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chlorofluorocarbon (HCFC)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터보냉동기의 HCFC-123 누출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HCFC-123 Leak in Turbo Chiller by using CFD)

  • 서회경;송세욱;황양인;하현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85-90
    • /
    • 2014
  • 대용량의 공기조화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터보냉동기는 냉매로 HCFC-123 가스를 주로 사용하며, HCFC-123은 CFC계 프레온의 대체 냉매제로 독성은 낮으나 환기가 원활하지 않는 밀폐공간이나 작업공간에서 산소결핍으로 인한 질식재해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대형할인마트 기계실 내부 터보냉동기 냉매 누출로 인해 작업자 4명이 질식 등의 사유로 사망한 재해 사례를 대상으로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HCFC-123 누출에 따른 산소농도를 예측함으로써 프레온 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원인을 조사하고 대응책을 제시하여 동종 재해의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수소불화탄소 및 수소염화불화탄소 냉매(R-134a, R-227ea, R-236fa, R-141b)를 이용한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에 관한 계산화학적 해석 (Computational Chemistry Study on Gas Hydrate Formation Using HFC & HCFC Refrigerants (R-134a, R-227ea, R-236fa, R-141b))

  • 김경민;안혜영;임준혁;이제근;원용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5호
    • /
    • pp.704-710
    • /
    • 2017
  •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원리를 이용한 해수담수화는 이미 상용화된 역삼투 방식에 비하여 아직 실증화 단계이지만 그 공정이 비교적 단순하고 특히 냉매를 객체가스로 사용할 경우 아주 낮은 공정 온도가 필요하지 않아 에너지 소비량(thermal budget)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소불화탄소(HFC, hydrofluorocarbon) 및 수소염화불화탄소(HCFC, hydrochlorofluorocarbon) 계열의 냉매들을 객체가스로 한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 거동을 에너지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밀도 범함수(DFT, density functional method) 이론을 기반으로 한 분자모델링을 도입하였다. 객체가스(guest gas)로 R-134a, R-227ea, R-236fa, R-141b를 선정하였으며 계산을 위하여 물 분자로 이루어진 $5^{12}$, $5^{12}6^2$, $5^{12}6^4$의 세가지 구조의 동공들(cavities)을 구성하였다. 동공, 객체가스, 그리고 객체가스가 삽입된 동공의 구조를 분자모델링을 이용하여 각각 최적화하였고 계산된 각 구조의 에너지로부터 동공과 객체가스의 결합에너지(binding energy)를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결합에너지를 비교함으로써 어느 냉매가 가장 유리한 조건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할 지를 판단하였다. 결과적으로 R-236fa가 가장 자발적(spontaneous)으로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사람에 대한 낮은 독성과 물에 대한 작은 용해도 측면에서도 가장 적절한 선택으로 평가되었다.

대체냉매를 사용한 로타리 압축기의 마모시험 (Wear Test for Rotary Compressor using Alternative Refrigerants)

  • 좌성훈;백충국;장선태;오상경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 /
    • pp.28-37
    • /
    • 1995
  • To protect the ozone layer depeletion the CFC (chlorofluorocarbon). HCFC(hydrochlorofluorocarbon) refrigerants will be replaced with HFCs (hydro-fluorocarbon) as an alternative refrigerant. In recent years a good deal of effort has been made to develop new compressors which are compatible to the new referigent. This paper focused on developing accelerated screening test for predicting trib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tary compressor in atmosphere of R407C as an alternative refrigerant with polyolester lubricant. Falex wear test machine with high pressure chamber has been used to simulate friction and wear behavior of the common contact geometries found in rotary compressors.

  • PDF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과 Cell Morphology에 대한 촉매와 발포제의 영향 (Effects of Catalysts and Blowing Agents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ell Morphology of Polyurethane Foams)

  • 권현;이수헌;김상범;방문수;김연철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379-384
    • /
    • 2005
  • Polymeric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PMDI), 여러 관능기와 OH 값을 가지는 7종의 폴리올, 실리콘 계면활성제, 두 종류의 촉매 그리고 세 종류의 발포제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폼(PUF)을 제조하였다. 발포제로는 염화불화탄소(CFC-11), 염화불화탄화수소(HCFC-141b)와 불화탄화수소(HFC-365mfc)가 이용되었다. HCFC-141b를 사용한 PUF의 기초특성과 cell 구조에 대한 겔화촉매와 blowing 촉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Cell 크기는 촉매의 양에 따라 감소하였다. 겔화촉매의 경우에 밀도 변화는 거의 없지만 압축강도는 촉매양이 0에서 2 pph로 증가함에 따라 11.9에서 $12.66kg_f/cm^2$로 증가하였다. 3 종의 발포제를 이용한 PUF의 겔화시간, 밀도와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물리적 특성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다른 두 종류의 발포계와 비교했을 때 HCFC-141b를 사용한 PUF의 cell 구조는 불균일함을 알 수 있었다.

냉매 R717과 R22를 작동유체로 이용한 냉동장치의 성능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 Refrigeration System using R717 and R22 as working fluid)

  • 김진현;김재근;김종길;김양현;홍석주;하옥남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95-500
    • /
    • 2006
  • Nowadays HCFCs refrigerant are restricted because it cause depletion of ozone layer. However, natural gases such as ammonia as an organic compound, propane and propylene as hydrocarbon are easy and cheap to obtain as well as environmental. Accordingly, this experiment apply the $NH_3$ and R22 to study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 from the superheat control and compare the energy efficiency of two refrigerants from the high performance. The condensing pressure of refrigeration system is increased from 15bar to 16bar and degree of superheat is increased from 0 to $10^{\circ}C$ at each condensing pressure. As the result of experiment, when comparing the each COP, we knew the $NH_3$ is suitable as the alternative refrigerant of the R22.

  • PDF

수평평활 세관 내에서의 R-290, R-600a, R-22의 응축열전달과 압력강하 특성 (Condensa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Pressure Drop of R-290, R-600a, and R-22 in Horizontal Smooth Pipes with a Small Diameter)

  • 노건상;손창효
    • 청정기술
    • /
    • 제14권1호
    • /
    • pp.53-6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내경이 각각 5.80 mm와 10.07 mm인 두 개의 수평 이중관열교환기 내에서의 탄화수소계 냉매의 응축열전달과 압력강하에 대한 실험을 $35.5{\sim}210.4\;kg/m^2\;s$의 질량유속과 응축온도인 $40^{\circ}C$에서 수행하였다. 탄화수소계 냉매 R-290과 R-600a의 응축열전달계수가 프레온계 냉매인 R-22보다 높았다. 응축압력강하는 R-600a > R-290 > R-22 순으로 나타났고, 내경이 5.8 mm인 관 내 보다 10.07 mm인 관 내의 압력강하가 R-600a에서는 $6{\sim}15%$ 정도 높았으며, R-290과 R-22에서는 각각 $9.8{\sim}12.5%$$2.1{\sim}4.6%$ 정도 높게 나타났다. 실험으로 구한 응축열전달계수와 종래의 상관관계식을 비교해 본 결과, 모든 관경에 대해 Haraguchi 등의 상관관계식과 가장 좋은 일치를 보였다.

  • PDF

$NH_3$와 R22를 사용한 냉동장치의 성능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 Refrigeration System using $NH_3$ and R22)

  • 하옥남;이규태;하경수;정송태;김진현;홍성인;윤갑식;김양현;권일욱;이종일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377-383
    • /
    • 2006
  • Recently, production and use of Freon substances are restrained due to destruction of ozone layer and grobal warming. In this aspect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best solution is to use the natural refrigerant such as ammonia. Thus, this study apply the $NH_3$ and R22 to study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 from the superheat control and compare the energy efficiency of two refrigerants from the high performance. The condensing pressure of refrigeration system is increased from 1,500 kPa to 1,600 kPa and degree of superheat is increased from 0 to $10^{\circ}C$ at each condensing pressure. As the result of experiment, when comparing the each COP, we knew the $NH_3$ is suitable as the alternative refrigerant of the R22.

CFC 대체 산업세정제로의 HFEs의 적용가능성 연구 (A Study on Applicability of Hydrofluoroethers as CFC-Alternative Cleaning Agents)

  • 민혜진;신진호;배재흠;김홍곤;이현주
    • 청정기술
    • /
    • 제14권3호
    • /
    • pp.184-192
    • /
    • 2008
  • 불소계 화합물인 삼불화에탄올(2,2,2-trifluoroethanol, TFEA)와 수소화불화에테르(hydrofluoroether, HFE)는 성층권의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으며, 수소화불화탄소(hydrofluorocarbon, HFC) 및 수소화염화불화 탄소(hydrochlorofluorocarbon, HCFC)계 세정제에 비하여 지구온난화 영향력도 낮다. 특히, 인화점이 없는 HFE계 세정제는 낮은 인화점을 갖는 탄화수소계 세정제보다 취급에 안전하고 침투력이 우수하여 차세대 염화불화탄소(chlorofluorocarbon, CFC) 대체세정제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소계 세정제인 TFEL HFE-7100, HFE-7200, HFE-476mec, HFE-449mec-f, AE-3000, AE-3100E와 실리콘계 세정제인 트리플 루로에톡시트리메틸실란(trifluoroetoxytrimethylsilane, TFES)와 헥사메틸디실라잔 (hexamethyldisilazane, HMDS)의 물성과 세정력을 오존파괴 물질인 CFC-113, 삼염화에탄(1,1,1-trichloroethane)와 유해물질인 이염화탄소(methylene chloride, MC) 등의 염소계 세정제, 그리고 현재 대체세정제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등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TFEA와 HFEs는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오염물질들에 대하여 염소계 세정제에 비하여 낮은 세정능력을 보여주었지만, 불소를 함유한 불소계 오염물의 제거에는 우수한 세정력을 보였다. 그리고 실리콘계 세정제인 TFES와 HMDS도 실리콘계 오염물에 대한 세정력이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