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brid App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User Matching System for Activating Sports Tourism Based on Hybrid App

  • Kim, Se-won;Moon, Seok-Jae;Ryua, Gi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241-246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user matching app based on hybrid app and a utilization plan to promote sports tourism in line with the growing trend of sports industry scale. The proposed app categorizes sports facilities across the country into regional, sports, private and public sports facilities to support reservations and matching. The proposed app applied a matching system in which matching scores were given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events, places, and users by user net matching algorithm. Users can enjoy sports as a team or individual through the suggestion app even if they do not have any clubs or friends to which they belong. It can be used to improve tourism content services and establish tourism industry policies by analyzing data generated while using a user matching system.

위치정보와 지도를 이용한 경로추적 시스템의 모바일 기기에서의 하이브리드 앱 구현 (Implementation of a Hybrid-App of a Path Tracking System Using Geolocation and Maps on Mobile Devices)

  • 유문성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633-637
    • /
    • 2013
  • 위치정보와 지도를 이용하여 자신이나 타인 또는 사물의 경로추적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최근에 모바일기기의 발달은 이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지금까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등의 모바일기기의 경로추적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네이티브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의 단점은 같은 서비스를 다른 플랫폼에 제공하려면 다시 작업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웹 앱과 하이브리드 앱이 개발되었다. 하이브리 앱은 네이티브앱과 외관상 비슷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웹 앱보다 더 선호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에서 경로탐색이 가능한 앱을 개발하였다. 최근에 나온 HTML5에 위치정보 기능이 추가 되었는데 이를 이용하여 경로추적 시스템을 하이브리드 앱으로 구현하였다. 먼저 HTML5, CSS 와 자바스크립트 등을 이용하여 웹 앱을 만들고 이를 하이브리드 앱 도구의 하나인 폰갭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앱으로 변환하였다. 이 시스템의 구현으로 경로탐색이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모바일 기기에 관계없이 빠르고 효율적인 앱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Hybrid RF기반 CMOS 카메라를 이용한 피부질환 모니터링 스마트폰 APP개발 (Development of Skin Disease Smart Phone App. using CMOS Camera based on Hybrid RF)

  • 이민우;박수남;이난희;이정훈;이재선;심동하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0-3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Hybrid RF기반 CMOS 카메라를 이용한 피부질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Hybrid RF통신기반 CMOS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전송 기법에 대하여 제시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CMOS 카메라를 이용한 피부질환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폰 App을 개발하였다. Hybrid RF통신방식을 이용한 영상전송방식은 WiFi통신방식을 적용하여 CMOS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 정보를 스마트폰 App을 통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피부질환 모니터링 스마트폰 APP은 WiFi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Hybrid RF통신기반 CMOS 카메라를 이용한 피부질환 모니터링 시스템은 내시경 응용 활용 사례로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PP tail 1 (PAT1)과 kinesin light chains (KLCs)의 tetratricopeptide repeat (TPR) domain을 통한 결합 (APP Tail 1 (PAT1) Interacts with Kinesin Light Chains (KLCs) through the Tetratricopeptide Repeat (TPR) Domain)

  • 장원희;김상진;정영주;전희재;문일수;석대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608-1613
    • /
    • 2012
  • KIF5/Kinesin-I는 경쇄(light chain)를 통하여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운반체들을 미세소관을 따라 운반한다. Kinesin light chains (KLCs)은 tetratricopeptide repeat (TPR) 영역을 매개로 운반체와 결합한다. 현재까지 KLCs와 결합하는 많은 운반체들이 확인되었으나 KLCs가 어떻게 특정운반체를 인식하여 결합하는지는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KLC1의 TPR 영역과 결합하는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효모 two-hybrid system을 이용하여 탐색한 결과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과 결합하는 것으로 보고된 protein interacting with APP tail 1 (PAT1)을 분리하였다. KLC1은 PAT1의 C-말단 부위와 결합하며, PAT1은 KLC1의 TPR 영역을 포함한 부위와 결합함을 효모 two-hybrid assay로 확인하였다. 또한 PAT1는 KLC2와도 결합하였지만 kinesin heavy chains (KHCs)인 KIF5A, KIF5B, KIF5C와는 결합하지 않았다. 단백질간 결합은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pull-down assay와 공동면역침강으로도 확인하였다. 생쥐의 뇌 파쇄액을 PAT1 항체와 APP 항체로 면역침강을 행한 결과 KLC와 KHCs가 같이 침강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PAT1이 Kinesin-I와 APP 포함 소포간의 상호작용을 매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스마트 용접기 시스템을 위한 하이브리드 앱 소프트웨어 구조 설계 (Hybrid App Software Architecture for Smart Welding System)

  • 아론 링 치 이;강대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B)
    • /
    • pp.48-50
    • /
    • 2012
  • Migrating and enhancing welding system into smart device based system is one of most important issues in ship manufacturing and maritime plant industr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discuss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software architecture for smart welding system. Firstly, we introduce hybrid app development environments, because hybrid app development is more efficient and developer-friendly than native app development. Secondly, we show an essential subset of potential screen shots, software architecture diagrams and data flow diagrams(DFD) for our smart welding system proposal. Finally, we conclude the discussion of design choices and future work.

SREMS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개발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Application SREMS)

  • 정경진;김원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173-118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PC 기반으로 시설하우스의 생장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존 농업 IT시스템을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앱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모바일 앱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특징인 높은 이동성, 자원의 제약성, 모바일 무선네트워크지원, 엔터프라이즈 모바일 컴퓨팅 지원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앱의 채택이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앱을 통해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자원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었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능을 이끌어 낼 수 있었으며, 서비스 기반 아키텍쳐의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복잡도가 높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었다. 본 시스템의 개발을 통해서 최신 IT농업을 발전시켜 농민의 소득증대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모바일 하이브리드앱 개발도구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For Mobile HybridApp Development Tool)

  • 장래영;정성재;배유미;성경;소우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9-432
    • /
    • 2012
  • 애플(Apple) 아이폰(iPhone)으로 시작된 모바일 기기보급은 구글(Google) 안드로이드(Android)가 등장하면서 확산되었다. 최근들어 모바일기기 범위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바다(Bada), 윈도우폰 7(WindowPhone7), 블랙베리(BlackBerry)등 스마트폰과 아이패드(iPad)와 안드로이드기반 태블릿 (Tablet)등으로 다양해졌다. 과거에는 특정 기기에 맞는 전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만 개발하면 되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운영체제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하여야만 한다. 그에 따라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기존 개발방법과 다른 개발방법들이 등장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런 개발방법중 원소스멀티유즈(One Source Multi Use)를 지향하는 모바일 하이브리드앱(Mobile Hybrid App) 개발도구에 대해 알아보고 하이브리드앱 개발도구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상황에 맞는 개발방법을 제시한다.

  • PDF

위성영상정보 공간 메타데이터 검색 하이브리드 앱 설계 및 시험 구현 (Design and Prototype Implementation of Hybrid App for Geo-Metadata Searching of Satellite Images)

  • 김광섭;이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3-211
    • /
    • 2011
  •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나 모바일 앱과 같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이 공간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모바일 앱과 모바일 웹의 장점을 결합한 모바일 웹앱 또는 하이브리드 앱이라는 개발 방식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바일 환경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위성영상 정보는 다른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배경 영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위성영상정보 유통과 서비스의 기초가 되는 메타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앱의 기본 모델을 설계하고 시험 구현하고자 한다. 설계 과정에서는 하이브리드 앱 구현의 주요 기술로 국제 표준화가 진행중인 HTML5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구현 과정에서는 최근 개발된 모바일 개발 환경중에서 오픈 소스 기반으로 플랫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HTML5를 지원하는 PhoneGap과 Sencha Touch를 적용하였다. 한편 시험 구현에 사용된 위성영상정보는 소규모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일부의 KOMPSAT-2 영상을 사용하였으며, 공간메타데이터는 국내 단체 표준을 준용한 필수 항목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향후 다양한 가능을 제공하는 HTML5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산업적 활용도가 증가하고 모바일 플랫폼상에서 위성영상정보의 수요가 확대되면 본 연구의 접근 방법과 처리 가능의 구현 결과는 중요한 예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기종 스마트 플랫폼 상에서의 하이브리드앱 기반 스마트러닝 콘텐츠 호환성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f the Compatibility for the HybridApp-Based Smart-Learning Contents in the Heterogeneous Smart Platform)

  • 국중진;박병하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16
    • /
    • 2013
  • With the development and general use of a variety of Android/iOS-based smart phones and smart pads, the existing e-learning contents need to be changed in such a way that they can be carried out on different smart device platforms. This paper shows what changes are needed for that aim, and, in particular, for the compatibility of different platforms by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droid/iOS-based smart learning contents in the form of a hybrid app. This paper will hopefully help you consider what elements are required to develop smart-learning contents on a variety of platforms for mobile devices.

하이브리드 모바일 앱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ybrid Mobile App Framework)

  • 정우진;오장훈;윤동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1990-199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기존 웹앱 기반의 하이브리드 모바일 앱의 실행 성능 및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 모바일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네이티브 UI(User Interface) 및 각종 자원을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이용하여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모바일 앱 프레임워크인 WApplE.js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WApplE.js 프레임워크의 전체 소프트웨어 구조 및 레이어별 구성에 대하여 설계 결과를 제시하고, 구현된 하이브리드 앱 프레임워크에서 사용자의 API 호출 및 처리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며, 기존 프레임워크들과 특징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