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ACT

검색결과 35,826건 처리시간 0.053초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청소년의 비공식 낙인이 자아존중감, 불안우울,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mpact of informal labeling on self-respect,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using latent growth model)

  • 박옥자;김혜경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24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of informal labeling self-respect,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over tim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cept and the growth of the variables. Method: 4-year longitudinal panel data(n=2,699),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informal labeling on self-respect,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Through latent growth modeling, temporal change of the variables was examined. Results: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initial status of informal labeling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initial status of self-respect. The slope of informal labeling also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slope of self-respect. In contrast, the initial status of informal labeling did not have an significant impact on the slope of self-respect. Second, the initial status of informal labeling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status of aggression. The slope of informal labeling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slope of aggression. In contrast, the initial status of informal labeling did not have an significant impact on the slope of aggression. Third, the initial status of informal labeling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status of depression/anxiety and a negative impact on the slope of depression/anxiety. The slope of informal labeling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lope of self-respect.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informal labeling on self-respect,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해일표류물의 충돌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응답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Due to Waterborne Debris Impact Loads)

  • 최호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590-59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해일표류선박의 충돌이 해일피난건물로 선정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충돌속도, 선박의 질량 및 선박의 길이를 변수로 한 진자를 이용한 축소 충돌실험을 실시하여, 건축물의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최대 충돌력, 충돌시간, 충돌파형 형상, 반발계수 등에 대한 기본적인 물리량 변동추이를 상세히 평가하였다. 그 결과, 충돌파형 형상은 대부분의 실험결과에서 삼각형 분포가 나타났으나, 충돌실험체의 길이의 증가에 따라 사다리꼴에 가까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건축물의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량 (충돌력 파형의 면적)을 산정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결과이다. 또한 반발계수는 충돌속도의 대소에 관계없이 일정하나, 충돌체의 질량 및 길이에 의해 변화하며, 단위길이당 질량으로 정리하면 반발계수의 변동이 평가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Low-velocity impact performance of the carbon/epoxy plates exposed to the cyclic temperature

  • Fathollah Taheri-Behrooz;Mahdi Torabi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8권3호
    • /
    • pp.305-320
    • /
    • 2023
  •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meric composites are degraded under elevated temperatures due to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the resin and resin fiber interfac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impact response of th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 was investigated at low-velocity impact (LVI) using a drop-weight impact tester machine. All the composite plates were fabricated using a vacuum infusion process with a stacking sequence of [45/0_2/-45/90_2]s, and a thickness of 2.9 mm. A group of the specimens was exposed to an environment with a temperature cycling at the range of -30 ℃ to 65 ℃. In addition, three other groups of the specimens were aged at ambient (28 ℃), -30 ℃, and 65 ℃ for ten days. Then all the conditioned specimens were subjected to LVI at three energy levels of 10, 15, and 20 J. To assess the behavior of the damaged composite plates, the force-time, force-displacement, and energy-time diagrams were analyzed at all temperatures. Finally, radiography, optical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temperature and damages at various impact levels. Based on the results, different energy levels have a similar effect on the LVI behavior of the samples at various temperatures. Delamination, matrix cracking, and fiber failure were the main damage modes. Compared to the samples tested at room temperature, the reduction of temperature to -30 ℃ enhanced the maximum impact force and flexural stiffness while decreasing the absorbed energy and the failure surface area. The temperature increasing to 65 ℃ increased the maximum impact force and flexural stiffness while decreasing the absorbed energy and the failure surface area. Applying 200 thermal cycles at the range of -30 ℃ to 65 ℃ led to the formation of fine cracks in the matrix while decreasing the absorbed energy. The maximum contact force is recorded under cyclic temperature as 5.95, 6.51 and 7.14 kN, under impact energy of 10, 15 and 20 J, respectively. As well as, the minimum contact force belongs to the room temperature condition and is reported as 3.93, 4.94 and 5.71 kN, under impact energy of 10, 15 and 20 J, respectively.

탄소/에폭시 복합재 적층판과 강판의 저속충격 거동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Low-velocity Impact Behavior of Graphite/Epoxy Composite laminate and Steel Plate)

  • 공창덕;김영광;이승현
    • Composites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1-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탄소/에폭시 복합재 적층판과 강철평판의 저속충격 거동에 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평판의 해석을 위한 판의 충격거동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Karas 모델을 사용하여 해석 검증을 하였다. 충격거동 비교연구를 위한 모델은 Karas 모델과 동일한 두께의 강철평판을 모사하였고, 같은 두께의 복합재 적층판을 모사하기 위하여 $[0/90/45/-45/-45/45/90/0]_{8S}$ 적층각을 이용하여 모델링 하였다. 각각의 판에 대한 저속충격 거동을 비교하기 위해 일정한 속도로 낙하하는 충격체 무게별 해석과 일정한 무게를 가진 충격체의 속도변화에 따른 해석 결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복합재 적층판과 강철평판의 물성치로 인하여 접촉하중과 판의 변위에서는 결과값의 차이를 보였으나 복합재 적층판의 경우가 판의 유연한 특성으로 충격완화 효과가 보였으며 강철평판 보다 무게비와 충격손상에 대한 우수성을 확인하여 볼 수 있었다.

The effect of rubber bumper in order to suggest a new equation to calculate damping ratio, subjected building pounding during seismic excitation

  • Khatami, S.M.;Naderpour, H.;Mortezaei, A.R.;Barros, R.C.;Maddah, M.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3권2호
    • /
    • pp.129-138
    • /
    • 2022
  • One of the objectives to prevent building pounding between two adjacentstructures is to considerseparation distance or decrease relative displacement during seismic excitation. Although the majority of building codes around the world have basically suggested some equations or approximately recommended various distances between structuresto avoid pounding hazard, but a lot of reportsin zone of pounding have obviously shown thatsafety situation or economic consideration are not always provided due to the collisions between buildings and the cost of land, respectively. For this purpose, a dynamic MDOF model by having base isolation system is numerically considered and using various earthquake records, relative displacements are mathematically investigated. Different equations to determine the value of damping ratio are collected and the results of evaluations are listed for comparison among them to present a new equation for determination of impact damping ratio. Presented equation is depends significantly on impact velocity before and after impact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which the accuracy of them is investigated and also confirmed. In order to select the optimum equation, hysteresisloop of impact between base of building and rubber bumper is considered and compared with the hysteresis loop of each impact, calculated by different equations. Finally, using representative equation, the effect of thickness, number and stiffness of rubber bumpers are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 that stiffness and number of bumpers have significantly affected in zone of impact force while the thickness of bumpers have not shown significant influence to calculate impact force during earthquake. For instance, increasing the number of bumpers, gap size between structures and also the value of stiffness is caused to decrease impact force between models. The final evaluation demonstrates that bumpers are able to decrease peak lateral displacement of top story during impact.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역이용영향 검토기관의 발전방향 (Improvement of Review System on Sea Area Utilization-Impact by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Law)

  • 이대인;엄기혁;김귀영;장주형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해양관련 환경영향평가와 협의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관련 제도의 개선방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역이용영향 검토기관(이하 검토기관이라 함)의 기능과 역할 및 수행실적을 조사하여 SWOT 분석을 실시하였고, 나아가서 운영상 개선사항과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2007년 검토기관에서 수행한 실적은 총 358건으로, 해역이용협의서가 165건(46.1%)으로 가장 많았고, 환경영향평가서 104건(29.0%), 그리고 사전환경성검토서가 89건(24.9%)이었다. 해역이용협의의 내용별로는 공유수면점 사용, 공유 수면매립과 바다골재채취 관련이 각각 41%, 32%와 21%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시행으로 해역이용개발 행위가 해양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있지만, 사전예기능으로서의 한계와 여러 가지 내용적 그리고 제도상운영상 측면에서 보완하고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검토기관의 전문성, 공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고유 기능과 역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 개선과 운영상 지원이 필요하며, 동시에 자체적으로 적극적인 발전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전문적인 검토기관으로서의 정체성 확보와 위상을 정립시켜야 할 것이다. 연안관리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해역이용협의제도를 지향하고, 주무부처의 해양환경관리에 대한 구동력과 능동성을 강화 확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인라인 디스크 휠의 충격거동 평가 (Evaluation of the Impact Behavior of Inline Disk Wheel Made of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s)

  • 권혜인;이상진;신광복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73-78
    • /
    • 2016
  • 본 연구에서 다루는 탄소섬유 복합재 인라인 휠은 플라스틱 인라인 휠 허브의 기존 재질을 탄소섬유 직물/에폭시 수지로 구성된 디스크 형의 허브로 대체하는 것이다. 지면으로부터의 충격 하중은 탄소섬유 복합재 휠의 충격 성능 평가를 위해 저속 충격 시험이 수행되었고, 기존의 플라스틱 휠의 성능과 비교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시험 조건으로 70 J의 충격 하중을 적용하였다. 충격 에너지는 타격 추의 높이와 무게를 조정하여 조절되었다. 탄소섬유 복합재 디스크 허브의 사용은 무게를 절감하고 실제 운행 조건과 유사한 조건인 낮은 충격에너지에서 우수한 반발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충격 하중에 따라 최대 하중은 비례적으로 증가하지만, 최대 하중의 성장은 20 J 충격 하중에서 감소되었고, 45 J 충격 하중에서부터 감소되는 경향의 결과를 보였다. 탄소섬유 복합재 휠은 5 J, 10 J의 충격 하중에서 전체 충격 에너지의 35.3, 19.1%가 리바운딩 되는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반면에 20 J 이상의 충격하중에 대해서는 얇은 탄소섬유 복합재 허브의 크랙 생성으로 인해 전체 에너지의 5% 이하로 리바운드 되었다.

전과정평가를 이용한 소각시설의 환경영향평가 및 개선방안 (Environmental impact evaluation and improvement measure of incineration plant by life cycle assessment)

  • 김형우;김경호;박흥석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4호
    • /
    • pp.88-100
    • /
    • 2013
  • 본 연구는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의 운영에 대한 직접 및 간접 환경영향을 전과정평가 기법으로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검토한 것이다. 소각시설에서 직접환경영향은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처리공정에서 처리되어 공정을 거치면서 감소하였으나, 시설의 처리운영에 따른 자원과 에너지 사용으로 간접환경영향은 증가하여 직접영향 89.1%, 간접영향이 10.9%로 나타났다. 소각시설의 공정에 따른 환경영향은 소각로-반건식반 응탑-백필터공정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소각로에서는 폐기물이 소각되면서 대기오염물과 소각재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영향범주별 환경영향은 지구온난화-부영양화-자원고갈 순으로 나타났으나 지구온난화가 85%이상의 절대적 환경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각시설에서 소각열을 활용에 의한 회피효과를 검토한 결과, 스팀과 전기로 활용할 경우 각각 45.5%, 19.8%의 환경영향 저감을 얻을 수 있어, 소각로의 입지 선정 시 소각열의 효율적 활용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 분석을 통한 데이터 수요 도출방안 - 수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 (Derivation of Data Demand through Analysis of Agreed Terms and Conditions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Focusing on the Water Environment -)

  • 황진후;김윤지;전성우;최유영;성현찬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1호
    • /
    • pp.29-40
    • /
    • 2023
  •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문제점으로 인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데이터 기반의 환경영향평가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의 수환경 분야(수질, 수리·수문, 해양환경)의 협의 내용 분석을 통해 데이터 수요를 도출하였다. 수환경 분야의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 총 400건(4,180문장)을 평가항목(수질, 수리수문, 해양환경) 및 환경영향평가 단계(현황조사 추가, 영향예측 및 평가, 저감대책 수립, 사후환경영향조사)별로 분류 후 유형화하였고, 해당하는 협의 내용 유형 별 데이터 수요를 연계하였다. 협의 내용 유형화 결과 수질 분야 18개, 수리·수문 분야 14개, 해양환경 분야 17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데이터 수요 연계 결과 수질 분야 254개, 수리·수문 분야 102개, 해양환경 분야 74개의 데이터 수요가 도출되었다. 평가항목으로는 수질 분야, 환경영향평가 단계 상으로는 저감대책 수립 분야에서의 협의 내용 유형 및 데이터 수요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세부 협의 내용 유형으로는 비점오염 저감 대책이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는 항목의 상대적 중요도와, 환경영향평가의 주요 목적과 연계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 분석을 통한 데이터 수요의 도출은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의 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환경영향평가 데이터 체계화를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자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EVA 완충재의 형상변환을 통한 복합구조의 바닥충격음 변이 조사 (Investigation of the level difference of floor impact noises through the shape variation of EVA resilient materials with composite floor structure)

  • 이야긴;이승민;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0-71
    • /
    • 2024
  • 본 연구는 일반적인 평평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 Vinyl Acetate, EVA) 완충재의 형상을 변화시켜 다양한 차음소재와 조합하여 복합구조의 바닥충격음 변화를 조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바닥충격음 저감에 효과적인 완충재를 선정하기 위해 Flat, Deck, Cavity type의 EVA, EPS, PET 흡음재, PP판넬, 고무발판 등 다양한 완충재를 조합하여 뱅머신을 이용한 1차 실험을 진행하였다. 1차 실험 데이터에 대해 통계분석한 결과 완충재 두께가 40 mm에 가까울수록 바닥충격음 저감효과가 증가하였으며 PET 흡음재, PP시트, 고무발판 등을 조합한 복합완충재에서 바닥충격음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따라 2차 실험에서 모든 복합완충재의 두께는 40 mm로 통일하였으며, 1차 실험에 사용된 Flat, Deck, Cavity type 및 EVA를 발판형태로 가공한 Mount type 등 4가지 형태의 복합완충재를 설계하였다. 또한, Mount type을 제외한 3가지 기본 형태에서 각각 PET 흡음재(7 mm)를 추가했을 시 바닥충격음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Mount type의 경우 EVA발판 개수에 따른 바닥충격음 변화에 대해 고무공 충격원을 이용한 2차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든 실험은 공인인증시험기관의 목업실험실에서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본형태의 Flat, Deck, Cavity type에서 PET를 추가할 경우 통계적으로 경량 5 dB ~ 9 dB, 중량 1 dB ~ 5 dB의 저감효과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Mount type의 경우 발판 수가 36개 이상일 때 경량 및 중량충격음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가지 기본형태에 따라 동탄성계수가 높아질수록 바닥충격음의 저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