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CT활용교육

Search Result 49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Development of Tool Based Teaching-Learning Models in ICI Application Education (ICT 활용 교육을 위한 도구별 교수-학습 유형 개발)

  • Kim, So-Yeon;Hong, Myung-Hu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1a
    • /
    • pp.73-78
    • /
    • 2008
  • 제7차 교육과정에 적용되는 ICT 교육은 정보 통신 기술 교육 운영지침에 의해서 모든 교과에서 10% 이상의 수업에 ICT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에서 ICT 활용 교육 내용의 실태는 매우 저조하고 단순한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ICT 활용 교육 내용의 수준이 ICT 교육 운영지침에 제시된 2단계까지의 내용만을 제시함으로써 ICT 소양 교육과 교과 활용 교육 간의 연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CT 운영지침에 의한 ICT 교육과 ICT 확용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ICT 활용 교육을 위한 교과서 실태 분석을 실시하고, ICT 활용 도구별 교수-학습 유형을 제안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예 를 제시하였다.

  • PDF

초등 수학과 $3{\sim}4$학년 ICT활용 교수.학습과정안 연구.개발

  • Kim, Dong-Ho;Kim, Su-Hwan;Han, Jeong-Hy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68-47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들의 ICT활용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 능력 및 ICT활용 교육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ICT활용 교육방법의 도입을 촉진시키며 ICT를 활용하여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 및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수학 교과 3,4학년에 대한 ICT활용 교수 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

  • PDF

Analysis of High School Teachers' ICT literacy and Intention to use (고등학교 교사의 ICT 활용 리터러시와 활용 의도에 관한 분석)

  • Go, Ju Eun;Park, Sung Yo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5 no.4
    • /
    • pp.591-601
    • /
    • 2021
  • This study focuses on the ICT literacy, the perceived value of ICT utilization, and the perceived use of ICT environment a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tivation of ICT using classes, in order to identify how these differences affect intended use of ICT. A total of 3,942 high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wo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verify and check the validities of measurement items for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ith the research question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verify the predictive power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teachers' ICT utilization.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set in the research issu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ded use of ICT,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CT utilization was foun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followed by the perceived value of ICT utilization, the affective domain of ICT literacy, and the psychomotor domain of ICT literacy, the cognitive domain of ICT literacy, and the perceived use of ICT environment.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ICT utilization in school settings,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educational value of ICT utilization and recognize its necessity and importance.

Design of A Project-Based Learning Model Using ICT And System (ICT활용 프로젝트 학습 모형 및 시스템 설계)

  • 박은희;강지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676-678
    • /
    • 2002
  •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 학교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ICT 활용 교수-학습 모형과 과정안을 개발, 적용하고 ICT를 활용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필요성이 있는데도 ICT가 교육헌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고는 보기 어렵다. 기존의 강의와 학습자료를 단순히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형식의 기능적 ICT 활용교육이 어느 정도의 학습 효과를 창출할 것인지 문제는 결국 ICT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을 설계해야 한다는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먼저 ICT 활용 교육에 대하여 고찰한 결과를 학생 중심 학습환경을 제공하는 프로젝트 학습에 적용하여 ICT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학습을 지원해 줄 학습 시스템은 상호작용 기능과 피드백에 중점을 두어 설계하였다

  • PDF

The Actual State and the Existing Problems of ICT Utilization Abilit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초등학교 교사들의 ICT 활용 능력 실태와 문제점 -당진지역을 중심으로-)

  • Ju, Hy-Sun;Goh, Byung-Oh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9 no.4
    • /
    • pp.635-648
    • /
    • 2005
  • It meets 21 century and the society is quickly changing with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the use of the Internet which increases geometrical progression is changing the paradigm of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The school education site which uses a consequently new ICT and change of instructional method became to be inevitable. Uses the most up-to-date medium in the students who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of 21 century will live with the leading actor and it will be able to accommodate information which increases explosively effectively in order, description below hazard only information knowledge education which stands the bay knows application education, compared to further information anger early rising education for the whole life studying social realization more earnestly what than is necessary. In this study, It examined the actual state and a problem point of ICT application ability and ICT application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will reach to lead, the reporter to grope the improvement program of ICT application education it did.

  • PDF

Development of ICT Lesson Plans for 1st and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중등 수학과 1,2학년 ICT활용 교수.학습과정안 개발.연구)

  • Whang, Woo-Hyung;Kim, Min-Kyo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86-494
    • /
    • 2004
  • 본 연구는 ICT를 활용하여 수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을 만드는 과정을 통하여 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ICT활용 교육방법의 도입과 함께 예비 수학 교사들의 ICT활용 능력을 키우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로써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을 학교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단순히 방법적 측면에서의 도구적 교체가 아닌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한 학습과정의 질적 개선을 추구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둔다 수학교육론시간에 학부생을 대상으로 직접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을 만들었으며 중학교 수학 1, 2학년 교과 내용을 211개의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 및 교육과정 분석 교수학습 모형정립 등의 과정을 거쳤으며 내용적 연구와 함께 과정안의 구현을 위한 기술공학적 실습 과정을 병행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nalysis of a Web-Based teaching-learning System through the Application of ICT in Middle School Computer Class (중학교 컴퓨터교과에서 ICT를 활용한 Web 기반 교수-학습시스템의 개발 및 분석)

  • 장성진;장종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848-851
    • /
    • 2003
  • 제17차 교육과정에서는 ICT 활용교육을 기본적인 정보소양 능력을 바탕으로 학습 및 일상 문제해결에 정보통신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학생들의 정보소양을 함양시키도록 함에 따라 이러한 웹기반의 ICT 활용교육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중학교 컴퓨터 교과의 ICT활용교육에 대한 연구는 각종 멀티미디어나 웹기반 교수-학습매체들의 개발을 강조하였으며 실질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컴퓨터교과의 ICT활용교육에 대한 중학교 컴퓨터교과의 실태를 분석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문제해결력 향상에 대한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하고 웹 기반 교수학습매체를 개발하여 학습의 효과와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eachers' Career and ICT Training Experiences Influences the Level of ICT Skill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교사의 경력과 ICT 연수 참여 횟수가 ICT 활용 수준과 빈도에 미치는 영향)

  • Jo, Il-Hyeon;Park, Yun-M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133-140
    • /
    • 2009
  • 지식정보사회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교사 정보화 사업'을 기반으로 초 중 고 학교 현장의 정보화가 활성화되도록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교사의 ICT 활용 능력 향상이나 ICT 교수.학습에의 이용, 교사의 정보화 연수 참여 등의 정보화 사업의 실효성은 크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 정보화 사업과 관련된 현장의 실질적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경력과 ICT 연수 참여 횟수가 교사의 ICT 활용 수준과 ICT 활용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사의 ICT 활용 수준과 ICT 활용 빈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의 ICT 활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ICT 활용 빈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교사 정보화 연수 프로그램 개선점을 제공해 보았다.

  • PDF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Strategies with ICT to $5{\sim}6$ Grade in Elementary Science Subject (초등 과학과 $5{\sim}6$학년 ICT활용 교수.학습과정안 연구.개발)

  • Lee, Dae-Hyeong;Kim, Hong-Ra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78-485
    • /
    • 2004
  • 정보통신기술(ICT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교실에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교실 수업에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국가 주도하고 있는 ICT활용 교육은 교사 중심의 전통적 수업보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ICT활용 능력을 갖추고 이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지적, 경험적 노력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연수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ICT활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을 예비 교원까지 확대하여 이들의 능력을 계발하고 전문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원양성기판의 교육과정에 ICT 활용교육방법의 도입 및 활용을 촉진하고,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및 교육의 질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An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ICT Uses in Higher Education (대학교 정보통신기술 활용 실태 분석)

  • Lee, Jaemu;Kim, Kapsu;Lee, Miwh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1 no.1
    • /
    • pp.151-16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ICT) uses of the faculty members at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ICT in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the use of ICT, including faculty members' abilities to use ICT with respect to gender, age, and previous experiences with computers and to analyze their relevance to instructional method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female faculty members and male faculty members in their sixties and those with less years of teaching career were more likely to need support for using ICT than the others. The direct instructional method and discussion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discu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CT uses. It was also found that faculty members anticipated more difficulties in using ICT in class and needed to work in a collaborative way and learn more effective use of ICT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