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we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39초

HWE법에 의한 CdS 단결정 박막의 성장 (Growth of CdS Single Crystal Thin Films by HWE Method)

  • 양동익;최용대;김진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353-359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HWE 방법에 의하여 GaAs(100) 기판위에 입방정의 단결정 박막을 성장하였다. 성장된 CdS 단결정 박막의 결정구조와 방향을 ECP(electron channeling pattern)로 결정하였다. CdS 박막의 (400)면이 기판과 평행하게 성장됨을 알았다. CdS 박 막의 photoluminescence를 20K에서 측정하였는데, free exception, bound exception 및 donor-acceptor pair에 의한 발광이 관측되었다.

  • PDF

반지련 (Scutellaria barbata D. Don) 추출물이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Scutellaria barbata on the Macrophages Activated by Lipopolysaccharide)

  • 센팅;이용진;조재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13-319
    • /
    • 2008
  • S. barbata의 열수 추출물 (Sb-HWE)은 대표적인 염증과정인 LPS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로 부터의 NO생성, LPS 매개에 의한 세포사멸작용, 및 FITC-dextran의 대식세포내 탐식작용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본 추출물은 SNP로 유도된 라디칼 소거능은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NF-${\kappa}B$-매개에 의한 루시퍼라제 활성, 및 NF-${\kappa}B$ 활성 관련 신호전달 단백질 (Akt 및 $I{\kappa}B{\alpha}$)에 대한 저해작용은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들 추출물의 대식세포 면역반응 조절 기전은 기존의 알려진 방법과는 다른 기전에 의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서식지 특성에 따른 한국산 도롱뇽 유생의 body conditio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dy Condition by Habitat in Larvae Korea Salamander)

  • 김은지;정훈
    • 환경생물
    • /
    • 제32권1호
    • /
    • pp.68-74
    • /
    • 2014
  • 본 연구는 서식지 특성에 따른 양서류 유생의 몸상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2년 3월부터 4월까지 한국산 도롱뇽 유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우리는 물이 마를 위험이 없는 서식지와 물이 마를 위험이 있는 서식지로 나누어, 유생의 성장과 외부요인에 대한 민감도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부화 10일 후, 각 유생의 머리에서 눈이 위치한 부분의 넓이(HWE)와 머리에서 제일 넓은 곳의 길이(LHW)와 코끝부터 항문까지의 길이(SVL)를 측정하였으며, 폴리페니즘을 알아 보기 위하여 HWE/LHW의 비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물이 마를 위험이 없는 서식지의 유생은 물이 마를 위험이 있는 서식지의 유생보다 큰 SVL를 가지고 태어났으며, 이후의 성장률도 더 빨랐다. 또한 같은 포식자에게 노출되었을 때, 물이 마를 위험이 없는 서식지 유생은 물이 마를 위험이 있는 서식지 유생보다 HWE/LHW가 더 작게 나타났다. 따라서 물이 마를 위험이 있는 서식지 유생은 물이 마를 위험이 없는 서식지 유생보다 외부요인에 대하여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포식압 수준에 따른 한국산 도롱뇽 유생의 표현형의 변화 (Polyphenism by the level of predation risk in larval salamander, Hynobius leechii)

  • 황지희;김은지;김호진;정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85-491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산 도롱뇽 유생(Hynobius leechii)을 대상으로 포식압의 수준이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버들치의 냄새를 포식자 신호로 이용하여 (1) 높은 포식압- 하루 세 번의 포식압 (2) 중간 포식압- 하루 한 번의 포식압 (3) 포식압 없음 세 그룹으로 나누어 채집일로부터 부화 후 일주일까지 처리하였다. 먹이섭취로 인한 형태적 변화를 막기 위하여 실험은 기아상태에서 진행되었으며, 도롱뇽 유생은 경기도 광주, 인왕산, 수락산에서 채집된 난괴를 이용하였다. 포식압 처리 이후 도롱뇽 유생의 머리 중 가장 넓은 곳의 길이(LHW), 눈이 있는 부분의 머리길이(HWE). 그리고 코 끝부터 항문(SVL)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의 측정은 HWE를 LHW로 나눈 수치(HWE/LHW)를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고, 그 결과 포식압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HWE/LHW와 SVL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각 포압에 따른 사망률을 조사하여 본 결과 포식압 수준에 따른 증가를 보여,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은 매우 에너지 소모적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도롱뇽유생은 한정적 자원을 가진 환경에서 포식압에 의하여 카니발리즘을 일으키기 유리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삼배양근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Extracts)

  • 김재원;이신호;노홍균;홍주헌;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61-866
    • /
    • 2010
  • 산삼배양근을 식품소재 첨가물로의 이용성을 알아보고자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수추출물의 수율은 건물당 27.86%이었으며, 70% 에탄올추출물은 18.33%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7.90 mg/g 및 22.63 mg/g 이었다. Ginsenoside Rb1 및 Rg1의 함량은 각각 1.45 mg/g 및 0.96 mg/g 이었다. 1~20 mg/mL 농도에서 물추출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2.82~60.58% 및 3.88~70.88% 이었으며, 환원력에서는 70% 에탄올 추출물이 0.07~1.90이었고 물 추출물은 대체적으로 낮았다. SOD 유사활성은 물 추출물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70%에탄올 추출물에서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SOD 유사활성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지질산패 억제능은 70% 에탄올 추출물은 9.18~66.59%로 물 추출물의 4.74~24.88%에 비하여 1.9~2.8 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산삼배양근 추출물은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이 우수하여 산화방지제 및 기능성 증진용 소재 활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전식물명 '회(檜)'에 관한 고찰 (An Observation of the Classic Plant Name 'Hwe(檜)')

  • 공광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96-113
    • /
    • 2016
  • 이 글에서 논하고자 하는 고전식물명 '회(檜)'에 관한 고찰은 고문헌을 통한 민속식물연구에 있어 우선하여 진행되어야 하는 부분이라고 판단된다. 고문헌 속에는 식물의 특징 이용방법 분포 등 다양한 정보가 산재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전식물명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식물명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있고 난 뒤에야 비로소 그 식물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회'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데, 대체로 전나무 노송 편백 등 세 가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어떤 기준을 통한 것인지 알 수가 없다. 특히 고전 번역에서 '회'는 번역자의 임의로 풀이하고 있어 이 자료를 그대로 인용할 경우 또다시 오류를 낳게 한다. 따라서 고전식물명이 나오는 항목은 다시 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다. 식물명으로서 '회'가 어떤 이유에서 다양하게 해석되며, 어떤 기준으로 해석해야 올바른가. 이러한 의문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회'의 해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설정함으로써 고전식물명의 바른 해석과 이를 통한 식물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확보하고자 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쪽잎의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Bioactivity of Polygonium tinctorium Leaf: Potential Clinical Uses)

  • 성화정;최옥자;박종이;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2-5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염재,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쪽잎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쪽잎의 열수 추출물 및 ethanol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의 항산화, 항균, 항당뇨, 항응고,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쪽잎의 열수 추출효율은 27.6%로 ethanol 추출효율보다 약 2배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의 TP 함량은 51.2 mg/g으로 ethanol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특이하게 총당 함량은 ethanol 추출물(297.8 mg/g)에서 열수 추출물보다 1.2배 높게 나타났다, 반면 TF 및 환원당 함량은 열수 및 ethanol 추출물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p<0.05). 항균 활성 평가 결과, ethanol 추출물은 L. monocytogenes, S. epidermidis, S. aureus 및 B. subtilis의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만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열수 추출물은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ethanol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강력한 38.8%의 DPPH 소거능, 84.5%의 ABTS 소거능과 환원력($OD_{700}=0.357$)을 나타내었으나, nitrite 소거능은 열수 추출물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쪽잎 ethanol 추출물은 5 mg/ml 농도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TT는 1.86배, PT는 1.79배, aPTT는 1.65배 연장시켜 매우 강력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빠르게 혈소판 응집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열수 추출물은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를 나타내었다. 현재까지 쪽잎의 항혈전 활성은 보고된 바 없으며, 이러한 쪽잎의 강력한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은 쪽잎을 이용한 항혈전 소재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Euglena gracilis 추출물의 면역조절 및 생리활성 분석 (Immunomodulatory Effects of Euglena gracilis Extracts)

  • 유선녕;박보배;김지원;황유림;김상헌;김선아;이태호;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3-19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compound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Euglena gracilis를 hot water로 추출하고(HWE), 그 잔존물을 methanol로 추출(HWME)한 후,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에 처리하여 면역활성을 측정하였다.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에서 HWE 처리로 IL-1β와 TNF-α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었고,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유도되는 IL-6와 TNF-α 생성이 HWME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α-glucosidas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PTP1B), tyrosinase, xanthine oxidase (XO),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등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E. gracilis HWE 추출물에서는 α-glucosidase, tyrosinase, ACE에서 약한 억제 활성을 보였으나, HWME 추출물에서는 PTP1B와 XO에서 유의적인 억제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E. gracilis 추출물의 면역조절 활성 뿐 만 아니라 당뇨와 심혈관 질환에 대한 유의적인 억제활성을 통해 다양한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hibitory Effect of Clavicepitaceae on Serotonin Release out of Human Platelets and Human Platelet Aggregation

  • Cho, Hyun-Jeong;Ham, Hye-Seon;Lim, Chang-Ryul;Park, Sun-A;Kang, Hyo-Chan;Ju, Young-Cheol;Park, Hwa-J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13
    • /
    • 2004
  •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ypha-water extracts (HWE), fruit body-water extracts (FWE) and cordycepin from Cordyceps militaris on serotonin release out of human platelets and human platelet aggregation. HWE and FWE inhibited the release of [$^3H$]-serotonin from human platelet stimulated by thrombin (2 U/ml) or collagen (20$\mu$g/ml)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cordycepin, a major component of Cordyceps militaris, inhibited the human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collagen (10$\mu$g/ml)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rdycepin containing in HWE and FWE may inhibit the serotonin release by suppressing the collagen-induced human platelet aggregation. Accordingly, our data demonstrate that HWE and FWE containing much cordycepin might have antithrombotic and antimigrainous functions.

  • PDF

건강근로자효과의 최소화 방안과 보정 방법 (Methods to Minimize or Adjust for Healthy Worker Effect in Occupational Epidemiology)

  • 이경무;전재범;박동욱;이원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42-347
    • /
    • 2011
  • Healthy worker effect (HWE) refers to the consistent tendency for actively employed individuals to have a more favorable mortality experience than the population at large. Although HWE has been well known since the 1970s, only a few studies in occupational epidemiology have attempted to fully define and evaluate HWE. HWE can be separated into effects on the initial hiring into the workforce (healthy worker hire effect) and those on continuing employment (healthy worker survival effect).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methods for minimizingor adjusting for the healthy worker effect available in occupational epidemiology. It is noteworthy that healthy worker survival effect appears complicated, considering that employment status plays simultaneous roles as a counfounding variable and intermediate variable, whereas healthy worker hire effect may be adjusted by incorporating health status at baseline into the statistical model. In addition, two retrospective cohort studies for workers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d Vietnam veterans in Korea, respectively, were introduced, and their results were explained in terms of healthy worker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