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Biomedical Engineer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in Korea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의공기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 Lee, Hyun-Sung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Lee, Yun-Hw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
  • Lee, Soon-You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
  • Park, Jae-Beom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 이현성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의공파트) ;
  • 이윤환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순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재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교실)
  • Received : 2010.01.11
  • Accepted : 2010.06.1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hospital with innovation and human resource practices is a matter of grave concern because hospitals are becoming bigger and more specialized. Biomedical engineers who manage medical machineries and tools used to deliver healthcare services in a hospital setting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customers good quality services. Maintaining job satisfaction of biomedical engineers is, thus, important in the delivery of quality care. This i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aiming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biomedical engineer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biomedical engineers at 79 general hospitals of 26 regions based on the registry of the Korea Medical Engineering Association (KME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d questionnaire between May and July of 2009. Job satisfaction was assessed with 19 items covering 3 dimensions of work-external, work-internal, and organizational aspects (Cronbach's ${\alpha}=0.884$), resulting in an average summary scor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for Windows version 15.0. The mean score of job satisfaction was 3.50 (${\pm}0.0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health status, job position, duration of work as a biomedical engineer, years in the current workplace, difficulty at work, intent to change job, and the amount of support from superiors and colleague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biomedical engineers were salary, health status, and support of superiors and colleagues ($r^2=0.512$). Effective motivation-plans, taking into accoun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hospital, may help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biomedical engineers.

Keywords

References

  1. 강해신. 서울시내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과 직무만족 지식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 연세대학교 ; 1991.
  2. 강희정. 대학병원 직원 의료기사의 직무환경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대전 : 대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2002.
  3. 김준미. 임상병리사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석사학위논문]. 경남 :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 2004.
  4. 김창호, 손태용, 유승흠. 방사선사의 직무만족에 관련된 요인분석. 핵의학기술 1997 ; 2(1) ; 108-119.
  5. 김희권.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 광주·전남·전북 지역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전북 : 원광대학교 산업대학원 ; 1993.
  6. 김희연.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한양대학교 ; 1997.
  7. 문일봉. 일 광역시 방사선사의 직무만족도와 관련요인[석사학위논문]. 전남 : 전남대학교 ; 2006.
  8. 박순철.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직무만족도 평가분석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공무원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전남 :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1998.
  9. 박옥선. 언어치료사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석사학위논문]. 대구 :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 2004.
  10. 박은숙. 언어치료사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대구 :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 2006.
  11. 손화익. 병원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대구: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01.
  12. 신남철. 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 직무만족, 직무몰입과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연구[박사학위논문]. 경남 : 창원대학교 대학원 ; 2003.
  13. 유병주. 직무만족과 직무관련행동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 1983.
  14. 이가령. 치과위생사와 타의료기사간의 직무만족도 비교[석사학위논문]. 경북 : 경산대학교보건대학원 ; 2002.
  15. 이명희. 역할갈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의무복무중인 공군조종사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 국방대학원 ; 1997.
  16. 이상미. 간호사의 직무 특성과 개인의 성격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 1995 ; 25 : 790-806.
  17. 이주호. 서울시에 근무하는 치과기공사의 직무만족도[석사학위논문]. 서울 : 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 2005.
  18. 임지영. 동기위생요인이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005 ; 11(3) : 245-254.
  19. 장동일. 병원근무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대구 :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 2002.
  20. 전소연. 치위생사들의 의료기관 종별 직무 만족도 비교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 2003.
  21. 정봉재. 의료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대한 실증적 분석 : 마산시내 1,2차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남 :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 2001.
  22. 차호준. 종합병원 의료기술직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남 : 경상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 1999.
  23. 채정훈. 국내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석사학위논문]. 대구 :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 2006.
  24. 최연숙. 간병인의 직업의식 및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기 :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2005.
  25. 홍성애. 종합병원 행정인력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충북 :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0.
  26. Alderfer. Convergent Discriminant Validation of Satisfaction and Desire Measures by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67 ; 51(6) : 509-520. https://doi.org/10.1037/h0025101
  27. Ash, P. The SRA Employee Inventory A Statistical Analysis. Personnel Psychology 1954 ; 7 : 337-364. https://doi.org/10.1111/j.1744-6570.1954.tb01604.x
  28. Barber, G. Correlates of Job Satisfaction Among Human Service Worker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1986 ; 10(1) : 25-38. https://doi.org/10.1300/J147v10n01_04
  29. Blegen, M. A. Nurses job satisfaction : A meta-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Nursing Research 1993;42(1):42-48.
  30. Bridges, E. M. Job Satisfaction and absenteeism.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1980 ; 16(2) : 41-56. https://doi.org/10.1177/0013161X8001600206
  31. Fournet, G. P., Distefano, M. K., & W. P. Margaret. Job Satisfaction Issues and Problems. Personnel Psychology 1966 ; 19(2) : 165-183. https://doi.org/10.1111/j.1744-6570.1966.tb02026.x
  32. Friedlander. Underlying Sources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63 ; 47(4) : 246-250. https://doi.org/10.1037/h0041449
  33. Jurgenson. Job Preference(What Makes a Job Good or Bad?).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78 ; 63(3) : 267-276. https://doi.org/10.1037/0021-9010.63.3.267
  34. Meyer, J. P., & N. J. Allen. Testing the 'Side-Bet Theor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om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84 ; 69(3) : 372-378.
  35. Paula, L. S. Measu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 Medical care 1978 ; 16(4) : 337-352. https://doi.org/10.1097/00005650-197804000-00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