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Resource Policy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의 산.학 e-Learning 운영 실태 분석을 통한 중국에서의 e-Learning 발전 전략 (Strategies for e-Learning development in China through the analysis of e-Learning adminstration status in Korean Industry-Academia e-Learning cooperation)

  • 윤자룡;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86-303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산.학 e-Learning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중국에서의 e-Learning 운영을 위한 발전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주로 문화 기술적 연구 방법인 문헌 조사법, 전문가 상담법과 자료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정책적 경험을 거울삼아, 중국 정부가 기업 e-Learning에 관련된 정책 (기업 e-Learning 제도, LMS, 표준화, 품질 보장 등)을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하여야 하며 국제 교류와 합작 등은 중국의 기업e -Learning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한국의 e-Learning은 LMS의 표준화 및 콘텐츠 개발 등과 같이 실제적인 발전을 중시하여 좋은 효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e-Learning은 외형적인 관리제도만을 중시하였다. 따라서 e-Learning의 확대일로 시점에 있는 중국은 한국 사례를 통해 LMS의 표준화 및 콘텐츠의 질 관리 등과 같이 실제적인 발전 전략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한국의 WBI, LMS, 팀워크 등의 학습 방법을 중국 e-Learning에 도입하면 개별화 학습과 협동학습이 적절히 혼합하여 발전할 수 있을 것이고 Blended Learning 등의 학습 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원자력 기술혁신에 대한 고찰: 4세대 원자력 에너지기술 전환 이슈를 중심으로 (Understanding the Nuclear Technological Innovation: Focussing on the Transition Issue of 4th Generation Nuclear Energy Technology)

  • 박시훈;정선양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4호
    • /
    • pp.221-248
    • /
    • 2016
  • 본 연구는 원자력기술의 혁신특성을 심층조사 함으로써 4세대 원자력에너지기술의 전환 시 발생 가능한 이슈를 이해하고 한국의 정책현황을 분석하여 4세대 원자력에너지기술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는 현재 세계 5강의 원자력에너지기술 강국인 한국에서 4세대 원자력에너지기술의 도래에도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적인 시사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정성적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원자력기술혁신에 관한 문헌들을 조사한 결과, 4세대 원자력 에너지기술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4가지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장기간의 안정적인 자원 할당, 혁신을 위한 이해당사자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완전한 시스템을 위한 기술과 노하우의 축적, 적용 및 실증을 위한 정책적인 시장이었다. 이를 한국의 4세대 원자력에너지기술과 연관한 정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한 결과, 현재 4세대 기술이 기술개발의 초기단계에서 실증단계로 넘어가는 시점임을 감안하더라도 연관한 정책은 실증과 운영을 위한 전문인력의 체계적인 양성 방안, 사회적 수용성과 저항에 대한 대응, 실증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 수립, 4세대 원자력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정책적인 시장을 제안하는 장기적인 노력, 이해당사자들 간의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적극 장려하는 것이 체계적으로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임금피크제 정착 방안에 대한 연구: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Settlement of Reduced Salary peak program in Korea: Focusing on Comparison with Japan)

  • 김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24-234
    • /
    • 2017
  •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임금피크제 도입 상황과 운영 방식, 실상에 대해 비교 고찰하고, 그를 통해 한국 임금피크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과 일본은 임금피크제를 비슷한 시기에 도입했지만, 제도에 대한 인식과 법적 제도적 차이 등으로 인해 상이하게 운영되었다. 일본은 고령화 문제를 국가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정부, 기업, 근로자들이 협력해서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를 도입하였다. 이 과정에서 충분한 준비와 효율성 제고 노력, 즉 고령 인력의 합리적 재배치와 활용, 고령에 적합한 업무 개발 등을 통해 기업과 근로자 모두가 만족하는 제도를 정착시켰다. 반면 한국에서는 명예퇴직이 빈번하던 시점에서 근로자는 정년 보장을 원하고, 기업은 인건비를 절감하려는 상이한 목적 하에, 법적 제도적 지원이나 안전장치도 없고 준비도 불충분한 채, 정년보장형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결과, 많은 불만족과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이를 해결하면서 임금피크제를 보다 합리적으로 발달시키려면 정부, 기업, 근로자들이 협력하여 내용적, 제도적 효율성을 개선해야 한다. 이를 위해 (1)정년 연장제의 비중을 단계적으로 늘려가는 방안, (2)다양한 고용 형태, 유연 근무제, 고령 인력에 최적화된 직무 개발 방안, (3)고령 인력에 특화된 교육 훈련 프로그램 제공과 전직, 이직, 창업 지원 강화, (4)정년 후 재고용 확대, 숙련된 업무 노하우 활용 방안 모색, (5)고령 인력에 대한 업적 평가와 성과급 지급을 통해 업무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안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같은 개선 작업을 통해 기업과 근로자가 상생하고, 사회적으로는 고용 안정화 및 노동 시장 유연성 제고 등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대학평가정책에 따른 학과의 대응 -A대학교 기독교교육과 사례를 중심으로- (Actions of the Department in Context of Higher Education Evaluation Policy -A Case on the Christian Education of A University-)

  • 장화선;송윤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53-160
    • /
    • 2018
  • 본 연구는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의 과정 중에 대학 평가정책에 따른 학과의 대응을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평가정책의 배경, 대학구조개혁평가, 대학기본역량진단을 살펴보고 학과의 대응으로 특성화, 교육과정, 수업의 질관리, 교육성과, 학생지원, 지역사회의 협력 및 기여를 논의한다. 학과의 특성화는 교육목적, 인재상, 교육목표 및 핵심역량과 관련 있고 교육과정은 학생들에게 진로 트랙을 제시하고 자신의 진로와 연계하여 강좌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수업의 질 관리는 A대학교의 학사지원과, 교육품질관리센터, 교육역량강화센터와 연계한 강의관리시스템으로 연계되어 있고 학과의 교육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입생 충원율과 재학생 충원율을 높이고 중도탈락율을 낮추도록 적극적인 학업지도 및 상담의 실시하고 있다. 학생지원은 A 대학교 학교 차원의 비교과 프로그램과 학과차원의 비교과프로그램, 학업 진로 취업지도 및 상담, 학생역량관리 등이 있다. 지역사회 협력 및 기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안양시 및 기타 지역의 교육기관인 유치원, 초 중 고등학교에서 60시간 교육봉사, 지역학교 행사의 지원 봉사, 교사 초청 세미나 등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교육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의공기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Biomedical Engineer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in Korea)

  • 이현성;이윤환;이순영;박재범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9-88
    • /
    • 2010
  •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hospital with innovation and human resource practices is a matter of grave concern because hospitals are becoming bigger and more specialized. Biomedical engineers who manage medical machineries and tools used to deliver healthcare services in a hospital setting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customers good quality services. Maintaining job satisfaction of biomedical engineers is, thus, important in the delivery of quality care. This i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aiming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biomedical engineer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biomedical engineers at 79 general hospitals of 26 regions based on the registry of the Korea Medical Engineering Association (KME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d questionnaire between May and July of 2009. Job satisfaction was assessed with 19 items covering 3 dimensions of work-external, work-internal, and organizational aspects (Cronbach's ${\alpha}=0.884$), resulting in an average summary scor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for Windows version 15.0. The mean score of job satisfaction was 3.50 (${\pm}0.0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health status, job position, duration of work as a biomedical engineer, years in the current workplace, difficulty at work, intent to change job, and the amount of support from superiors and colleague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biomedical engineers were salary, health status, and support of superiors and colleagues ($r^2=0.512$). Effective motivation-plans, taking into accoun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hospital, may help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biomedical engineers.

재무지표를 이용한 병원경영성과 유형화 방안 (The applicability of financial indices as a measure of managerial performance of general hospitals)

  • 류규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1-210
    • /
    • 1996
  • This study purported to acquire information necessary to improv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general hospitals. It tried to determine major indices which represent managerial performance of general hospitals and to identify the manageri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hospital which affect the major financial indices. 201 hospitals which were subject to standardization audit by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were investigated and 80 hospitals were finally chosen for this study. Their financial and managerial data during the period between January 1991 and December 1991 were collected. Considering financial indices in this study were the ration of net income to total asset, income growth rate, and quick ration.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ration of net income to total assets and quick ration were highly related to manageri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hospitals. Therefore, the standardization of three financial indices should be needed to systematically check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general hospitals. Second, the sample hospitals can be classified as four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financial indices' level. 4 of those hospitals(5.0%) showed high level of performance in terms of three financial indices and 27 of them(33.7%) showed that they are highly related to only two financial indices. 34 hospitals(42.5%) showed they have high level of relationship with only one indices and 15 hospitals(18.8%) showed very weak performance level with three indices. In addition, there is no hospitals to show mid-range level of managerial performance in relation to all three financial indices.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ree financial indices and the managerial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such as the number of beds, type of operation, location of hospitals, and etc. However, in the case of hospitals which have high level of managerial performance, they have more specialists and medical support personnel in comparison to low performance hospitals. They also have high level of bed occupancy rate and average length of stay(ALOS).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e standardization of 3 financial indices are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managerial performance of general hospitals and provide more accurate operational information for each hospital. To do so, it is necessary to focus on management side of hospital such as the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quality enhancement of medical treatment.

  • PDF

연구인력 고용보조금 지원과 R&D자금 출연 지원의 효과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Employment Subsidy for R&D Personnel and R&D Subsidy)

  • 노민선;김석필;이기종
    • 기술혁신연구
    • /
    • 제21권3호
    • /
    • pp.73-94
    • /
    • 2013
  • 심화되고 있는 중소기업의 인력부족 현상은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저하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중소기업의 연구인력 채용시 인건비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을 정책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현재 연구인력에 대한 인건비 지원사업은 채용한 인력의 인건비 일부를 지원하는 선채용 후지원 방식과 정부 R&D사업 수행 중 채용한 인력에 대해 인건비를 지원하는 선지원 후채용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원방식에 따른 두 지원사업의 효과성을 매출액, 종업원 수, 연구개발비, 연구원 수, 석 박사 연구원 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석 박사 연구인력 고용에 있어서 고용보조금 지원사업이 R&D자금 출연 지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지역별로는 비수도권,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효과가 수도권, 비제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용보조금 지원사업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네팔의 건강증진 (HEALTH PROMOTION IN NEPAL)

  • Chhetri, M.K.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1999년도 3rd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149-163
    • /
    • 1999
  • 네팔의 보건부산하 보건서비스부서에서는 5개년계획을 게우고 있으며, 지방에서 기본적인 보건의료서비스제공을 위한 주요 전략으로 일차보건의료사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자유화 정책(Liberation policy)으로 인해 도시지역의 전문화된 서비스 개발, 인간자원 개발, 경영강화와 민간 및 대외 투자 등이 활발해졌다. 그러나 네팔은 아직도 높은 출산력, 영양결핍, 전염병, 높은 사망률 등을 겪고 있는 데 이는 조기결혼, 미신적인 전통신앙과 행동, 비위생적 생활, 빈곤, 문명, 감독과 모니터링의 결핍, 높은 인구밀도, 민간 및 대외활동에 더 많이 투자해야 하고; 인력개발 및 전문화된 서비스가 관리되어야 하며; 경영기술이 강화되고 이전사업의 평가를 통해 향후 사업수행상의 오류를 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것들이 개선된다면 네필주민의 건강목표는 달성될 것이다.

  • PDF

국방분야 품질정책 고도화를 위한 군수품 생산업체 품질경영수준 조사 및 분석 (A Survey and Analysis of Defense Industry Quality Management Level for Advancement of Defense Quality Policy)

  • 노태주;서상원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8-26
    • /
    • 2017
  • Defense industries which require high reliability need an optimized quality management system with well-planned implementation. And the government should examine the overall status of defense industries, then establish practical policies with a proper support plan in required areas to upgrade the quality management level of manufacturers. Thus, DTaQ developed the model for 2 years from 2014, which specialized in quality management level analysis for defense industries. And a survey has been undertaken with that model by DTaQ and Korea Research Center in 2016. The surveyed companies randomly sampled among those which have more than 30 employees and delivery history over past 3 years, and finally 106 defense industries were selected. This paper present survey method and indexes for survey of defense industry quality management level.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planning, data collection and data processing,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were verified to increase objectivity of survey results. The survey contents mainly consist of system quality and management quality. System quality includes Product Development Management, Production Operation Management, supply chain quality management, Safety & Environment Management and Reliability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management quality includes Strategic Leadership, Human Resource Management, Customer Market Management and Information & Knowledge Management. Thus this proposes the current overall quality management status of the 106 defense industries and shows level differences by company sizes and manufacturing sectors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Specifically, this paper enables to track the areas which need prompt government support with the policy directions to make quality management level higher.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in establishing quality policies for military supplies in the future.

한국 전문간호사제도의 현황과 활성화 전략 (Current Status and Vitalizing Strategie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 설미이;신용애;임경춘;임초선;최정화;정재심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37-4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current statu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PN) and to suggest ways for activating APN roles in Korea. Methods: We reviewed literatures to explo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related to the roles, practice settings, scope of practice, regulatory policies, and political environment of APN. Results: Interest in the APN role has been gaining ground worldwide. While the roles of APN in the USA, Taiwan and Japan have been changed in terms of legislation and institutional regulations, the role of APN in 12 fields except for APN in home care has not been legislated since qualification was specified in Korean Medical Law. Many problems were found in vitalizing APN roles: absence of legal regulations on the scope of practice or health insurance coverage for APN, increase the number of medical support staffs who are not qualified, and a disagreement regarding the qualification field and practical field.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snapshots and vitalizing strategies of practice, and regulation for APN to develop their unique roles in Korea. The tasks and duties of APN should be identified specifically to fulfill their roles. In term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policy APN's Nursing care should be reimbursed just as nursing care of APN in home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