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 Policy Desig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1초

수요자 중심의 중소기업 ICT 정책수립을 위한 정성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ICT Policy Design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

  • 배영식;장항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7-70
    • /
    • 2013
  • 다양한 중소기업 ICT 지원 사업들은 우리나라 산업전반의 체질 강화와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매우 큰 의의와 성과를 보여 왔다. 그러나 중소기업간 및 지역 간 ICT 격차는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으며, ICT를 통한 양적성과에 비하여 내실화, 체질 개선, 경쟁력 강화 등의 질적 효과 또한 뚜렷한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소기업 ICT 지원 사업에 대한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수요자 측면의 정성적 조사연구(Qualitative Study)를 통해 중소기업의 ICT 전략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새로운 중소기업 ICT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Investigating Employee and Customer Perceptions on ICT Utilization: CRM and Policy Implications

  • YU, Eun Hye;CHO, Yooncheo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3권2호
    • /
    • pp.17-31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ed by the ICT utilization with perspectives of employees (Study 1) and customers (Study 2) that are rarely approached in previous studies.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how proposed factors on ICT utilization affect employee satisfaction, organization performa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ing decision mak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to measure the effects. Cronbach's alpha was applied to test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check valid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were applied to test hypothes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effects of self-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on employe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for study 1, while the effects of product satisfaction, promotional offers, and customer communication on purchase decision making were significant for study 2. Conclusions:This study provides managerial and policy implications. At the management level, it is necessary to make specific strategies to improve employee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associated with the utilization of 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etter policy should be prepared by government to foster utilization of ICT infrastructure and to enhance better relationships with employees and customers.

정보사회와 정보화정책의 분석틀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기술이 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An Alternative Research Framework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d ICT Policy for Development)

  • 서문기
    • 정보화정책
    • /
    • 제23권2호
    • /
    • pp.35-5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와 사회발전의 쟁점을 국제지형에서 살펴보고 대안적 분석틀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이 분야의 정책설계에 관한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보사회에 관한 두 가지 상반된 관점인 주류적 관점과 비판적 관점을 고찰하고, 각국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경제성장, 민주화, 정보화의 객관적 차원을 핵심변수로서 통제한다. 방법론적으로는 회귀분석을 기초로 삶의 질에 관한 정보화효과를 검증하고 사회문화적 차원을 반영한 가치관 지형도를 활용함으로써 비교분석의 잣대를 마련하고자 노력한다. 분석결과는 경제성장 및 민주화의 조건이 동일할 경우 정보화가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ICT에 따른 낙수효과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비판적 관점을 지지하는 것이다. 삶의 질에 작용하는 가치유형으로는 자립수준, 경쟁추구, 정부책임이 중요하며, 정보화와 세 가지 가치의 조합은 전반적으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정보화 및 사회발전에 관한 분석틀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기술, 경제적인 차원을 넘어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계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기초한 정책설계가 중요하다.

빅데이터의 개념적 논의와 데이터 주권에 대한 정책설계 (Big Data Conceptualization and Policy Design on Data Sovereignty)

  • 문혜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11-914
    • /
    • 2013
  • 빅데이터가 이전의 대용량정보와 비교하여 어떠한 개념적인 의미를 지니는지 정책설계과정에 따라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이 시대 이슈가 되는 데이터 주권에 대하여 저작권과 CCL을 사례로 ICT정책의 설계방안을 제시한다. 사례분석의 결과 빅데이터 시대 데이터 주권에 대한 정책은 법, 시장, 기술, 규범 측면에서 균형 있게 설계되어야 하며 기술구조를 기초로 사회문제에 대한 규제구조를 설계하고 정책을 집행해야 한다.

ICT와 인성교육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설계 (Program Develope and Class Design for Convergence ICT and Character Education)

  • 이명숙;장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9-18
    • /
    • 2016
  • 정보통신기술의 경우 인성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 및 노력이 결여되어 있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화 사회에 맞는 ICT 수업에 인성교육을 융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그 성과에 관하여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주제별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개인의 인성이 타인에 대한 인성이나 글로벌 인성에는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타인에 대한 인성이 갖춰지면 글로벌 인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팀별과제와 같이 함께하는 프로그램은 글로벌 리더십 문제해결형 인재를 배출하는데 긍정적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성교육은 단기간에 큰 효과를 보기는 어렵지만 이러한 수업들을 통해 점진적으로 생활 속에서 자신을 존중하고 타인을 배려하며 글로벌 리더십을 키울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창의적 인재로 거듭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후 다른 교과목과 인성 교육 융합에 대한 연구를 향후 과제로 남겨둔다.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 설계모형 탐구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Cross-Cultural Collaborative Online Learning)

  • 박상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1-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첨단 ICT의 활용도를 높이고 국가 간 교육 교류협력 활성화에 기여하는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서 살펴보고, 유형별 수업 설계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 관련 시범사업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은 첨단 ICT를 기반으로 언어적,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학생, 교사, 현장전문가가 상호작용하고 협력함으로써 지식을 탐구하고 구성해가는 구성주의 기반의 교육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유형으로는 원격 화상 수업 중심의 실시간 교류학습과 웹사이트 기반 과제 중심의 비실시간 교류학습이 있었고, 이러한 유형별 특징을 고려한 PPIE(Plan-Preparation-Interaction-Evaluation) 수업 설계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보건복지부 만성질환관리 수가시범사업 평가를 위한 질적연구 : 고혈압, 당뇨환자 초점집단면접을 중심으로 (Qualitative Analysis of ICT based Health Care Management for Chronic Disease Patients)

  • 권유림;김희선;유빛나;김윤수;이민정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5-248
    • /
    • 2018
  • Purpose: This qualitative study examined the participation in ICT-based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one of several studies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i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sed as its guiding methodology. Group interviews with 16 patients were carried out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developed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 with researchers.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 total of 11 sub-themes were extracted through a comparison of the concepts and semantic analysis, and finally, four themes were derived: "Satisfied with systematic management of health care", "Leading in health care", "Understanding the pattern of blood pressure and blood sugar change" and "Adherence to existing health care habit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sed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FGI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ICT-based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ject. Based on this study, a mixed-method design study and an intervention study among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is proposed.

클라우드 서비스의 의료산업 적용을 통한 새로운 융합 비즈니스 모델 (New Convergence Business Models by Applying Cloud Service to Medical Industry)

  • 전한구;김종철;서광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467-472
    • /
    • 2013
  • 최근 ICT와 의료 기술 및 서비스의 융합 강도가 높아지면서 ICT 기반 의료기기 및 장비, 소프트웨어, 서비스 개발 등의 부가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분야 데이터 백업 이슈 등에 대한 시장 환경 분석을 통한 사업 타당성 검토와 클라우드 서비스 비즈니스 거래 유형 분석을 통해 의료 분야의 새로운 융합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고, 향후 고객 확보 및 시장 확대,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사업화 활용 모델의 개발 방향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새로운 융합 비스니스 모델을 설계 할 때 산업의 핵심 역량 강화 전략 및 제휴 연계 전략을 수립하는데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줄 것이다.

수산생물 중 유해물질의 인체 노출 및 위해평가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Human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System for Chemicals in Fish and Fishery Products)

  • 이재원;이승우;최민규;이헌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54-461
    • /
    • 2021
  • Background: Fish and fishery products (FFPs) unintentionally contaminated with various environmental pollutants are major exposure pathways for humans. To protect human health from the consumption of contaminated FFPs,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systematic tool for evaluating exposure and risks. Objectives: To regularly, accurately, and quickly evaluate adverse health outcomes due to FFPs contamination, we developed an automated dietary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system called HERA (the Human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system for chemicals in FFP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verall architecture design and demonstrate the major features of the HERA system. Methods: For the HERA system, the architecture framework consisted of multi-layer stacks from infrastructure to fish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layers. To compile different contamination levels and types of seafood consumption datasets, the data models were designed for the classification codes of FFP items, contaminants, and health-based guidance values (HBGVs). A systematic data pipeline for summarizing exposure factors was constructed through down-scaling and preprocessing the 24-hour dietary recalls raw dataset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AHES). Results: According to the designed data models for the classification codes, we standardized 167 seafood items and 2,741 contaminants. Subsequently, we implemented two major functional workflows: 1) preparation and 2) main process. The HERA system was developed to enable risk assessors to accumulate the concentration databases sustainably and estimate exposure levels for several populations linked to seafood consumption data in KNAHES in a user-friendly manner and in a local PC environment. Conclusions: The HERA system will support policy-makers in making risk management decisions based on a nation-wide risk assessment for FFPs.

항만건설공사 전자설계·준공도서 서비스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Service System for Electronic Design·Completion Documents and Drawings on Port Construction)

  • 정성윤;김남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69-1270
    • /
    • 2012
  • 설계 준공도서는 건설공사를 시공하거나 유지 관리에서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이다. 과거에는 전자설계 준공도서가 단순 보관용으로 사용되어 활용도가 낮았다. 본 연구는 전자설계 준공도서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전자설계 준공도서의 적합성 검사, 시스템 등록 서비스 등의 업무처리 시간을 단축시키실 수 있는 전자설계 준공도서 서비스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를 응용하면 항공, 철도 등 다른 건설분야의 전자설계 준공도서 서비스 시스템 개발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