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I 색채이미지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색채 분석을 통한 학교도서관 실내 이미지 연구 (A Study of the Interior Image based on the Color Analysis in School Libraries)

  • 지수민;강봉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7-45
    • /
    • 2024
  • 본 연구 목적은 학교급별 학교도서관에 사용된 색채를 분석하고 색채가 주는 형용사 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15개 학교도서관 이미지를 KSCA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채를 추출하여 색상, 명도, 채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추출된 색을 I.R.I 이미지 스케일을 이용하여 형용사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색상은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YR (Yellow Red), N (Neutral), Y (Yellow) 계열 순으로 사용되었으나 중학교에서는 YR (Yellow Red), N (Neutral), R (Red) 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학교도서관에 사용된 색채의 명도는 평균적으로 중명도가 사용되었으며, 채도는 낮은 채도로 이루어져 있었다. 색채의 형용사 이미지는 '점잖은'이라는 형용사가 학교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도출되었다. 학교도서관은 학교급별로 공간구성 색채에 있어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비슷한 색채와 형용사 이미지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색채계획 기초연구 (Basic Research on Color Planning for Enhancing Brand Image)

  • 김수정
    • 감성과학
    • /
    • 제9권1호
    • /
    • pp.63-75
    • /
    • 2006
  • 본 연구는 브랜드 커피의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통일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이루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된 기초연구이다. 소비자에게 비춰진 색채 이미지와 브랜드 자체의 고유 색채전략과의 일치성 측정하기 위해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브랜드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브랜드 선호도와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통일 간의 관계를 밝히려했다. 브랜드 고유의 색채전략에 기초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와 통일성을 가진 웹 색채계획을 통해서 효과적인 색채전략을 수립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브랜드 커피의 색채전략에 관한 연구'를 선행연구로 하여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온 오프라인의 통합색채전략의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하여 구체적 해결과제로 시작된 연구로 웹 사이트 설계 시 색채계획의 차원으로 접근하였다. 색채 이미지의 분석을 위해 사용한 두 가지 기준으로는 색채의 감성적 측면과 색채의 기능적 측면인데 이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I.R.I.의 색이미지 척도와 사또루후지의 색채정보전달의 5가지 요인을 사용했다. 오프라인의 자극물을 인쇄물로만 제한했던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는 방법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전반적인 색채 이미지 조사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웹 사이트 색채 계획 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려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브랜드 고유의 색채전략 을 기초로 한 온 오프라인의 색채 이미지 통일을 이루며 이를 통한 총체적인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본 연구가 기여되길 기대한다.

  • PDF

영화 <박쥐>, <마더>의 색채 이미지 연구 - 의상과 배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lor Images of the Films "Thirst" and "Mother" - With a Focus on Costumes and Background -)

  • 양정희;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5호
    • /
    • pp.144-160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lors of the costumes and backgrounds of characters in the films "Thirst" and "Mother"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As a study method, ten scenes per film, which contained the characters and backgrounds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DVDs of "Thirst" and "Mother" were examined. For integrated color analysis of the costumes and backgrounds, the colors of the captured scenes were simplified to extract representative colors, and then color palette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ratio of area. The colors of costumes were analyzed by recognition through the eyes based on the I.R.I. Hue and Tone 120. Furthermore, the color images of the two films were analyzed using the I.R.I. adjective image scales and the I.R.I. color image scales. The colors of the film "Thirst" were generally low in brightness and high in chroma. They are characterized by dark, gloomy toned-down background in the first half, highly chromatic vivid background in the second half, and the contrast of purple blue colors and red colors. The colors of the film "Mother" are characterized by complementary colors between background and costume colors, and various tones of blue and green colors. From the aspect of color tones, they were relatively high in brightness compared to the film "Thirst" but low in chroma. On the I.R.I. adjective image scale, contrasting adjectives were extracted simultaneously from the film "Thirst" as the adjectives were evenly distributed at hard, dynamic and static, whereas the adjectives extracted from the film "Mother" were distributed at hard and statistic. On the I.R.I. color image scale, both films were located at hard, but the film "Thirst" was located at dynamic whereas the film "Mother" was located at static.

중국 민속(民俗)마을의 전통(傳統)색채 분석에 관한 연구 - 북경(北京)시 문두구(門頭溝)구 천저하마을(爨底下村)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 Color Analysis of Chinese Historic Village - Focus on Cuandixia Village of Mentougou District in Beijing -)

  • 마원;임진강;김동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2-128
    • /
    • 2015
  • 본 연구는 전통민속마을에 대한 정체성을 고찰하고자 중국 천저하 민속마을을 대상으로 전통 민속마을의 색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한국표준색분석(KSCA: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채를 분석하고 'I.R.I 형용사 Image Scale'을 통해 색채이미지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 첫째, 천저하마을의 색상 분포는 YR, R, Y, GY 계열의 순으로 나타났고, G계열과 BG계열, B계열은 전혀 나타나지 않은 반면 YR계열의 색상이 많은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둘째, 명도와 채도에 있어서는 전체가 중명도와 저채도에 해당하는 색채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상업고택에서만 고채도가 추출되었고 나머지는 모두 저채도 위주의 중 저채도의 색채로 이루어져 있었다. 셋째, KS계통색(KS Color System)의 분석 결과 대부분 어두운 색이 도출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어두운 적회색과 갈회색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마을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정적이고 딱딱한 분위기이고 점잖은 이미지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통마을의 보전 관리에 있어 추출 된 색채 팔레트를 참고하여 국가와 지역적 특색이 반영된 색채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더불어 해당 마을의 문화가 반영된 색채는 보전하고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한 색채계획을 적용한다면 민속마을의 정체성 있는 색채 연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체험형 요트 실내공간의 색채분석 : 40ft급 요트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Interior Color of Experience Yachts : Focused on 40ft Yachts)

  • 조정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25-130
    • /
    • 2020
  • 한국 해양산업은 소득수준이 증가하면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국내 요트시장은 꾸준한 시장수요를 창출하고 있어, 레저를 즐기려고 하는 이용자에게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그 중에서 체험형 요트는 부산시 수영만을 중심으로 원활히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험형 요트 이용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내구조 못지않게 색채를 중심으로 하는 분석을 시행했다. 짧은 시간 특정한 공간에 머무를 때 경험하게 되는 색채는 사용자의 만족도 및 감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흔히, 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물리적인 분배에 포커스가 맞춰진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색채는 시신경을 통해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는 만큼, 짧은 경험에도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요트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적절한 형용사를 도출하고, 이를 I.R.I 단색과 이미지 스케일의 방법으로 분석한 후 결과를 도출했다. 이후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체험형 요트의 제작이나 수리, 보수 등을 진행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자료로 본 연구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통합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 과정에서부터 색채 전략 과정 도출까지에 관한 연구 -식품회사 '행복한 사과'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ocess from Total Brand Identity to Color Strategy Method -Food Corporation 'happy apple' Case Study)

  • 조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4호
    • /
    • pp.77-82
    • /
    • 2017
  • 본 논문의 첫 번째 목적은 전체 브랜드를 위해 디자인 분석 프레임과 컬러 플랜 전략과정에 대한 설계이다. 전체 brand 의미 및 색상의 분석 프레임을 위해 I.R.I 시스템과 기호론적 관점에 근거하여 다양한 분석을 행하였다. 주요 연구는 브랜드 환경에 적용하여 분석 틀의 타당성을 입증한 것이다. SWOT 분석으로 컬러 프레임을 기반으로 설계 통합에서 분석의 일관성을 유지하였으며, 컬러 전략 계획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행하였다. 이를 통해, 총 브랜드 전략과 컬러 디자인의 요구 및 분석 프로세스에 대한 역할을 모색하였으며, 그 결과로 상업적인 성공의 유형을 개념화하여 브랜드와 색채의 시각화를 확립하였다. 결론적으로, 총 브랜드의 디자인 처리 분석과 적용을 통한 상용화, 시각화 및 표현을 통해 전체 브랜드의 이미지 분석 결과를 소개하고 색상 디자인 계획을 최적화 하는 과정까지의 연구를 하였다.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공간별 감성색채배색 이미지에 따른 청소년의 뇌파분석 (An Analysis of Youth EEG based on the Emotional Color Scheme Images by Different Space of Community Facilities)

  • 황연숙;김선영;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171-178
    • /
    • 2013
  • In this study, we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 of different emotional interior image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in an apartment complex on a youth brain wave by analyzing an Electroencephalograph (EEG). Based on the frequency of usage, we selected learning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and sport facilities. For brain stimulation, the visual stimulants with three different emotional words, cheerful, gentle, and elegant, were used based on I.R.I image scale. Overall, total nine different emotional images were used. Based on our findings, we conclude that: first,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concentration of the youth, a learning facility for the youth needs to be designed by skillfully combining the soft and comfortable colors from the gentle image and the murky and dark colors from the elegant image. Second, when designing a cultural facility, it is preferable to consider the elegant image for a calm and comfortable space. Third, a sport facility design needs to preclude dark colors and apply light colors to create a dynamic and lively space. Furthermore, we found out that the youth has established static images of each functionally different facility through their experience and learning.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plan community facilities in an apartment complex in a way to connect the space function with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in order to support and encourage energetic activities and learning of the community youth.

포장의 시각적 요소가 소비자의 미각 이미지 판단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캔 맥주 포장의 색채와 패턴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Packaging Visual Elements on the Consumers' Taste Image Judgment - Take the colors and patterns of canned beer as an Example -)

  • 유원;오용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449-1460
    • /
    • 2021
  • The visual design elements of packaging play an vital role in attracting consumers' attention, forming their sense of pleasure and sensory expectations, as well as having an important impact on the actual product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the colors and textures in the packaging design elements of canned beer will affect consumers' senses, judgments and taste perception of canned beer. Participants in Survey I (N=193) evaluated their expectations for beer freshness, softness, bitterness and alcohol content by observing the packaging of canned beer, then recorded whether they could get the expected experience when tasting beer, and evaluated thei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Survey II, 4 kind of colors and 2 types of texture shapes were applied, and all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the same beer for multivariate cross contract analysis to evaluate the specific impact of color and texture of packaging design elements on consumers' tast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ensory judgment and taste perception.The results showed that both colors and textures had a significant affect on the sensory expectation (pre-tasting score) of canned beer, but their effects on the sensory score after tasting (actual perception)were inobvious.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color, texture and shape on taste perception shows that when the expected packaging appearance perception is similar to the actual drinking perception (i.e., straight line and B/G or arc line and Y/R), it is more likely to obtain consumers' favor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 evaluation than the inconsistent canned beer packaging (i.e., straight line and Y/R and arc line and B/G). This paper discusses the influence of these results on the packaging design of canned beer an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brand efficiency by meeting the visual elements of packaging design expected by consumers.

조선후기 박쥐상징 회화와 공예품의 분석-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Analysis by Bat Symbol of Paintings and Crafts in late-Joseon Period: Focused on museum collections)

  • 엄소연
    • 고문화
    • /
    • 69호
    • /
    • pp.41-62
    • /
    • 2007
  • 본고는 박물관 소장 조선후기 박쥐상징 회화와 공예품의 특징적 경향에 따른 잠재적 활용 및 재인식을 배경으로, 박쥐상징 공예품의 원천적 의미를 조선시대의 박쥐관념과, 이와 연관된 박쥐상징 회화의 의미체계에 두고, 그 외연과 내포적 함의관계를 조형.숫자.색채상징의 특성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박쥐상징 공예품은 소장연원이 분명한 박물관 소장품을 분류, 주생활 공예품으로 한정하였고 궁수용.민수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았다. 조선시대의 박쥐관념은 박쥐의 형태적.생태적.어원적 속성을 기반으로 긍정적.중간적.부정적 측면이 공존하였다. 또한 박쥐상징 회화는 그 예가 드물었으나, 대개 박쥐의 형태적.생태적 속성에 대한 긍정적 관념을 바탕으로 한 도교의 의미체계와 결부, 신선.장생.천신의 수호자.장수의 축원을 의미하였다. 한편 궁수용 주생활 공예품의 박쥐상징은 회화의 의미체계와 연관된 장수의 상징물로, 왕실의 만대장수 및 번영을 축원하였다. 이러한 상징의미는 청나라 황실의 길상풍속인 오복관념의 동음이자에 의거, 숫자상징 '5'.'4' 와 '수자변형문' 의 결합을 기본으로 한 '박쥐[蝙蝠]$\rArr(蝙)蝠$\rArr$$\rArr$五福' 와, 숫자상징 '1'을 특성으로 蝠倒$\rArr$福到$\rArr$福運의 도래' 를 함의하였으나, 보다 장수 상징에 치중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에 비해서 민수용 주생활 공예품은 대부분 여성용 가구류의 금구장식과 지공예품에 등장하였다. 금구장식의 박쥐상징은 백색-은색의 색채상징과 숫자상징 '1' 의 '비행형' 을 특성으로 길상적 오복관념과 벽사적 '지킴이'를 의미하였다. 또한 지공예품의 박쥐상징은 박쥐 1쌍의 숫자상징 '2'와 삼태극의 결합형식을 기본으로, 오색의 색채상징 특성을 통해서 '쌍복' 과 여성들의 현세적 염원인 화목, 다남자의 기본적 측면을 투영하였다. 이러한 민수용 주생활용품의 박쥐상징은 도교적 의미체계나 길상적 동음이자보다는 외연의 시각적 이미지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박쥐$\iff$복.지킴이' 로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