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knowledge resource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3초

조직 기업가 정신이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 외식 프랜차이즈 산업 (The Impact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on Employee Commitment and Performance: Evidence from the Korean Food Franchising Sector)

  • 박희현;류용규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7권2호
    • /
    • pp.5-14
    • /
    • 2016
  • Purpose - Competitive industry structure and recent economic depression challenge a survival of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food franchising companies (SMFCs), albeit the explosive growth of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for last few decades. Against this backdrop, it examines how these SMFCs overcome liabilities of smallness and resource scarcity to strengthen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 To tackle this, in this article we focus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human resources as a knowledge-based asset for these SMFCs. Furthermore, the ratio of employee turnover is high in SMFCs. We view that such brain-drain may result in poor performance of the Korean SMFCs. As such, we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an organization as a solution for enhancing individual-level employees' loyalty toward their organiz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ur research question is to what extent corporate entrepreneurship (i.e.,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autonomy, and administrative innovation) affects an individual-level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and, in turn, employee creativity and satisfaction in the Korean SMFCs context. We collected data from employees in SMFCs for three months. A total of 126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using partial least squares path modeling. Results - The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model feed into testing the structural model. Our findings suggest that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autonomy positively affect employee commitment. Particularly, organizational autonomy has a greater effect than innovative culture on employee commitmen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innovation and employee commitment is not significant. We also find that employee commitment positively affects both employee creativity and satisfaction. Conclusions - Our contribution to the existing franchising business and management literature is twofold. First, the conceptual model includes three antecedents in the organizational entrepreneurship dimension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we conceptualiz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employee commitment, and validate its impact on employee creativity and job satisfaction at an individual performance level. Overall, this article suggests that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Korean SMFCs to develop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order to facilitate employees'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ir organizations.

효과적인 팀워크를 위한 프랜차이즈 호텔 조리장의 피그말리온 리더십 (The Chain Hotel Chef's Pygmalion Leadership for Effective Teamwork of Cooks)

  • 구동우;이새미;장해진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7권1호
    • /
    • pp.13-20
    • /
    • 2016
  • Purpose - In the past, the chain hotel chefs only serve food to their customers. However recently, the hotel chefs play a pivotal role in hotel including considering various customer preferences, safety and nutrition of food, and increasing profits through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inventory control. With the change of the chain hotel chef's' roles, pygmalion leadership, one of new leadership styles, focuses on the effect that leader's positive expectation let subordinates have motivation and more engage in wor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hain hotel chef's pygmalion leadership on leade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hain hotel restaurant chefs' pygmalion leadership, hotel restaurant cooks' leader trust, organizational trust, and teamwork, and how leade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play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ygmalion leadership and teamwork. In this model, pygmalion leadership includes 4 dimensions: Climate, Feedback, Input, and Output.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n cooks of Deluxe hotel restaurants located in Seoul and Gyonggi-Do. The samples for data analyses were 243 excepting unusable responses. Result -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limate and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leader trust, respectively. Second, feedback and output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respectively. Third, leader 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and teamwork. Fourth, organizational tru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mwork. Conclusions - As a chain hotel chef treats his/her staffs sincerely, they will be more engaged in work by establishing trust in their leader. Ultimately, it leads to higher sales profit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a hotel can encourage chefs and other staffs to treat each other as if the student-instructor relations, not just commanding staffs. Then, cooks build up their trust to their leader and organization for its sustained growth and development, and the internal bond in organization including teamwork is strengthened. Therefore, to strengthen teamwork and organizational trust, there should be active communication, knowledge sharing, goal sharing, and cooperation between chefs and cooks.

특허생산과 기술성과: 기업 혁신전략의 역할 (Patent Production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of Korean Firms: The Role of Corporate Innovation Strategies)

  • 이주관;정진화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1호
    • /
    • pp.149-175
    • /
    • 2014
  • 본 연구는 기업의 혁신전략이 특허생산 및 기업의 기술변화와 신제품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기술성과를 증대시키는 데 필요한 혁신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용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HCCP)의 1~4차년도 자료와 한국신용평가원의 기업재무자료, 특허청의 기업별 특허출원자료를 결합한 자료이다. 특허생산함수는 영과잉음이항회귀모형(ZINB)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기업의 기술성과 결정요인은 특허의 내생성을 고려하여 2단계 추정방법을 사용하였고, 2단계 회귀식은 순위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혁신전략이 특허생산 및 기업의 기술변화와 신제품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특허생산에서는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와 인적자원이 중요한 투입요소로 나타났다. R&D집약도가 높을수록 특허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되 한계 생산은 체감하였고,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스톡이 많을수록 신규특허의 생산이 활발하였다. 기업의 인적자원수준이 높고 인적자원투자가 많을수록 특허생산이 활발하였고, 기업이 시장선도전략이나 빠른 추종자전략을 추구할 때 안정형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에 비해 특허생산이 많았다. 둘째, 기업의 기술성과 결정요인으로는 인적자원의 역할이 중요하였고, R&D 집약도는 대기업의 신제품개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시장선도전략이나 빠른 추종자전략을 택한 기업의 기술성과가 안정형 전략의 기업보다 높았다. 특허생산이 활발한 기업일수록 기술성과가 높으나, 이는 상당부분 특허의 내생성에 기인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특허의 생산뿐 아니라 특허와 신제품개발과 같은 기술성과와의 연계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며, 기업특성에 따른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도체 기술 R&D 연구인력의 역량연구 -H사 기업부설연구소를 중심으로 (A Study of Competency for R&D Engineer on Semiconductor Company)

  • 윤혜림;윤관식;전화익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67-286
    • /
    • 2013
  • 본 연구는 반도체 제조업 회사인 H사의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구성원에게 필요한 역량을 규명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직무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비전을 확인하고 구성원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확인했다. 또한 규명된 역량에 대해 설문을 통해 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역량별 중요도인식과 역량수준을 확인함으로써 개인과 조직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인터뷰와 직무분석은 각자 그룹별, 내용별로 정리된 후 통합 분석되었고, 분석된 결과는 Spencer&Spencer의 역량사전과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역량모델들과 비교분석을 거친 뒤 유목화되어 재분류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그 결과 16개의 역량이 도출되었고, 7개의 역량군으로 분류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H사 기업부설연구소가 필요한 역량을 규명하고 직무별로 요구되는 역량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또한 역량의 중요도 인식과 역량별 본인의 수준 인식 정도를 확인하여 연구인력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교육의 방식이나 다양한 종류의 교육을 제안했다.

중학교 남.녀학생이 인식한 가정과 교육내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남.녀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Contents in Middle-School Home-Economics)

  • 박일록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9-4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tents that students want to learn the most on Home-Economics. Participants were 710 middle school students(359 boys and 351 girls) from 9 schools located in 4 cities and 5 counties in CholaBuk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f 32 contents on Family life, boys were interested in 'the puberty', 'pregnancy and the ethics on sex', 'social needs', 'the importance of family relationship', and 'adolescents' physical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girls were more intered in 'pregnancy' and 'the ethics on sex', 'the puberty', 'development of career consciousness' and 'career preparation', 'the adolescents' physiolosical and physical development', and 'the importance of family relationship'. 2. Of 37 contents of Managing home resource and Consumer life subarea, boys showed their interests on 'environmental problems', 'environmental conservation', 'environmental pollution', 'management of time and work', 'knowledge', 'management of their abilities'. And girls were more interested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environmental pollution', 'environmental problems', 'adolescents life', and 'management of time and work'. 3. Of 49 contents on Dietary life, boys were more interested in 'puberty and the development', 'importance of nutriment', 'nutrition and health' and 'smoking and the health'. However, girls were more interested in 'smoking and health', 'puberty and the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nutriment', 'nutrition and health', 'a realistic plan to reduce the food-based environmental pollution'. 4. Of 40 contents on Clothing life subarea, while boys were interested in 'the suitable cloths on oneself', 'clothing design', 'regulation of temparature', physical protection' 'merchandising for ready-made clothing'. On the other hand, girls were mostly interested in 'the suitable cloths on oneself', and next 'the clothing design', 'merchandising for ready-made clothes','physical protection', and 'the appropriate posture and physical adornment'. 5. Of 18 contents on Residence life subarea,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ventilation for adjusting the room environment an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effective use of the residing space. In general, those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olabukdo showed the biggest interest on 'Clothing life', 'Residence life' the second, 'Eating life' the third,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the fourth, and Management of family resource and Consuming life' was their fifth interest. Such result was consistent with Ⅱ-Rok Park's previous research(1997). Sinc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sampled form 9 schools located in CheolaBukDo, it is not suitable to apply the results nationwide. The restricted sampling must be considered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make comparisons among areas.

  • PDF

농식품산업의 변화와 연구·지도사업의 과제 -지역R&D와 현장지도의 강화를 위해- (The Research and Extension System with Agro-Food industry Development: To Strengthen The Regional R&D and On-Farm Bases Extension)

  • 최영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4호
    • /
    • pp.839-869
    • /
    • 2013
  • 1980년대 말 농식품 시장이 개방된 이후 우리농업은 큰 변화를 거쳐왔다. 농식품 소비시장의 대형화로 주기적 대량거래가 요구되어, 축산과 원예 분야는 물론 농업의 전 분야에서 전업농이 성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농업 현장에서는 생산, 가공, 마케팅, 경영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현장지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를 뒷받침 할 FSR&E(영농체계연구 및 지도)의 개념이 지역 특화 시험장 형태로 1992년에 소개되었고, 2009년에는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법에 따른 농림수산과학기술위원회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연구사업에서 생산되는 지식과 현장에서 요구되는 지식 간에 차이가 발생하고 있어, 연구 지도사업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를 구분하고, 연구와 지도사업 간의 연계를 개선하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포괄적인 지식의 생산과 이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는 지역 농식품 R&D 체계의 리엔지니어링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한다. 각 지역 기관의 연구 지도 업무수행의 역할이 중복되거나 결핍되지 않고 효율적인 업무분배와 협력구조가 이루어지도록 지역 농식품 연구 지도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며, 품목중심의 농업현장 연구 지도(Commodity Based On-Farm R&E)를 실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중앙의 연구 지도 사업과는 별도로 인적자원과 인프라구축을 위한 정부의 예산지원이 필요하다. 현재 시군지역으로 이관된 지도기관들의 행정체제를 광역화하여, 일선 지도기관들의 포괄적이고 협력적인 연구와 지도사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빅데이터 기반 관광지 추천 시스템 구현 - 한국관광공사 LOD를 중심으로 - (Big Data based Tourist Attractions Recommendation - Focus on Korean Tourism Organization Linked Open Data -)

  • 안진현;김응희;김홍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4호
    • /
    • pp.129-148
    • /
    • 2017
  • 기존 전시회 정보 제공 서비스는 전시회가 열리는 장소 주변의 관광지를 추천한다. 이러한 위치기반 추천의 경우 전시회의 내용과 관련이 없는 관광지를 추천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전시회 내용과 관련된 관광지를 관람객에게 추천함으로써 전시회에서 획득한 지식을 관광지에서 경험하는 데에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전시회 큐레이터들이 전시회 내용과 관련된 관광지를 일일이 찾아 추천하는 방법이 있지만, 수작업이다 보니 큐레이터가 가지고 있는 배경지식의 범위 내에서만 추천이 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수작업에 따른 오류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자동화된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자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전시회 내용과 관련된 관광지를 자동으로 추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언어자원으로는 한국관광공사 LOD(Linked Open Data), 위키피디아, 국립국어원 사전 등을 활용했다. 단일 컴퓨터로는 이러한 대용량 언어자원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클라우드 컴퓨팅 프레임워크인 아파치 스파크(Apache Spark)에 기반하여 구현했다.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전시회 정보를 열람하면 본 알고리즘에 의해 추천된 관광지들을 같이 보여주는 웹인터페이스도 구현했다(http://bike.snu.ac.kr/WARP). 주요 전시회에 대한 관광지 추천 정확도에 대해 전문가 평가를 진행했다. 기존 방법에 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정확도가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활용하면 전시회 큐레이터의 수작업을 줄여줄 수 있고 전시회 관람자들을 관광지로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전시산업과 관광산업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한국간호연구의 동향: 대한간호학회지 및 회원 학회지(창간호부터 2010년까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Trends in Nursing Research in Korea: Research Trends for Studies Published from the Inaugural Issue to 2010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nd the Journals Published by Member Societies under Korean Academy of Nursing Science)

  • 최명애;김남초;김경미;김성재;박경숙;변영순;신성례;양수;이경숙;이은현;이인숙;이태화;조명옥;김진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84-494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for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nd journals published by member societies from inaugural issues to 2010. Methods: A total of 6890 studi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Quantitative studies accounted for 83.6% while qualitative studies accounted for 14.4%.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designs were quasi-experimental (91.1%) for experimental research and survey (85.2%) for non-experimental research. Most frequent study participants were healthy people (35.8%), most frequent nursing interventions, nursing skills (53.5%), and 39.8% used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utcomes for dependent variables. Most frequently used keyword was elderly. Survey studies decreased from 1991 to 2010 by approximately 50%, while qualitative studies increased by about 20%. True experimental research (1.2%)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Studies focusing on healthy populations increased from 2001-2005 (37.5%) to 2006-2010 (41.0%). From 1970 to 2010, studies using questionnaire accounted for over 50% whereas physiological measurement, approximately 5% only. Experimental studies using nursing skill interventions increased from 1970-1980 (30.4%) to 2006-2010 (64.0%). No significant changes were noted in studies using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39.9%) as 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further expansion of true experimental, qualitative studies and physiological measurements are needed.

한 초등 과학 교사의 정서적 반응적 교수의 실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er's Emotionally Responsive Teaching)

  • 한문현;오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27-238
    • /
    • 2022
  • 과학 교사의 주요한 역할 중 하나는 학생들이 과학 수업의 주체로서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 초등학교 과학 전담 교사가 어떻게 학생들의 정서적 자원을 활용하여 정서적 반응적 교수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무엇이었는지 기술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교사 자신과 그가 가르치고 있는 6학년 학생들이었으며,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단원의 수업에 교사의 정서적 반응적 교수가 적용되었다. 교사의 개인 일지, 수업 녹화본, 학생들과의 면담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들을 질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셀프 스터디의 방식으로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의 세 가지 정서적 자원(캐릭터 그리기, 티셔츠 디자인, 랩)을 활용하여 정서적 반응적 교수를 수행하였다. 교사의 정서적 반응적 교수는 학생들의 긍정적인 정서 및 활발한 수업 참여, 지식의 탐색과 정당화를 포함하는 인식적 실천, 일상생활의 맥락을 고려한 지식의 재구성이라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정서적 반응적 교수가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 참여를 촉진하면서 정서적, 인식적, 개념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학습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따라서 정서적 반응적 교수의 특징과 세부 교수 전략들을 이해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공공기술창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Impact of Public Technology Startup)

  • 전지은;윤정섭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2호
    • /
    • pp.87-115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 및 출연연의 기술 기반 창업(공공기술창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매출 및 고용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공기술창업 정부지원 및 민간투자, 매출, 고용의 실태가 열악하여 통계적으로 일반화하기는 어려웠지만, 이들 중에서 고성장기업(매출 및 고용이 모두 높은 기업), 잠재적 성장 기업(매출 또는 고용 중 하나가 높은 기업), 이외의 기업(모두 수준이 낮은 열악한 기업)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공공기술창업의 정부지원 및 민간투자유치, 매출 및 고용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각 요소가 효과를 발휘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추정하기 위하여 작은 규모의 공공기술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패널 벡터자기회귀모형(Panel VAR)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공기술창업 기업의 성과창출 매커니즘은 정부지원/민간투자와 같은 외부 투자는 고용과 상호 인과하는 반면, 매출은 고용을 인과하지 않고, 고용이 매출을 인과하였다(정부지원 및 민간투자 ⇄ 고용 → 매출). 즉, 고용이 공공기술창업에 있어 성과를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간투자가 정부지원보다 고용과 매출을 단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고용이 우수한 기업이 정부지원 및 민간투자를 유치할 수 있다는 점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술적으로는 기존 연구가 성과에 영향이 있는지를 보이는 것에 그쳤던 점을 성과창출의 과정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정부는 인재지원과 같은 '고용' 요소를 보다 중요하게 고려하여 효과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정책적 기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