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hidrosis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5초

수장부 다한증에서 제 2번 및 제 2,3번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술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T2 and T2.3 Thoracic Sympathetic Block in Palmar Hyperhidrosis)

  • 성숙환;조광리;김영태;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999-1003
    • /
    • 1998
  • 연구배경 : 수장부 다한증에 대한 흉강경 교감신경절차단술은 즉각적으로 증상을 호전시키고 회복시킨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수장부 다한증에서의 차단해야할 교감신경절의 위치는 다소 모호한 것이 사실이었다 재료 및 방법 : 제 2 및 2.3 흉부 교감신경절차단의 효과를 비교하기위하여 본 서울대학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94년 4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제 2흉부교감신경절차단술 혹은 제2.3 흉부교감신경절차단술을 시행받은 192명의 일차성 수장부 다한증환자를 대상으로 역향성 연구를 시행하였다. 두 그룹간의 결과를 비교하기위하여 환자의 술전,후 의무기록 및 외래관찰소견을 참조하였으며 전화질의를 통하여 두 군간의 술후 증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두 군간의 성비및 연령에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1997년 4월이전에는 교감신경절제술(sympathectomy)을 시행하였으나 이후로는 교감신경절차단술(sympathicotomy)을 시행하고 있다. 결과 : 술후 모든환자에서 증상의 즉각적인 완화를 보였다. 평균 수술시간은 제 2 흉부 교감신경절차단군에서 61.3$\pm$22.5분으로 제2.3 교감신경절차단군의 82.7$\pm$24.8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p<0.01). 술후 호너증후군과 흉관삽관술과 같은 초기합병증의 빈도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상성 체간다한증, 식사시 발한, 환다한증과 같은 후기 합병증의 빈도에서도 두 군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재발한 례는 제 2, 및 2.3 흉부 교감신경절차단군 모두에서 한 명도 없었다. 보상성 다한증의 위치는 두 군간의 차이를 보여 제 2 흉부 교감신경절차단군에서는 무릎위에서 겨드랑이 까지 발한의 증가를 보였으나 제 2.3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군에서는 무릎위에서 유두부위까지 발한의 증가를 보이는 소견을 보였다. 결론 : 결론적으로 일차성 수장부 다한증에서는 제 2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술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있다고 하겠다.

  • PDF

수장부 다한증에서의 제3번 늑골 위 교감 신경(R3) 차단술의 중기 결과 (Intermediate Term Follow Up for R3 Sympathicotomy in Palmar Hyperhidrosis)

  • 손국희;김광호;백완기;김정택;김현태;김영삼;윤용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530-535
    • /
    • 2004
  • 배경: 수부 다한증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하는 제3번 늑골 위 교감신경 차단술의 경우 다한증 치료 효과는 교감신경 절제술과 유사하면서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이 교감신경절제술보다 적다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있으나 대부분 단기 결과이며 중기 추적 결과가 발표되어 있지 않아 제3번 늑골 위 교감신경 차단술의 중기 추적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하대학병원 흉부외과에서 99년 4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제3번 늑골 위 교감신경 차단술을 시행한 환자 94명 중 설문조사가 가능했던 76명(남자 38명, 여자 38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을 시행하여 평균 25$\pm$9.1개월 간(15∼50개월)의 중기 결과를 추적하였다. 교감신경은 3번째 늑골 상방에서 절단하였다. 환자들의 만족도를 알기 위하여 linear analogue scale을 사용하였다 (100: 가장 만족함). 결과: 수술 후 만족도에 관한 질문에서 100점 만점 기준일 때 수술 직후 만족도가 92.36$\pm$9.93 인데 비해 수술 후 15개월에는 7l.80$\pm$20.24로 만족도가 감소하였으며(p<0.001) 이러한 만족도 감소의 이유는 보상성 다한증과 증상 재발 때문이었다. 땀나는 정도도 수술 직후 중앙값 0에서 15개월 후 중앙값 1.5로 증가하였다. 보상성 다한증의 경우 수술 직후 중앙값 1에서 수술 15개월 후 5로 증가하였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로 제3번 늑골 위 교감 신경 차단술의 경우 수술 직후에는 훌륭한 치료 효과를 보이나 수술 15개월 후에는 치료효과가 점차 감소한다. 불만족의 가장 흔한 이유는 보상성 다한증과 다한증의 재발이다.

다한증환자에서 수술 방법에 따른 보상성 다한증의 비교 (According to Extent of Sympathectomy, Compensatory Hyperhidrosis in Essential Hyperhidrosis)

  • 이두연;윤용한;김해균;강정신;이교준;신화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75-180
    • /
    • 1999
  • 배경: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에서 1992년 다한증환자에서 흉곽내시경을 이용한 교감신경절제술을 시행한이래로 교감신경절제술은 원발성 다한증환자에서 간편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수술직후의 만족도는 94∼98%로 보고되는 반면 6개월이 지난 장기 추적조사에서의 만족도는 약 66%로 보고되고 있고 만족도가 떨어지는 원인으로 보상성다한증에 의한 일상생활의 불편이 가장큰 요인이다. 대상 및 방법: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 흉부외과에서 1992년부터 1998년 까지 783례의 다한증 수술환자중 T2 교감신경절단술 환자 89명(1군), T2 교감신경절제술 88명(2군), T2-4 교감신경절제술 138명(3군)을 대상으로 각각의 수술방법에 따라 보상상다한증의 발생 빈도와 정도을 비교하였다. 보상성다한증의 정도를 1, 없다(Absence); 2, 약간있다(Mild); 3, 눈으로 보일정도이나 생활에 지장이 없다(Embarrassing); 4, 생활에 불편할정도로 많으며 하루에 2-3번내의를 갈아입는다(Disabling)로 구분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증상이 소실되었으며 전체적인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율은 1군이 64%, 2군이 73.8%, 3군이 87.8%였으며 Embarrassing 과 Disabling 의 경우 1군 15.7%, 2군 32.2%, 3군 58.0% 로 수술방법에 따른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과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 이와 같은 결과로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과 정도는 교감신경절제의 범위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보상성 다한증을 줄이고 장기 추적조사에서의 만족도를 증가 시키기 위해서는 T2 교감신경절제술 보다는 T2 교감신경절단술이 종 더 유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PDF

수장부(手掌部) 다한증(多汗症)의 치험(治驗) 3례(例)에 대한 증례보고 (Case Report of Palmar Hyperhidrosis)

  • 김대중;김성남;최성용;김경식;조은희;조남근;김홍훈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251-257
    • /
    • 2005
  • Objectives : This is a clinical report about palmar hyperhidrosis patients. Palmar hyperhidrosis, excessive sweating of the hands, can be caused by emotional tension or anxiety rather than exercise or high temperature. Methods : The patient was treated by only needle acupuncture treatment or needle acupuncture and Oriental medicine treatment together. Results : As using these treatments, all patients decreased in sweating of hands notably. And further, all patients had no side effects.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Oriental medicine treatment have an useful effect on palmar hyperhidrosis patient's treatment and recovery.

  • PDF

보양환오탕가감방으로 호전된 경추 손상 유래 편측성 다한증 1례 (Improvement of unilateral hyperhidrosis in spinal cord injury following treatment with revised Boyanghwano-tang: a case report)

  • 오지석;양수영;이진우;오영선;이용구;박양춘
    • 혜화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5-89
    • /
    • 2011
  • Hyperhidrosis is common complication of spinal cord injury, but localized unilateral hyperhidrosis is relatively rare disorder without autonomic disreflexia. A 52-year-old man with a 10-month history of cervical injury induced tetraplegia complained of excessive intermittent left-sided sweating. The sweating occurred by urinary retention or without any autonomic dysreflexia. The patient sweated excessively on the left face and upper body. In the point of Differentiation of Syndrom (辨證),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Gi-Heo-Hyeol-Eo (Pi-Wei-Qi-Xu 氣虛血瘀) and was administered revised Boyanghwano-tang (reserved Bu-Yang-Huan-Wu-tang), and he was almost complaint free during 4 month about none dysreflexial hyperhidrosis.

수장 다한증 환자에서 성상신경절 차단의 효과 (The Effect of the Stellate Ganglion Block on Palmar Hyperhidrosis)

  • 이성연;이효근;정소영;이희전;서영선;김찬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8권1호
    • /
    • pp.78-81
    • /
    • 1995
  • We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stellate ganglion block(SGB) on the palmar hyperhidrosis. Ten patients of the palmar hyperhidrosis were taken right and left SGBs, 15 times on each side, total of 30 times, with 1% mepivacaine HCl 5 ml, with no discrimination on sex and age. Although there was a little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perspirations on 2 patients after the 15th block, no difference was noted after the overall 30th block at them. None of all 10 patients was satisfied symptomatically and no evidence of decreasing perspiration was found. Conclusively it seems that SGB with 1% mepivacaine HCl 5 ml is not an adequate therapy on the palmar hyperhidrosis even though it diminishes perspiration transiently.

  • PDF

자기 공명분석기에 의한 특발성 다한증의 치험 (Experience with the Application of Magnetic Resonance Diagnostic $Analyser^{(R)}$ -A case of idiopathic hyperhidrosis-)

  • 김진수;김진호;김일호;박욱;김성열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6권2호
    • /
    • pp.280-283
    • /
    • 1993
  • Idiopathic hyperhidrosis is a physically and emotionally distressing symptom, which lacks a precise definition. Although operative and nonoperative methods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idiopathic hyperhidrosis, limitations, cautions and complications are inherent in their extended use.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describe the theraputetic effects of magnetic resonance for managing idiopathic hyperhidrosis. A 28 years old woman had been suffering from profuse sweating on both planter and palmar sides for 15 years. We successfully treated this symptom with the 6 magnetic resonance treatments without any complications. Now she lives well in a condition of normal sweating after the applications. It suggest that short daily periods of exposure to appropriate magnetic resonance can beneficially modulate the balanc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that are responsible for sympathetic overflow, and that there is an effective window of induced electrical magnetism in which sympathetic function can be controlled in the absence of side effects.

  • PDF

양심탕가미방(養心湯加味方)으로 호전된 수장족저(手掌足底) 다한증(多汗症) 환자 4례 보고 (The Effect of Yangshimtang-Gamibang on 4 Cases of Hyperhidrosis of the Palms and Soles)

  • 김창훈;노석선;연경진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5-141
    • /
    • 2005
  • Hyperhidrosis of the palms and soles is a disorder characterized by excessive sweating that occurs in the hands and feet and that cause severe psychological, social and/or professional disability. The pathophysiological cause is still unknown but the condition is related to over-activity in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We experienced four young patients with hyperhidrosis of the palms and soles that was thought to be initiated by emotional distress, nervousness, stressful situation and anxiety. In the point of Differentiation of Syndrome, this subject was diagnosed as consumptive fever of the Heart and a weakness of the Spleen and damp heat, and was administrated with Yangshimtang-Gamibang. After treatment of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hyperhidrosis and other symptoms of patients were improved.

  • PDF

한약 치료로 호전된 소아 다한증에 대한 증례 2례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Hyperhidrosis in Two Children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 최봄;최준용;장수비;천진홍;김기봉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3-69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wo cases of hyperhidrosi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two children with hyperhidrosis who visited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One patient was treated with Okbyungpoong-tang gagam and the other with Daeshiho-tang.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s for symptom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characteristics, symptoms, and progression of treatment of each patient were evaluated and compared. Results After treatment, the patients showed a remarkable improvement in their main symptoms, and their constipation was relieved. Conclusion This case study showed that hyperhidrosis in two children improved significantly with herbal medicine. Furthermore, herbal medicin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ccompanying symptoms, including constipation.

백호탕가미방으로 치료한 수족다한증 치험 3례 (The Effect of Bakhotang-gamibang on 3 Cases of Hyperhidrosis of the Palms and Soles)

  • 이현우;홍승욱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56-262
    • /
    • 2006
  • Hyperhidrosis of the palms and soles, regardless of race or sex, often occurs in the childhood or adolescence. Generally this symptom, whose definite cause is not known, worsens in the emotional state of anxiety and nervousness. Although this symptom is likely to interfere with one's daily life including career activities and to give a sense of mental oppression, no treatment is yet to bring a successful result. Amid the hyperhidrosis of the palms and soles patients, we applied 'bakhotang-gamibang' and acupuncture treatment to the three patients who has heat in the stomach. We hereby inform results of the improvement in the symptom of those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