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or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4초

한우 및 젖소 전방수의 화학조성 (Chemical components of aqueous humor in Korean native cattle and Holstein-friesian cattle)

  • 신호철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43-745
    • /
    • 1996
  • 가축 특히 대동물에 있어서 전방수의 화학조성에 관한 보고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우 및 유우(Holstein)를 대상으로 전방수에 대해 화학조성을 검토하였다. 유의의 protein, urea nitrogen, creatinine, cholesterol, calcium, sodium, potassium과 chloride 등이 분석 검출되었다. 이러한 조성분포는 혈장에서 보다는 수액(cerebrospinal fluid)의 조성에 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우 및 유우에 있어서 조성에 관한 차이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 PDF

현대 의상에 나타난 유머성 (Humor Expressed in Modern Fashion)

  • 이윤진;박명희
    • 복식
    • /
    • 제53권5호
    • /
    • pp.33-4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moaning and features of humor in modern fashion. by examining how it's being grafted into fashion, based on artistic expression including collage, assemblage, photo montage, graffiti, transformation, distortion, exaggeration and optical illusion. Beside. humor of fashion is to examine not only laugh and fun but also formative expression and creativity. Furthermore, it is to enlarge the range of conception for future fash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described as below: The features of humorous fashion by collage and assemblage boiled down to unexpectedness, disharmony and creativity. The photo montage was marked by popularity, reproduction and recreativity, and graffiti was characterized by attention, simpleness, and amusement. And there were unexpectedness, creativity and strangeness in transformation, distortion, magnification and optical illusion. The meaning of humorous fashion that carries such features could eventually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s : First, the fashion, from which collage, assemblage, photo montage. graffiti, transformation, distortion, magnification and optical illusion were detected. could be sorted out into several categories that used different things : introduction of objects of different nature, dramatic impression and wit based on photo montage technique, introduction of comic components and infant image, and destruction of aesthetic principles. Second, the substance of humor in art could be applied to fashion design as well as visual art. Humor is a property related to accidental, unexpected incident, behavior, situation or idea, and it puts laugh, disharmony or awkwardness in fashion. Third, spicing fashion with humor could serve to draw people's attention, break down the barrier among people exposed to dry sentiment, and connect the public with art.

LIGHT DEPENDENT CHANNELS AND EXCHANGER IN THE INTERNAL LIMITING MEMBRANE OF VERTEBRATE EYE

  • Hyuk Jung;Kim, You-Young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6권2호
    • /
    • pp.77-83
    • /
    • 1999
  • Calcium has a variety of functions in neuron and muscle cells and blood clotting, especially in the visual system where dark adapted rods cotransport with Na$\^$+/ into the cell. An influx of Ca$\^$++/ flows out of the cell through the Na$\^$+/-Ca$\^$++/ exchanger. By using a modified Using chamber in order to bring in vivo environment close, we have known that Ca$\^$++/ blocks the activity of guanylate cyclase, in consequence, having an effect on the amplitude of electroretinogram (ERG). We have measured the Ca$\^$++/, K$\^$+/, and Na$\^$+/ concentration in dark and light adapted bullfrog's (Rana catesbeiana) vitreous humor. The calcium concentration of the light adapted bullfrog's vitreous humo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ark adapted bullfrog's vitreous humor This means that ion activity between the photoreceptor and vitreous humor side is light dependent and we have found that a Ca$\^$++/ channel and Ca$\^$++/K$\^$+/ exchanger exist in the vitreous humor side. Taken together permeability of Ca$\^$++/, K$\^$+/ and K$\^$+/ ion internal limiting membrane faced in the vitreous humor side has light-dependent activity during the illumination.

  • PDF

방광(膀胱) 진액(津液)과 기화(氣化)에 관(關)한 고찰(考察) (A Review on the Fluid and Humor[津液] and Gi Transformation[氣化] in Bladder[膀胱])

  • 송지청;금경수;엄동명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3-110
    • /
    • 2010
  • Conceptions about functions of bladder in Oriental Medicine are focused on excretion of urine, such as "Somun(素問)" "Yeong-ranbijeonron(靈蘭秘典論)". However, functions of bladder cannot be in those. In Oriental Medicine, there are sentences in "Naegyeong", the fluid and humor is dispersed to whole body. It means that bladder has a function by reabsorption of the fluid and humor in metabolism with gi transformation, besides excretion of urine. In that reason, I try to find out meanings of bladder's functions in metabolism of the fluid and humor through bibliographic review. As a result, bladder has a 2 types of function. 1st, it is a excretion of urine that we have already mentioned. 2nd, it is a reabsorption of the fluid and humor.

한·미 장편 애니메이션에서 스토리와 관련된 유머의 차이에 대한 고찰 (A study on differences in the humor embedded in stori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feature-length animation)

  • 김윤정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5호
    • /
    • pp.67-88
    • /
    • 2014
  • 국제적으로 한국의 장편 애니메이션은 수익과 관련된 흥행 실적을 나타내지는 못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흥행이 된다는 것은 엔터테인먼트와 관련이 있는데, 이러한 즐거움을 주는 요소로 웃음을 빼놓을 수 없다. 이러한 유머가 한국 애니메이션의 세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한국과 미국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유머의 분석과 그 원인을 분석하는 연구는 많이 부족하다. 몇몇 해외 시장을 노리는 한국 애니메이션은 시나리오나 스토리보드 제작의 프리 프로덕션을 미국인이 맡는 경우들이 많이 생기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미 장편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유머의 표현법의 차이를 빈도분석, 내용분석, 인터뷰를 통해서 연구하고 여기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인 스토리와 관련된 유머를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 애니메이션에서 이러한 스토리와 관련된 유머를 보강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상사유머가 부하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LMX와 CWX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supervisor humor on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LMX and CWX)

  • 양동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291-295
    • /
    • 2022
  • 본 연구는 상사유머가 LMX 및 CWX에 미치는 영향, LMX 및 CWX가 부하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사유머와 부하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LMX 및 CWX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지방 소재기업 내 종업원 23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유머는 LMX 및 CWX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LMX와 CWX는 부하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LMX 및 CWX는 상사유머와 부하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유머효과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광고에서의 유머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Humor Effects for the Corporate Image)

  • 박영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101-110
    • /
    • 1998
  • 제품판매를 촉진하고 기업이윤의 극대화를 모색하는 기업논리로만 좋은 기업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좋은 기업이미지 형성을 위하여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좋은 기업이미지 형성을 위하여 기업활동을 통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이미지를 형성해야 하고 올바른 사회적 행동을 통하여 바람직한 사회적 이미지를 형성해야 하며, 문화적예술에 대한 투자, 보건, 교육, 사회적 복지프로그램등에 지원활동으로 사회적 신뢰를 획득해야 한다. 기업은 의도한 바대로의 기업이 미지를 대중들이 가질 수 있게 노력하지만 대중은 여러 정보들을 토대로 주관적으로 기업이미지를 지니게 된다. 기업이미지 형성 자체가 대중의 이성적이기 보다는 감성적인 주관에 의한 것이므로 감성적 접근과 감정적 설듯이 더욱 효과적인 요소가 된다. 유머효과는 기존의 연구를 통해 주의집중, 기억, 설득의 매우 강력한 수단이 된다는 것은 입증된 바 있다. 현대의 가장 인기잇는 광고의 대부분이 유머광고이고, 설문을 통하여 20대 대학생의 절대다수가 유머광고를 선호하고 있고 좋은 기업이미지를 위하여 유머러스한 제품광고를 통한 기업이미지 제고효과, 기업이미지 광고에 유머효과의 사용 그리고 기타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유머효과를 사용하는 것에 대다수가 긍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좋은 기업이미지 형성을 위해 유머효과는 친근함을 유도해 내고, 광고의 역기능적인 면을 최소화하고 정신적 즐거움을 주면서 설득효과를 가진다. 유머효과는 기업실체를 반영한 좋은 기업이미지 형성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아이디어 개발 근처로 활용할 수 잇다. 유머를 웃음을 유발하는 단순한 수단이라기 보다 인간에 대한 깊은 관조와 이해를 바탕으로한 휴머니즘의 또다른 표현이라고 본다면 바람직한 기업이미지와 연관한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고접촉 서비스 종업원의 유머 스타일과 감정노동 및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Employees' Humor Style,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High-Contact Service Employees)

  • 김유경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0호
    • /
    • pp.109-121
    • /
    • 2014
  • Purpose - Most studies related to emotional labor have been conducted in the low-contact service industry rather than the high-contact service industry. Si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golf service assistants, working in an industry in which the interaction and contact between customers and employees are considerable and the degree of customization is high, this study is significant. Thus, we would like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or style of golf service assistants and emotional labor. Humor style was divided into two styles-adaptive humor and maladaptive humor. Emotional labor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In addition, we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 methodology - This study focuses on the humor styles in the golf service industry, among golf service assistants, on their emotion labor, and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labor and work satisfaction or job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outcome, a total of four hypotheses were set up. To verify the hypotheses,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golf service assistants working in two golf fields in the region of Busan as well as its neighboring area. A total of 2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Subsequently, a total of 227 valid questionnaire copies, after excluding improper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fter 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variances, Amos 18.0 was used to implement the structure method so as to verify the study hypothese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suitability of the entire model was considerably appropriate to the standard value, and the level is adequate to accommodate the study model completely. Results -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daptive humor of golf service assist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deep acting and maladaptive humor had a positive effect on surface acting. Second, It was found that employees' satisfaction with their job was reduced through surface acting, and those employees who experienced positive emotional labor in the form of deep acting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ird, surface acting among employees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but deep acting reduced it.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golf service assistants in the golf service industry was examined. Conclusions - First, the adaptive humor of the golf assistants in the golf service industr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expression behavior. Second, deep acting increased their job satisfaction while their surface acting had a noticeably negative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Third, the surface acting of the emotion labor dimensions that the golf service assistants experience increases their turnover intention while their deep acting decreases their turnover intention. Finally,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golf service assistants, it was found that the turnover intention decreased when their job satisfaction is increased.

유머와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의 통합적 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n Nursing Studies Related to Humor)

  • 김신정;김성희;이정은;김혜영;유소영;오진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58-66
    • /
    • 2014
  •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보고된 유머와 관련된 간호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고찰, 비평, 탐색, 논의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함으로써 유머와 관련된 간호연구의 속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아동을 대상으로 간호현장에서 유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과학적인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유머와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논문을 통합적 고찰 방법으로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결과 유머와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논문 13편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유머와 관련된 간호의 속성을 긴장완화를 위한 구체적인 도구의 사용, 즐거운 기분 유발로서 환자의 증상 완화, 유머를 활용한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업무향상이라는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유머는 스트레스, 질병 등의 위기상황에 놓인 아동을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임상상황에서 간호사들이 아동간호 시, 유머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한다면 대상자의 안녕과 건강증진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유머란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시대와 사회 문화적 특성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되고 발달되어 간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Hum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 Efficacy)

  • 김지윤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41-151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효능감에 유머감각과 정서지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 예비유아교사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WIN V.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유머감각과 정서지능, 교사효능감은 대체로 보통 이상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 정서지능,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머감각의 하위요인인 유머의 생성과 유머에 대한 선호 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 요인 중 타인정서인식, 정서활용 요인이 교사효능감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유머 감각과 정서지능이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교사효능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