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Genome Project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초

리눅스 클러스터기반 유전자서열분석 병렬처리 모형 개발 및 성능 검증 (Liuux Cluster based Biological Sequence Parallel Processing Model Development and Efficiency Verification)

  • 박미화;김재우;박춘규;유승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A)
    • /
    • pp.106-108
    • /
    • 2003
  • Human Genome Project와 같은 대형 Sequencing 프로젝트와 High-throughput Sequencing 기술의 발전으로 현재 Expressed Sequence Tag (EST)와 같은 대량의 DNA 서열들이 생산되고 있다. 이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대부분의 실험자들이 서열 분석을 위해 우선적으로 BLAST 검색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량의 서열, 검색 DB의 크기, BLAST 검색 결과의 복잡성에 의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빠르고 정리된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BLAST 검색 시스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미국 생명공학연구소(NCBI)에서 제공하는 유전자 서열 검색 툴인 BLAST(Basic Logical Alignment Tool)를 클러스터 수퍼 컴퓨터 구축 기술을 기반으로 한 병렬처리와 Gene Ontology를 이용하여 방대한 양의 서열 검색 결과를 요약하는 모형을 제시한다. 이것은 신약개발 및 유전자 발굴 등의 연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신약 개 발, 농업, 화학, 의료, 환경 등 생명공학 연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성능 실험을 통하여 분석결과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병렬처리모형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스트링 B-트리를 이용한 염기 서열의 k-mer 분석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k-mer Analysis System for DNA Sequence Using String B-Tree)

  • 최정현;진희정;조환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A)
    • /
    • pp.748-750
    • /
    • 2001
  • 최근 Human Genome Project(HGP)에서 사람의 염기 서열의 초안이 발표되었다. 생물체의 염기 서열을 분석하는 방법은 매우 많은데, 그 중 하나가 k-mer 분석이다. k-mer는 유전자의 염기 서열내의 길이가 k인 연속된 염기 서열이다. k-mer 분석은 염기서열이 가진 k-mer들의 빈도의 분포나 대칭성 등을 탐색하는 것이다. 그런데 유전자의 염기 서열은 대용량 텍스트이고 k가 줄 때 기존의 온메모리 알고리즘으로는 처리가 불가능하므로 효율적인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패턴 일치(pattern matching)에 적합하고 외부 메모리를 지원하는 스트링 B-트리(string B-tree)를 이용한 k-mer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그것을 구현하였으며 몇 가지 실험 결과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단백질 3차 구조의 추상적인 표현기법 (A Technique for Abstract Representation of Protein Tertiary Structure)

  • 김진홍;안건태;변경익;윤형석;이수현;이명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1)
    • /
    • pp.595-597
    • /
    • 2001
  • 오늘날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의 완성은 인간의 모든 유전자 서열정보를 제공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명현상과 관련된 산업 및 연구가 각광받게 되었다. 특히 생명체의 특정 기능을 파악하기 위한 단백질 3차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단백질 3차 구조를 추상적으로 기술 할 수 있는 표현기법을 기술한다. 제안된 표현기법은 단백질 2차 구조요소($\alpha$-나선구조와 $\beta$-병풍구조)를 이용하여 인접한 구성요소간의 접힘(folding)에 대한 관계를 기술하여 추상적인 단백질 3차 구조를 표현한다. 제안된 표현기법으로 기술된 추상적 단백질 3차 구조 표현은 단백질 구조에 대한 보다 빠른 이해와 다른 단백질 구조와 비교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 PDF

DBMS 기반 단백질 식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BMS-based Protein Identification System)

  • 이진관;오석준;최은선;류근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1)
    • /
    • pp.67-69
    • /
    • 2001
  • Human Genome Project의 완성을 전후로 이루어진 생물학적 분석도구의 발달과 서열 데이터베이스의 축적으로 단백질 분석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였다. 단백질 분석에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단백질 식별(Identification)을 위한 도구들은 많이 개발되어 왔으나 기존의 도구들은 파일 기반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단백질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심험자들에게 빠르고 정확한 검색결과를 제공하는데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SWISS-PROT flatfile을 분석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고 구축하고, 단백질 식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질량분석 후 데이터베이스 검색’방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DBMS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다양한 실험조건과 절차에 의해 얻은 단백질 조각의 질량 값과 이론적인 계산에 의해 얻은 값을 비교하여 실험에 쓰인 단백질 조각과 일치하는 것을 단백질 데이터베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할 수 있는 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Splice Junction 탐색에 특화된 기존 도구들의 분석 (Analysis on Working Tools for Detecting Splice Junction)

  • 김소라;박태원;최석문;박기정;이도훈;조환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19-1122
    • /
    • 2011
  • 오늘날에는 HGP(Human Genome Project)로 인해 인간과 같은 고등생물은 높은 비율로, 단백질을 만들어낼 때 유전자 개수를 늘려 나가는 것이 아니라 유전자의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다양한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이로 인해 alternative splic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Alternative splicing의 비중이 높아지며 이에 따라 이를 찾아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생겨나고, 이러한 방법 중 하나가 splice junction을 찾아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splice junction 탐색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기에 앞서 이미 기존에 존재하는 도구들을 조사하여 해당 도구들이 어떠한 사양과 알고리즘을 사용하는지를 분석 및 비교하였다.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일부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수준 분석 (A Study o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for Developing Creativity Human Resources)

  • 최용금;오태진;이현;임근옥;홍지헌;정수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56-664
    • /
    • 2020
  •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 수준을 분석하여 창의융합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10일까지 물리치료학과, 치위생학과, 제약공학과, 컴퓨터공학과에 재학 중인 1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29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 하였으며 IBM SPSS/Win statistics 23.0 program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인 졸업 고등학교 지역이 수도권인 경우와 학과만족도가 높은 경우 창의융합역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또한, 비교과프로그램인 교내/외 경진대회, 글로벌 직무역량교육/해외연수 프로그램, 캡스톤디자인 및 팀 프로젝트 기반수업을 경험한 경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창의융합역량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이에 창의융합역량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대학 차원의 다양한 비교과목의 개발 및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융합역량 수준의 차이를 보인 다양한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 확장을 도모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인간 게놈의 Copy Number Variation과 유전자 질환 (UNDERSTANDING OF EPIGENETICS AND DNA METHYLATION)

  • 오정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205-212
    • /
    • 2008
  • 인간 게놈의 DNA서열의 차이는 개개인의 특이성을 의미하기 때문에 염기서열의 변화는 질병에 대한 감수성, 약물에 대한 반응 등 개인의 성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인간 게놈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유전적 변이가 존재하지만 그 중 단일염기다형성이 인간의 유전적, 표현형의 다양성을 설명하는 주된 유전적 변이로 생각되었으나 최근 유전체 전체 분석법의 발전으로 1 kb 이상 크기의 CNV의 발견으로 개체간의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더 많은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고, 진화와 유전 질환에 대한 CNV의 역할을 조사하는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게 되었다. 현재 인간게놈의 CNV를 찾아내고 특성화 작업을 목표로 하는 The Copy Number Variation Project를 위해 The Wellcome Trust Institute (Hinxton, United Kingdom), Hospital for Sick Children (Toronto), University of Tokyo (Tokyo), Affymetrix (Santa Clara, CA), 그리고 Harvard Medical School/Brigham and Women's Hospital (Boston, MA) 등이 참여하는 international consortium이 구성되어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또한 향후 진보된 DNA microarray-based technology와 서열화 기술의 개발로 인간 게놈 상의 모든 유전적 변이를 발견하게 되고 포괄적인 CNV 지도를 완성하고 인간 유전자 다양성 인간의 진화, 유전적 질환 개인 맞춤형 의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연구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간 단클론 항체 생산용 Humanized Xenomouse 제작의 기초 소재인 생쥐 Ig 중사슬 및 경사슬 Genomic DNA 클론의 확보 및 유전자 적중 벡터의 제작 (Isolation of Mouse Ig Heavy and Light Chain Genomic DNA Clones, and Construction of Gene Knockout Vector for the Generation of Humanized Xenomouse)

  • 이희경;차상훈
    • IMMUNE NETWORK
    • /
    • 제2권4호
    • /
    • pp.233-241
    • /
    • 2002
  • Background: Monoclonal antibodies (mAb) of rodent origin are produced with ease by hybridoma fusion technique, and have been successfully used as therapeutic reagents for humans after humanization by genetic engineering. However, utilization of these antibodies for therapeutic purpose has been limited by the fact that they act as immunogens in human body causing undesired side effects. So far,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produce human mAbs for effective in vivo diagnostic or therapeutic reagents including the use of humanized xenomouse that is generated by mating knockout mice which lost Ig heavy and light chain genes by homologous recombination and transgenic mice having both human Ig heavy and light gene loci in their genome. Methods: Genomic DNA fragments of mouse Ig heavy and light chain were obtained from a mouse brain ${\lambda}$ genomic library by PCR screening and cloned into a targeting vector with ultimate goal of generating Ig knockout mouse. Results: Through PCR screening of the genomic library, three heavy chain and three light chain Ig gene fragments were identified, and restriction map of one of the heavy chain gene fragments was determined. Then heavy chain Ig gene fragments were subcloned into a targeting vector. The resulting construct was introduced into embryonic stem cells. Antibiotic selection of transfected cells is under the progress. Conclusion: Generation of xenomouse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medical biotechnology. However, this goal is not easily achieved due to the technical difficulties as well as huge financial expenses. Although we are in the early stage of a long-term project, our results, at least, partially contribute the successful generation of humanized xenomouse in Korea.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하이터치(High Touch)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igh Touch in Contemporary Fashion)

  • 김보영;금기숙
    • 복식
    • /
    • 제58권4호
    • /
    • pp.72-85
    • /
    • 2008
  • With the new millennium setting in, our society is plowing its way through more drastically changing currents than ever. Nowadays, many people believe that high tech such as the Internet, digital civilization, the IT revolution, bio-industry, and the genome project, that has brought humans material prosperity, is the right change in direction. However, the more we adopt high tech into our lives, the more we desire high touch in order to achieve a balance. In other words, we need something to act as a ballast to stabilize our minds. As such, the more high tech develops, the more individuals miss and search for tools that appeal to their emotions. Because of this, although high touch is an opposite concept to high tech, it coexists with high tech, and it is defined as "human contact of high sensitivity that stimulates the emotion of humans". High Touch, a term which originated from "High Tech, High Touch", a book written by American futurist John Naisbitt, refers to human contact that makes human life richer, forminga deep impression on individuals and providing comfort. As such, high touch, which is gaining significant attention in modern society, is a phenomenon occurring throughout politics, society, culture, art, and religion, together with high tech. Through high touch, modern people must realize how to understand and accept a modern society that is dominated by the age of technology and in which direction they should head.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objectives: to interpret the concept of high touch in the age of high tech in association with formative art and fashion, and through various media examine the desire for expression that may stimulate emotion in modern people, which is required by the high tech-prevalent modern society. It further analyzes how high touch is reflected in modern fashion and presents the direction future fashion should head in.

Progress in the Direct Application of Pharmacogenomics to Patient Care: Sustaining innovation

  • Burckart, Gilbert J.;Frueh, Felix W.;Lesko, Lawrence J.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 /
    • pp.23-39
    • /
    • 2006
  • The application of the knowledge from the Human Genome Project to clinical medicine will be through both industrial drug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pharmacogenomics (PG) to patient care. The slow uptake of clinical innovations into clinical practice can be frustrating, but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acceptance and sustaining medical innovation is critically important to position PG to succeed. This primarily means that PG tests must have legitimacy; they must be thoroughly validated, must be cost-effective, must be widely accepted by medical practitioners, must be supported by public policy, and must have a way of being easily incorporated into current medical practice. They must also lead to actionalble decisions by health care providers for their patients. Innovative PG assays should be tested in the best US laboratories, and reimbursement for testing must be accepted at the federal and state level. The companies providing these PG tests should be capable of supporting the interpretation and use of the test throughout medical practice. Advances such as the addition of PG information to drug labeling and the routine use of validated biomarkers to determine choice of cancer chemotherapy have been made. The PG research community must pay attention to the principles that have been previously described for acceptance and sustaining medical innovations in order for PG to be widely accepted in clinical medical pract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