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Welfare

검색결과 1,299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의 아동복지 정책 분석 -아동상담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child counseling services of child welfare policy in Korea)

  • 하승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465-47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n child counseling services of child welfare policy in Korea. Furthermore the results of analytic research were done to serve as the basic data for guidance and policy of Korean child welfare in future. The analytic data of this study were used from yearbook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199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ublic of Korea. The main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47 guidance centers for children in Korea, and public guidance centers were 9, and private 38. 2. There were much more guidance centers in Holt Children's Services than in any other centers. 3. In terms of the occurrence of the cases, common children were about 40%, and juvenile delinquents, the scum of the street, and runaway children were from 17 to 20% of the total cases. In conclusion,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should provide various counseling services for the children. The data are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implication of child welfare policy for attaining counseling services.

  • PDF

김덕준(金德俊)의 사회복지 사상과 사회복지 교육 실천원리를 통해 본 현재의 한국 사회복지 교육 (Examining Present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Ideology & Social Welfare Education Practice Theory of Deok Joon Kim)

  • 이준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96-51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복지 교육의 선구자이면서 한국 최초의 사회복지 독립학과를 설립한 김덕준(1919-1992)의 사회복지 사상과 사회복지 교육의 실천원리를 고찰하는 데에 있다. 김덕준의 생애와 사회복지와 관련된 행적 그리고 그의 사회복지 사상과 사회복지 교육의 실천원리를 살펴본 결과, 첫째, 샬롬의 정신, 둘째, 인간의 존엄성, 셋째, 십자가 사랑, 넷째, 사회정의, 다섯째, 경천애인, 여섯째, 이웃 사랑의 관계성으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김덕준의 사회복지 사상과 사회복지 교육의 실천원리는 현재 한국의 사회복지 교육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치적이며 이념적인 사회복지사 양성의 본질적인 목적과 목표를 재정립할 수 있는 통찰들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한국의 사회복지 교육에 적용하면, 사회복지사의 정의와 자세, 역할, 기능에 대한 내용으로 정리될 수 있다.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인식한 방임과 학대, 자아존중감, 그리고 인권의식의 경로분석연구 (Path analysis on child abuse and neglect, self-esteem,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

  • 김용회;한창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8호
    • /
    • pp.141-170
    • /
    • 2017
  •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아동에 대한 방임 및 학대와 같은 아동인권침해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저소득 빈곤가정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인식한 부모의 방임과 학대가 아동의 인권의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그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중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2015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5학년(2기 패널) 총 63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임과 학대는 각각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자아존중감은 방임과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학대와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인권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인권친화적 양육환경 조성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생활과학대학 중심의 노인생활복지 연계전공 프로그램 개발 (Developing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for the Aged Living Welfare in College of Home Economics)

  • 김영희;박경옥;이희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19-43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develop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for the aged living welfare in College of Home Economics. This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of gerontology curriculum in Korea, Japan, and America, and survey research with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in the welfare institutes for the elderly in Korea. Moreover,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for the aged living welfare was designed based on the professional role of elderly care and the scope of educational context which were identified. Particular note was that this program could be most effectively implemented in the College of Home Economics.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ere highlighted.

  • PDF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인식 (Family Care-givers' Perceptions of Welfare Facility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 조명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mily care-givers' perceptions of welfare facility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to analyze the related variables, and to provide the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The survey was done using questionnaires in 1999, and the subjects were 198 primary care-givers for senile dementia patients. Frequency distribution, mean,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amily care-givers' perceptions of the welfare facility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was relatively low. The variables associated were sex,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relationship with the demented elderly. The conclusion suggested from this study was that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ervices were necessary for both the demented elderly people themselve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 PDF

웰빙식생활에 대한 소비자인식과 웰빙지향 소비자행동 -기혼여성 소비자의 구매, 사용, 처분행동을 중심으로 (Consumer consciousness toward well-being and well-being oriented consumer behaviors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 -Focused on purchasing, using, and disposal behavior of married women-)

  • 전향란;제미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957-967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sub-factors of consumer consciousness toward well-being and to identify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well-being oriented consumer behaviors in the area of dietary life of married women. 579 married women were surveyed by internet portal site azoomma.com. The collected data were treated with the SPSS Windows 12.0 program and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 1. Consumer consciousness toward well-being has four sub-factors; pro-environmental attitude, personal and family health, means of business, and consciousness regarding others. 2.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erns of information, price level, consciousness of personal and family health, health status, educational level explained the purchasing behavior about 25.7%. On the other hand, health status, pro-environmental attitude, consciousness of personal and family health, consciousness regarding others, and concerns of information explanined the using behaviors about 17.0%. Pro-environmental attitude, health status, consciousness of personal and family health, consciousness regarding others, and status of employment were effective variables, and explained the disposal behavior about 19.5%.

교회 사회복지시설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Church)

  • 전명현;소준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호
    • /
    • pp.111-116
    • /
    • 1997
  • For the purpose of easy approach, social welfare facilities that have close relation to local society establish welfare facilities, as schools, religious faciliteis, town-block offices, libraries, etc. Especially the church neighboring the region can use regional resources in human power, facilities, financial power. 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and sort of religious facilities and regional connection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es plan through the case study of social welfare faciliteis performing public welfare work, attached to church.

  • PDF

보건의료복지 네트워크를 통한 통합적 지원에 관한 질적 연구 - 서울특별시 북부병원 301네트워크 사업 이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 (Qualitative Research on Integrated Support Through Health, Medical and Welfare Network - Based on the Experience of 301 Network Service Users in Seoul Northern Municipal Hospital -)

  • 하지선;김정현;임정현;김정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2호
    • /
    • pp.143-169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북부병원 301 네트워크 사업에 참여한 이용자들의 경험을 통해, '보건-의료-복지' 네트워크를 통한 통합적 지원의 의미와 운영의 구체적인 맥락을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일반적 질적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총 10명의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면접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주제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용자들은 301 네트워크 서비스 참여 이전 가난과 질병의 악순환으로 삶의 의지를 상실하였으나, 서비스 참여를 통해 '치료-케어-생활안정'의 통합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종국에 그들의 삶의 의지가 재생성되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의 기저에는 다전문직의 팀의 구성, 병원 내외의 연계 체계의 구축, 치료 지원금 확보를 통한 치료연계 체계 구축, 조정 수준의 자원연계 등의 운영전략과 조건이 작동되고 있었다. 연계의 전략과 조건이 잘 갖추어진 '보건의료복지'의 통합 지원의 시도는 우리나라 보건복지 지원 체계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기에 관련 사업의 확장을 주장하였으며, 이를 위해 연계체계의 더욱 공고한 안정화와 제도적 측면의 개선을 제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