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plasmi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7초

Keratinocytes 세포의 MMP-2 및 plasmin 분비에 미치는 VEGF의 영향 (Effect of VEGF on the Secretion of MMP-2 and Plasmin from Human Keratinocyte Cells)

  • 김환규;오인숙;소상섭;박종완
    • KSBB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37-24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keratinocytes 세포를 이용하여 VEGF가 세포의 증식, MMP-2 및 plasmin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VEGF는 keratinocytes의 세포증식을 약 2.5배 상승시켜 내피세포 뿐반 아니라 상피세포에서도 강력한 mitogen임을 확인하였으며 submaximal effect를 보이는 농도는 10 ng/mL이었다. VEGF의 농도 증가에 따른 MMP-2의 분비에 미치는 효과 역시 10 ng/mL에서 최대 효과를 나타냈으며 VEGF 처리 후 1시간만에 확인 가능한 MMP-2 밴드가 나타났다. 한편, MMP-2의 분비 증가와 함께 plasmin의 분비 증가가 수반되는지를 확인한 결과 VEGF를 첨가했을 때 약 3배 정도 plasmin의 분비량이 증가함을 알 수 었었다. 이러한 결과는 VEGF의 성장촉진 효과와 관련자어 볼 때 MMP-2와 plasmin이 keratinocytes 세포의 성장과 이동에 부분적으로 관여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A Method for Direct Application of Human Plasmin on a Dithiothreitol-containing Agarose Stacking Gel System

  • Choi, Nack-Shick;Chung, Dong-Min;Yoon, Kab-Seog;Maeng, Pil-Jae;Kim, Seung-Ho
    • BMB Reports
    • /
    • 제38권6호
    • /
    • pp.763-765
    • /
    • 2005
  • A new simplified procedure for identifying human plasmin was developed using a DTT copolymerized agarose stacking gel (ASG) system. Agarose (1%) was used for the stacking gel because DTT inhibits the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Human plasmin showed the lowest activity at pH 9.0. There was a similar catalytically active pattern observed under acidic conditions (pH 3.0) to that observed under alkaline conditions (pH 10.0 or 11.0). Using the ASG system, the primary structure of the heavy chain could be established at pH 3.0. This protein was found to consist of three fragments, 45 kDa, 23 kDa, and 13 kDa.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eavy chain has a similar structure to the autolysed plasmin (Wu et al., 1987b) but there is a different start amino acid sequence of the N-termini.

Effect of Fibroblast Growth Factor-2 on Migration and Proteinases Secretion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Oh, In-Suk;Kim, Hwan-G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379-384
    • /
    • 2004
  • Fibroblast growth factor-2 (FGF-2) is known to modulate numerous cellular functions in various cell types, including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survival, adhesion, migration, and motility, and also in processes such as wound healing, angiogenesis, and vasculogenesis. FGF-2 regulates the expression of several molecules thought to mediate critical steps during angiogenesis. This study examines the mechanisms underlying FGF-2-induced cell migration, using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FGF-2 induced the nondirectional and directional migration of endothelial cells, which are inhibited by MMPs and plasmin inhibitors, and induced the secre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 and MMP-9, but not MMP-l and MMP-2. FGF-2 also induced the secretion of the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l (TIMP-I), but not of TIMP- 2. Also, the pan-PKC inhibitor inhibited FGF-2-induced MMP-9 secretion.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FGF-2 induces the migration of cultured endothelial cells by means of increased MMPs and plasmin secretion. Furthermore, FGF-2 may increase MMP-9 secretion by activating the PKC pathway.

U-373-MG 세포에서 MMPs 및 플라스민의 분비에 미치는 오디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Mulberry Extracts on Secretion of MMPs and Plasmin in U-373-MG Cells)

  • 이숙희;김환규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42-14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U-373-MG 세포를 이용하여 오디 추출물과 VEGF에 의한 MMPs 및 플라스민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U-373-MG 세포에 오디 추출물을 $100{\sim}600\;{\mu}g/mL$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MMP-2의 분비는 거의 완벽하게 억제되었고 MMP-9의 분비는 약 $1.6{\sim}5.9$배 증가하였다. 이에 비해 플라스민의 분비는 오디 추출물 농도 $500{\sim}600\;{\mu}g/mL$에서 $36%{\sim}58%$ 감소하였다. 오디 추출물과 VEGF를 병용처리한 경우, MMP-2의 분비는 VEGF만을 처리한 것과 비교하여 약 85.5% 감소하였고, MMP-9의 분비는 약 89.8% 감소하였다. 또한, U-373-MG 세포에서 오디 추출물($100\;{\mu}g/mL$)에 의한 MMP-2와 MMP-9의 분비 증가와 플라스민 분비증가는 PI 3'-kinase 경로에 의존적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오디 추출물이 VEGF의 과발현에 따른 암의 성장을 억제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산수유(Cornus officinalis)로부터 혈전용해물질의 확인 및 특성 연구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Compound from Cornus officinalis S. et Z)

  • 김준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7-244
    • /
    • 2020
  • 산수유 열수추출물의 혈전용해활성을 탐색하고, 유기용매로 분획화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1.36 plasmin units/mL의 강한 혈전용해활성을 확인하였다. Amberlite IRA-400, Sephadex LH-20 column, active charcoal column과 재결정으로 정제한 혈전용해화합물을 HPLC로 분석 비교한 결과, 표준물질인 malic acid와 같은 retention time (RT)을 나타내고, LC/MS/MS 분석의 Negative mode 측정 시 m/z 133에서 같은 peak를 나타내어 정제한 화합물이 분자량 134 Da인 malic acid 임을 확인하였다. 정제한 화합물은 0.69 plasmin units/mL의 혈전용해활성을 보이고, 14.62%의 트롬빈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6.42%의 항산화 효과와 17.28%의 항당뇨 효과를 나타냈다. 분리한 화합물은 섬유소원의 Aα chain, Bβ chain과 반응하지 않았지만 γ chain을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수유에서 분리한 혈전용해화합물은 혈관계 질환의 치료제 개발과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우수한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Comparative Study of Enzyme Activity and Stability of Bovine and Human Plasmins in Electrophoretic Reagents, β-mercaptoethanol, DTT, SDS, Triton X-100, and Urea

  • Choi, Nack-Shick;Hahm, Jeung-Ho;Maeng, Pil-Jae;Kim, Seung-Ho
    • BMB Reports
    • /
    • 제38권2호
    • /
    • pp.177-181
    • /
    • 2005
  • Effects of common electrophoretic reagents, reducing agents ($\beta$-mercaptoethanol [BME] and DTT), denaturants (SDS and urea), and non-ionic detergent (Triton X-100), on the activity and stability of bovine plasmin (b-pln) and human plasmin (h-pln) were compared. In the presence of 0.1% SDS (w/v), all reagents completely inhibited two plns, whereas SDS (1%) and urea (1 M) denatured plns recovered their activities after removal of SDS by treatment of 2.5% Triton X-100 (v/v). However, reducing agents (0.1 M of BME and DTT) treated plns did not restore their activities. Based on a fibrin zymogram gel, five (from b-pln) and four (from h-pln) active fragments were resolved. Two plns exhibited unusual stability in concentrated SDS and Triton X-100 (final 10%) and urea (final 6 M) solutions. Two bands, heavy chain-2 (HC-2) and cleaved heavy chain-2 (CHC-2), of b-pln were completely inhibited in 0.5% SDS or 3 M urea,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h-pln. Interestingly, 50 kDa (cleaved heavy chain-1, CHC-1) of b-pln and two fragments, 26 kDa (light chain, LC) and 29 kDa (microplasmin, MP), of h-pln were increased by SD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We also found that the inhibition of SDS against both plns was reversible.

야생 잎새버섯 물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의 생리활성 탐색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wild Grifola frondosa)

  • 석순자;김준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41-246
    • /
    • 2019
  • 야생 잎새버섯 추출물을 이용하여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된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준비한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혈전용해활성과 트롬빈저해활성, 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 항산화활성을 확인하였다. 10 mg/mL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물 분획물은 각각 0.93 plasmin unit와 0.73 plasmin unit의 높은 혈전용해활성을 나타냈으며, 부탄올 분획물은 79.60%의 트롬빈저해활성을 나타냈다.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85.88%의 높은 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을 나타냈고,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39.81%로 비교적 낮게 나타냈다. 부분 정제된 효소를 포함하고 있는 물 분획물은 섬유소원의 Bβ chain를 모두 분해시켰지만, Aα chain은 느리게 분해시키고 γ chain 과는 반응하지 않았다. 실험 결과로부터 야생 잎새버섯 추출물은 높은 혈전용해활성과, 트롬빈저해활성, 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을 나타내 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한 제약과 기능성식품 개발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토착 곤충의 항혈전 비교 (Comparison of fibrinolytic activity from Korean indigenous insects)

  • 김현애;이상한;최영철;박관호;황재삼;김남정;남성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47-152
    • /
    • 2013
  • 국내 유용 곤충의 70%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혈전용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fibrin plate를 이용하여 혈전용해능을 측정하였고, 그 분해산물을 SDS-PAGE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그 결과 5종 (방울벌레 유충, 방울벌레 성충, 장수풍뎅이 성충, 꽃무지 유충, 꿀벌 유충)의 물 추출물에서 plasmin과 비교하여, 높은 혈전 용해 능을 나타내었고, 분해 패턴 또한 plasmin과 비슷하거나 더 강한 단백질 분해능을 나타내어 물 추출물에서 높은 혈전 용해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관내피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Hepatocyte Growth Factor의 영향 (Effect of Hepatocyte Growth Factor on the Migration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오인숙;소상섭;김환규
    • KSBB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485-489
    • /
    • 2003
  • HGF는 내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일으키는 강력한 혈관 신생 유도인자 및 생존인자로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HUVECs 세포를 이용하여 내피세포의 이동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분비에 미치는 HGF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곁과, HGF 처리 (10ng/$m\ell$)에 의해 HUVECs 세포의 이동이 약 3.3배 촉진되어, HGF가 HUVECs 세포에서 강력한 이동 유도인자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내피세포의 이동에 관여할 것이라 여겨지는 MMPs, TIMPs 및 플라스민의 분비에 미치는 HGF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 HGF에 의해 MMP-2 및 MMP-3의 분비양이 각각 3.3배와 6.1배씩 증가되었다. HGF에 의한 TIMPs 분비효과를 관찰한 결과, TIMP-1은 대조군에 비해 약 1.8배 분비가 증가되었으나, TIMP-2는 대조군에 비해 약 3.1배 분비가 억제되었다. 또한, 광범위 MMPs-억제제인 BB-94 (20ng/$m\ell$) 및 플라스민 억제제인 $\alpha$$_2$-antiplasmin (100mU)을 처리했을 때, HGF에 의해 유도된 혈관내피세포의 이동이 거의 완벽하게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HGF는 HUVECs 세포에서 MMP-2, MMP-3, MMP-9, TIMP-1 및 플라스민의 분비 증가를 일으켰으며, HGF에 의해 분비가 증가 된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해 세포외기질 및 기저막 단백질로의 혈관내피세포의 이동이 촉진되고, 결과적으로 혈관신생을 유도할 것이라 사료된다.

검은비늘버섯 물 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an Edible Mushroom, Pholiota adiposa)

  • 김준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7-212
    • /
    • 2014
  • 검은비늘버섯을 이용하여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된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검은비늘버섯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심혈관계 질환관련 생리활성을 확인하였다. 물 추출물은 57.57%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냈지만 혈전용해활성, 트롬빈저해활성,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반면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0.70 plasmin unit의 높은 혈전용해 활성과, 87.36%와 46.44%의 높은 트롬빈 저해활성과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물 분획물은 48.27%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냈다. 혈전용해활성이 높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섬유소원의 $A{\alpha}$$B{\beta}$ chain은 모두 분해시켰지만 ${\gamma}$ chain과는 반응하지 않았으며, $100^{\circ}C$에서 10분간 가열에도 혈전용해 활성에 변화가 없었다. 실험 결과로부터 검은비늘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높은 혈전용해활성과 트롬빈 저해활성과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 심혈관계 질환 관련 치료나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 개발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