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breast milk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7초

영양학 연구의 생택학적 접근 (An Ecological Approach to Nutritional Research)

  • 문수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1호
    • /
    • pp.98-111
    • /
    • 2001
  • The article demonstrates a method of studying human health and nutrition by applying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examines how humans developed and survived by adjusting to their environment. This process involves physiological, cultural and genetic adaptation both independently and interactively. This study postulates that a sound human health may be the result of balance between nutri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t is not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laria and fava bean intake, and sickle cell anemia and cassava intake.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disease structure in soybean and non-soybean consumption cultures can be explained by an ecological approach to studying nutrition. This study further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and socio-cultural system. epidmiological study of nutrition and cultural environment nutrition and conceptual characteristics, nutrition and food intake pattern, nutrition and health sociological functions and the physioloical, cultural and genetic adaptation can all be stimulating research subjects to be studied form and ecological point of view. This article also includes the results from a series of ecological studies conducted by the auth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breast-feeding mothers and the composition of the human milk and also the Vitamin D status of Korean and their lifestyle. (Korean J Nutrition 34(1):98-111, 2001)

  • PDF

한국인 수유부의 수유초기 이행유의 모유성분 분석과 영아의 섭취량 추정 연구 (Studies of nutrient composition of transitional human milk and estimated intake of nutrients by breast-fed infants in Korean mothers)

  • 최윤경;김나영;김지명;조미숙;강봉수;김유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6호
    • /
    • pp.476-487
    • /
    • 2015
  • 본 연구는 분만 후 5일에서 15일 사이에 분비되는 이행유의 성분을 분석하여 모유의 전반적인 영양소의 함량을 측정하고, 모유영양아의 하루 섭취량을 추정하여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함으로써 국내 모유영양아의 영양 섭취의 적절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정상 만삭아를 출산하고 서울경기 지역 소재 산후조리원에서 회복중인 100명의 산모들이었다. 이들은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참여 동의한 뒤 개인의 특성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고 모유 샘플을 제공하였다. 수유부들의 나이는 평균 $32.01{\pm}4.08$세였고, 신장은 평균 $161.93{\pm}4.79cm$, 만삭 체중은 $65.92{\pm}8.10kg$이었다. 모유 성분 분석 결과 모유 내 에너지 농도는 $59.99{\pm}8.01kcal/dL$, 단백질의 농도는 $1.47{\pm}0.27g/dL$, 지방의 농도는 $2.88{\pm}0.89g/dL$, 탄수화물의 농도는 $6.72{\pm}0.22g/dL$이었다. 지방산의 경우 ${\omega}-6$ 계열의 리놀레산과 아라키돈산의 모유 속 농도는 각각 $181.44{\pm}96.41mg/dL$, $28.15{\pm}8.89mg/dL$이었고, ${\omega}-3$ 계열의 리놀렌산, DHA의 모유 속 농도는 각각 $5.67{\pm}1.86mg/dL$, $5.74{\pm}2.57mg/dL$ 로 나타났다. 모유 속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의 농도는 각각 $28.95{\pm}17.50{\mu}g/L$, $23.09{\pm}11.16ng/mL$, $7.37{\pm}15.43mg/L$이었으며, 비타민 C,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비타민 $B_{12}$, 그리고 엽산의 모유 속 농도는 $30.22{\pm}18.43mg/L$, $75.14{\pm}209.61{\mu}g/L$, $617.82{\pm}267.79{\mu}g/L$, $637.74{\pm}271.92pg/mL$, $5.16{\pm}2.58ng/mL$이었다. 무기질 중 칼슘의 모유 속 농도는 $20.71{\pm}3.34mg/dL$, 철의 모유 속 농도는 $5.86{\pm}8.61mg/L$, 칼륨의 모유 속 농도는 $66.71{\pm}10.35mg/dL$, 나트륨의 모유 속 농도는 $27.72{\pm}10.16mg/dL$이었으며, 아연과 구리는 모유 속에 각 $0.44{\pm}0.41mg/dL$, $70.48{\pm}30.41{\mu}g/dL$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었다. 면역성분인 IgA의 모유 속 농도는 $61.85{\pm}31.97mg/dL$, total IgE의 모유 속 농도는 $2.35{\pm}0.93IU/mL$이었다. 영아의 하루 섭취량을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에너지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B_1$, 엽산, 칼슘의 하루 섭취 추정량은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충분섭취량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단백질,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B_2$, 비타민 $B_{12}$, 철, 칼륨, 나트륨, 아연, 구리 등은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충분 섭취량을 충족하였다. 대부분의 영양소는 추정 섭취량이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하여 대체적으로 비슷하였으나 비타민 $B_1$, 엽산, 칼슘, 비타민 D, 구리 등의 영양소는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모유의 영양성분과 관련 있는 요소를 파악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한국인 모유의 성분함량과 섭취량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는 모유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 영아의 성장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유기간에 따른 모유 중 Indicator PCBs 분석을 통한 영유아의 인체노출평가 (Estimation of Indicator PCBs Exposure in Infants via Breast-Feeding Period)

  • 위성욱;윤조희;민병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5
    • /
    • 2012
  • Indicator PCB의 농도 수준은 2006년에 세계보건기구(WHO) 프로토콜에 따라 수집된 132개의 모유(초유, 출산 후 30일째 모유, 출산 후 60일째 모유)로 분석하였다. Indicator PCBs의 농도는 고분해능 가스크로마토그래피/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동위원소희석법으로 측정되었으며, 이 방법은 국제적 경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정확하고 정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모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균일일섭취량(ADIs)이 계산되었다. 총 indicator PCBs의 중앙값은 14 ng/g lipid로, 다른 나라에서 검출된 농도보다 현저하게 낮았으며, PCBs 138, 153, 180은 분석한 지표 이성질체 합의 약 65%를 차지하였다. 가장 기여율이 높은 PCB 153은 총 indicator PCBs 농도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PCBs 농도는 산모의 아이수가 증가할수록 확연히 감소하였고, 산모의 PCBs 축적과 배출에 있어 출산경력과 수유기간은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6개월 모유수유 기간 동안 총 indicator PCBs의 평균일일섭취량의 중앙값은 $0.077{\mu}g/kg{\cdot}bw/day$이었다. 초산부 모유 중 PCB 118의 농도는 1998년에 비해 25~35% 정도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지속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인 모유 및 어패류 중 PBDEs 잔류 레벨 모니터링 (Monitoring of residue PBDEs level in human milk and fish & shellfish samples collected from Korea)

  • 장명수;차수진;강윤석;박종세
    • 분석과학
    • /
    • 제19권3호
    • /
    • pp.244-254
    • /
    • 2006
  • 난연제는 불길이 확산하거나 초기에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난연제로 사용하는 이중 브롬계 난연제인 PBDEs는 갑상선 호르몬 붕괴와 내분비계 교란을 유발하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PBDEs의 분석을 위한 적절한 전처리 방법을 제안하였고, 어류와 패류 포함 총 8종과 서울과 제주 모유 각 20개를 대상으로 BDE-28, 47, 99, 100, 153, 154 및 183의 인체 내 축적 수준을 조사하였다. PBDEs 분석을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는 어패류의 경우 알칼리 분해 추출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층 실리카겔 컬럼 정제는 50 mL의 헥산을 이용하여 방해물질을 제거한후, 100 mL의 헥산:디클로로메탄(9:1)로 용출시키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활성탄 정제 과정은 100 mL의 헥산:디클로로메탄(3:1)으로 용출시키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패류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광어는 습식 중량 기준 890 pg/g이 검출되어, 시료 중 가장 높은 PBDEs 축적 정도를 보였다. 생태는 40 pg/g이 검출되어 시료 중 PBDEs의 축적 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유 시료에서는 서울과 제주 지역에서 지방 중량 기준 2,580 및 3,600 pg/g이 검출되었으며, BDE-153과 183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재산과 초산의 경우 3,200 및 3,000 pg/g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어패류 및 인체시료에서의 PBDEs 축적 정도를 파악한 결과, 외국에서 보고한 농도에 비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etracycline으로 발현이 유도되는 Retrovirus Vector System을 이용한 Human Lactadherin 유전자의 전이와 발현 (Inducible Expression of the Lactadherin Gene with a Reverse Tetracycline-Regulated Retroviral Vector System)

  • 이용석;오훈규;권모선;박창식;김태완;박재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9-268
    • /
    • 2003
  • 모유에 존재하는 유지방구의 막을 구성하는 주된 당단백질인 하나인 lactadherin(과거에는 BA46로 일컬어짐)은 rotavirus에 의한 감염증상을 예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etrovirus vector system을 이용하여 Chinese Hamster Ovary (CHO) 세포에 tetracycline에 의해 발현이 제어되는 promoter 하의 lactadherin 유전자를 전이 시킨 후 lactadherin이 tetracycline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지의 여부를 실험하였다. 먼저 기초 실험으로 대장균의 LacZ 유전자를 이용하여 tetracycline에 의한 유도 여부를 시험하였다. RevTet-On과 RevTRE-LacZ retrovirus를 동시감염시킨 NIH3T3는 doxycycline (tetracycline 유도체)에 의해 투여량에 비례하여 반응정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최대의 반응은 doxycycline 농도가 1 $\mu\textrm{g}$/ml 이상에서부터 관찰되었다. 이 예비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RevTet-On과 RevTRE-Ltd retrovirus vectyor를 이용하여 사람의 lactadherin 유전자의 유도적 발현을 검정하였는데 CHO 세포에서 lactadherin 유전자의 유도적 발현을 RT-PCR 기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표적세포 내에서 외부에서 도입된 유전자가 지속적으로 발현될 경우 심각한 생리적 부작용을 야기시킨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본 실험의 결과는 유전자 치료와 형질전환동물의 생산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푸코실락토오스의 자가포식을 통한 멜라닌 감소 연구 (A Study on Melanin Reduction through Autophagy by 2'-Fucosyllactose)

  • 정소영;유한준;허효진;이소민;;차병선;;이상훈;빈범호;이미기;곽병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05-112
    • /
    • 2022
  • 2'-fucosyllactose (2'-FL)는 사람의 모유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올리고당(human milk oligosaccharides, HMOs)으로, 장내 유용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알레르기,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것에 도움을 준다. 다양한 긍정적 기능을 가진 2'-FL의 미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통해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 및 자가포식 유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인간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로 알려진 MNT-1 세포에서 독성 실험을 진행하여 40 g/L 이하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동일 세포에서 20 g/L 농도로 7 일간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 40% 멜라닌 생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멜라닌 생성 관련 인자 TYR 및 TYRP1의 단백질 발현량을 western blot 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FL 처리는 이들을 감소시켰으며, 더불어 자가포식 표지자인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LC3)의 형태가 LC3-I에서 LC3-𝚷로 변환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초점 현미경을 통해 2'-FL 처리에 따른 LC3 puncta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2'-FL로 활성화된 자가포식이 TYR 및 TYRP1 단백질 발현량을 저해시킴으로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시사된다. 결론적으로 2'-FL은 자가포식을 유도하여 멜라닌 생성이 억제됨이 확인되어 미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기대된다.

Positive Effect of Baby-Friendly Hospital Initiatives on Improving Mothers' Intention for Successful Breastfeeding in Korea

  • Park, Hyun Woo;Ryu, Keun Ho;Piao, Yongjun;Li, Peipei;Hong, Jae Shik;Kim, Hee Bum;Chung, Hwanwook;Hoh, Jeong-Kyu;Kim, Yong Joo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3호
    • /
    • pp.272.1-272.12
    • /
    • 2018
  • Background: In Korea, the breastfeeding (BF) rate of infants aged 6 months or more is drastically decreasing, and this phenomenon is particularly worrisome for the future health of the population.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an antenatal strategy for initiation and continuation of human BF, and to identify how Baby-Friendly Hospitals (BFHs) may positively influence the intention to breastfeed. Methods: A total of 414 pregnant Korean antenatal women were surveyed using questionnaires to determine current knowledge of the benefits of human breast milk, whether they planned to breastfeed after delivery, to continue BF after reinstatement in the workforce, are willing to abide by rooming-in care for infants, and plan to give birth at BFHs. Results: We found that planning room-in care, greater awareness of BF benefits for infant and mother, participation in antenatal education programs, and provision of BF facilities in the workplac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lans for exclusive breastfeeding (EBF) and longer BF duration. The mothers who planned to give birth at BFHs also desired to breastfeed immediately after birth, implement in-room care, continue BF at their workplace, participate in antenatal BF educational programs, and were more aware of the benefits of BF. Conclusion: If the beneficial effects of BFHs were well known to individuals, these would enhance the success rate of BF in Korea. Antenatal education and consequent acquisition of better knowledge of the benefits of BF are important for increasing the rate of BF practices.

A Simple Enzymatic Method for Quantitation of 2'-Fucosyllactose

  • Seydametova, Emine;Shin, Jonghyeok;Yu, Jiwon;Kweon, Dae-Hy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7호
    • /
    • pp.1141-1146
    • /
    • 2018
  • 2'-Fucosyllactose (2'-F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human milk oligosaccharides and has several health benefits for infants. The levels of 2'-FL in breast milk or samples from other sources can be quantifi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owever, this method cannot be used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the target compound in numerous samples. Here, we developed a simple method for quantifying 2'-FL in a microplate format. The method involves two steps: (i) release of $\text\tiny{L}$-fucose from 2'-FL by ${\alpha}$-(1-2,3,4,6)-$\text\tiny{L}$-fucosidase and (ii) measurement of NADPH formed during the oxidation of $\text\tiny{L}$-fucose by $\text\tiny{L}$-fucose dehydrogenase. This method enables measurement of up to 5 g/l 2'-FL in 50 min using a 96-well microplate. The efficiency and simplicity of the proposed method make it suitable for the analyses of a large number of samples simultaneously.

모유 섭취 신생아 유래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의한 발효유 내 중미형성 (Production of Flavor Compounds in Fermented Milk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Isolated from Breast-Fed Infants)

  • 박정규;송원호;홍성문;김철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96-603
    • /
    • 2008
  • 이 연구는 모유를 섭취하고 있는 생후 7일 이내의 신생아로부터 분리 및 선발된 9종의 L. acidophilus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유의 풍미성분의 확인을 통해 상업적 발효유제조 시 사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 균주에 의한 유리아미노산의 생성은 전반적으로 arginine 및 histidine과 같은 쓴맛을 내는 유리아미노산의 생성량이 높았으며, 유기산은 lactic acid의 경우 전 처리구에서 다른 유기산에 비해 높게 생성되었고, 전체적인 유기산 생성량은 L. acidophilus NB 209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또한 acetaldehyde의 함량이 다른 휘발성 향미성분에 비해 높게 생성되었으며 L. acidophilus NB 209에 의한 acetaldehyde 생성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험 균주로 발효유를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맛과 향미는 L. acidophilus NB 209로 제조된 발효유에 대한 기호도가 다른 처리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조직감은 다른 시험 균주에 비해 조금 낮게 나타났고, 상업적 발효유 제조에 사용 중인 L. acidophilus 145에 비해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L. acidophilus NB 209의 제품 적용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업적인 이용을 위해 향후 최적배양조건 선정 실험을 통한 관능성의 개선 관련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Potential health effects of emerging environmental contaminants perfluoroalkyl compounds

  • Lee, Youn Ju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156-164
    • /
    • 2018
  • Environmental contaminants are one of the important causal factors for development of various human diseases. In particular, the perinatal period is highly vulnerable to environmental toxicants and resultant dysregulation of fetal development can cause detrimental health outcomes potentially affecting life-long health. Perfluoroalkyl compounds (PFCs), emerging environmental pollutants, are man-made organic molecules, which are widely used in diverse industries and consumer products. PFCs are non-degradable and bioaccumulate in the environment. Importantly, PFCs can be found in cord blood and breast milk as well as in the general population. Due to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otential toxicity, many studies have evaluated the health effects of PFCs. This review summarizes the epidemiolog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addressing the association of PFCs with neurotoxicity and immunotoxicity. While the relationships between PFC levels and changes in neural and immune health are not yet conclusive, accumulative studies provide evidence for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PFC levels and the incidenc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reduced immune response to vaccination both in children and adults. In conclusion, PFCs have the potential to affect human health linked with neurological disorders and immunosuppressive responses. However, our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effects of PFCs on human health is still in its infancy. Therefore, along with efforts to develop methods to reduce exposure to PFCs, studies on the mode of action of these chemicals are required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