷분류 구조를 제안한다. 현재 사용되는 ACL, FW, IPC 룰 타입의 1000, 5000, 10000개의 룰 셋으로 실험한 결과, 블룸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검색 성능이 21~33%까지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

Use of Patent Anlysis for the Future Skills-needs in Information Security

  • Hwang, Gyu-hee;Ju, In-Joong;Ban, Ga-woon;Lee, Kack-Hee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4권3호
    • /
    • pp.307-327
    • /
    • 2015
  •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methodology that analyzes patent applications to identify future skills, in particular in the sector of information security, recently into the spotlight. Matching skill elements from the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IPC) with skill units from job analysis, the study tries to track trends in the skills needs based on IPC time-pattern. It then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outlook for future skills needs by addressing the situation through the use of patents. The research assesses the usability of patent information for this type of analysis. While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information security sector by using Korean patent information, it can be expanded in the future to other areas and pat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특허 자료 정보 기반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 주요 공통 기술 분야 분석 (The Major Common Technology Field Analysis of Domestic Mobile Carriers based on Patent Information Data)

  • 김장은;조유습;김영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723-737
    • /
    • 2017
  • 국가 기술표준정책 결정시 국가 정책 활동/시장경제 활동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현재 자국 기술 수준/집중도/활용도에 대한 분석을 통한 의사결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의사결정의 수단으로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 특허 자료 기반 주요 공통 기술 분야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특허청 특허정보검색서비스를 통해 수집된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 전체 특허/국제특허분류 수는 20,294건/152개이며, 이동통신 사업자 특허자료 일반 정보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높은 기술보유 활동을 수행하는 사업자는 KT(9,738건/47.98%)이다. 이어서 사회망 분석결과 연결중심성(0.552)/근접중심성(1.000)/매개중심성(0.290)이 큰 국제특허분류 30개 추출, 주성분 분석 결과 분산 평균 크기 3.2222 이상 넘어가는 국제특허분류 4개(H04W, H04B, G06Q, H04L) 추출을 통해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 공통 기술 분야임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 공통 기술 분야 4개에 대한 자기회귀 결합 이동평균 모형 분석 결과 H04W, H04B, G06Q, H04L 모두 12개월의 계절성 특성을 가지며, 기존 시계열 자료 평균 대비 예측 평균이 낮아짐을 확인했다.

분류전문가시스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t system for classification of book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9권
    • /
    • pp.35-57
    • /
    • 1992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provide some helpful data for the desig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expert system for the book-classifi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cases of the classification-expert system models. Following the introduction, the concepts and some features of an expert system were overviewed in the second chapter, on the basis of which the following concrete cases were introduced and analyzed in the third chapter : (1) ACN System for NC, (2) Expert System for NDC, (3) Expert System for UDC, (4) Herba Medica System, (5) Expert System for IPC, (6) Stratcyclode Project, (7) Expert System for Classification of INIS Database, (8) AutoBC System, and etc. In the conclus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lassification-expert system, it was turned out that constructing a new system by using an AI language such as Prolog or LISP is more desirable than employing any one of expert system shells. Together it is necessary for the following requirements to be met : (1) The subject concept of a document elicited should be accurate. (2) Not only a domain knowledge but also the knowledge covering all the subjects should be represented in the knowledge-bases. (3) The knowledge-bases should be organized in such a wa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about classification should be well defined. (4) rule-base consisting of accurate rules about classification should be made. (5) It should be possible for classification code wanted to be generated immediately.

  • PDF

Characteristics of ICT-Based Converging Technologies

  • Kim, Pang Ryong
    • ETRI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1134-1143
    • /
    • 2013
  • The rising pace of technological change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has provoked technological convergence by providing a new mode of diversifi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nature of ICT-based converging technologies by examining comparative empirical evidence on converging versus nonconverging technologies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issues: patent application trends, concentration across technologies, the concentration of patenting activity across firms, R&D efforts, and a technology impact index. For this study, a new operational definition of ICT-based converging technology is derived, and a massive quantity of patents, up to around 600,000, is analyzed. This study follows the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as well as the modified European Commission's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classification of technologies and industries, respectively.

특허의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소셜 태깅기반 지적재산권 추천플랫폼 (Social Tagging-based Recommendation Platform for Patented Technology Transfer)

  • 박윤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21권3호
    • /
    • pp.53-77
    • /
    • 2015
  • 국내에서 출원되는 특허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특허들 중 상당수는 활용되지 못하고 사장되고 있다. 2012년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특허의 약 73%가 사회적 가치창출로 연결되지 못하는 휴면특허라고 한다. 즉, 대학/연구소 또는 사업화가 어려운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특허가, 이를 필요로 하는 수요기업에 성공적으로 기술 이전되지 못하는 것을 휴면특허 증가의 주요 문제점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급격히 축적되는 방대한 특허 자원들 속에서, 기업의 관심분야에 적합한 지식재산을,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소셜태깅 기반의 특허 추천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 특허들로부터 핵심적인 내용 및 기술 분야를 추출하여 초기 추천을 수행하고, 이후 사용자들의 태그정보가 축적되면, 사회적 지식 (social knowledge)을 추천에 함께 반영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에는 특허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KIPRIS(Korea Industrial Property Rights Information Service) 시스템에서 실제 특허자료 총 1638건을 수집한 후, 현재 특허 데이터에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태그 정보를 추가한 반가상(semi-virtual) 데이터를 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프로그래밍 언어 JAVA를 활용하여 핵심 알고리즘을 구현하였으며,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에 대한 프로토타입의 설계를 수행하였다. 또한, 시나리오테스트 방식으로 시스템의 운영타당성 및 추천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함정 분야 방산업체 주요 기술 분포 분석 (The Major Technology Distribution Analysis of Domestic Defense Companies in Naval Ships based on Patent Information Data)

  • 김장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25-637
    • /
    • 2020
  • 함정 무기체계는 작전운용성능(능력)에 따라 국내 기술 수준에 기반하여 설계/건조되며, 일정 기간 운용 후 성능개량 소요 발생에 따른 개조/개장 및 기존함 대비 고도화된 후속함이 요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고 고객이 요구하는 함정 무기체계 기술 수준과 무기체계 연구개발을 통한 국내 기술 수준 향상 및 핵심기술 확보하기 위해 기술 분류/특성이 정형화되어있는 특허 자료 분석을 통해 획득 필요 기술에 대한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위사업법 제35조(방산업체의 지정 등)에 따라 지정된 10개 함정 분야 방산업체의 특허자료를 특허청 특허정보검색서비스를 통해 특허자료(특허수/국제특허분류 14,964건/352개)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함정분야 방산업체 간 사회망 분석을 통해 중심성이 높은 58개 국제특허분류를 추출했다. 추출된 국제특허분류를 기반으로 주성분 분석을 통해 함정 분야 방산업체가 집중하는 주요 기술 분야로 국제특허분류 7개(B63B, H01M, F03D, B01D, H02K, B23K, H01H)를 확인했다. 이어서 자기회귀 결합 이동평균 모형 분석결과, 국제특허분류 3개(B63B, B01D, B23K)는 지속적인 기술획득 활동이 예측했으며, 국제특허분류 4개(H01M, F03D, H02K, H01H)는 기술획득 활동이 낮아짐을 예측했다.

Surve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Ergonomics Field in Korea

  • Park, Jemo;Hwang, Jung Bo;Jung, Hwa Shik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87-499
    • /
    • 2015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ergonomics field in overall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Korea, and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Background: Many ergonomists are trying to pursue optimal human well-being and safety, and create more convenient designs for human use. For these reason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may be used to protect the legitimate rights of originative and innovative ergonomic designs. Metho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ere reviewed by using Korea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ormation Service (KIPRIS), and then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re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atent, utility model, design),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IPC) and ergonomics application areas. Results: The total number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gistered in the ergonomics field in terms of thre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atent, utility model, design) showed 48,814 which occupied 5.97% of the total registered Kore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ithin thre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atent (87%) was recorded overwhelmingly higher than utility model (9%) and design (4%). Conclusion: The current trend of patent, utility model and design in the ergonomics field in Korea tend to increase over time. It is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in this study that continuing research and development should be focused on electricity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 trend.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direct the ergonomists to the area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ergonomics field that should focus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erms of thre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C and ergonomics application areas.

특허 인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국내의료기기 특허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atent Citations: Focused on Korea Medical Device Patents)

  • 윤재웅;이창섭;이석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3-133
    • /
    • 2016
  • 최근 특허기술의 가치평가가 크게 강조되고 있으며, 특허의 피인용횟수는 특허기술 가치평가에 있어 중요한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특허를 대상으로 피인용횟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도출하기 위하여 일반화 선형모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12개의 변수를 형태적, 기술적 그리고 개념적 요인으로 분류하였고, 국내 의료기기 특허 14개의 분야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출원인 국적, 출원인 유형, 발명자 수, 출원국가 수, IPC 수, 참고문헌 수, 서지결합도가 특허 피인용횟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실정에 적용 가능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국내 특허에 대한 인용분석 방법론에 있어서 실질적인 기초적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논문 및 특허 데이터를 활용한 전기자동차 기술 동향 예측 연구 (Electric Vehicle Technology Trends Forecast Research Using the Paper and Patent Data)

  • 구자욱;이종호;정명석;이주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65-17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를 주제로 SCIE 및 SSCI 저널에 게재한 논문데이터를 활용한 시계열 분석과 국제특허분류(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이하 IPC) 별 특허 데이터를 활용한 시계열 분석과 노드엑셀을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2001년에서 2014년까지의 전기자동차의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특허와 논문 데이터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기술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예측기법 중 하나인 가중이동평균법으로 전기자동차의 유망 요소기술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기자동차 요소기술 중 배터리 기술이 유망한 기술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