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Fibroblast

검색결과 799건 처리시간 0.023초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대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a Seed Extract against UVB-irradiated Human Skin Fibroblasts)

  • 김옥경;남다은;이민재;강남길;임재연;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8
    • /
    • 2014
  • 본 연구는 아직 기능성 입증이 미비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을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한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항산화 효능과 MMPs 및 collagen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광노화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녹차나무 씨 추출물 농도별 라디칼 소거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녹차나무 씨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능을 증가시켰다. 25 $mJ/cm^2$ 자외선을 조사한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의 농도별(10 ${\mu}g/mL$, 30 ${\mu}g/mL$, 50 ${\mu}g/mL$) 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항산화 효소(SOD, GPx, catalase) 활성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감소한 활성을 녹차나무 씨 추출물의 처리가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의 처리는 MMP-1의 합성을 감소시키고 collagen의 합성을 증가시켰으며, MMP-1, MMP-3, MMP-9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type-1 collagen의 mRNA 발현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지녔으며 자외선 조사에 의한 활성산소종으로부터 보호하여 MMPs 발현을 감소시키고 collagen 분해를 억제시켜 피부 노화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기능성 입증으로 녹차나무의 활용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Isoquercitrin 함유 연꽃잎 추출물의 피부주름개선 효능 연구 (Effect of Isoquercitrin-containing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on Skin Wrinkle Improvement)

  • 문은정;전준명;이가희;백민영;이대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1-20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1형 프로콜라겐 분비량 측정을 통해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검색하던 중, 연꽃잎추출물(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NLE)이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NLE를 분석한 결과 isoquercitrin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isoquercitrin도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에서 제1형 프로콜라겐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LE와 isoquercitrin은 자유 라디컬 소거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isoquercitrin은 인간 피부유래 세포주인 HaCaT 및 NHDF에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고 총항산화능을 증가시켰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팀은 isoquercitrin의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 정제한 NLE를 1.7% 함유한 크림(isoquercitrin 51 ppm 함유)을 제조하여 눈가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30 ~ 65세의 한국인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얼굴의 한쪽 면엔 NLE 함유 크림을, 그리고 다른 한쪽 면엔 대조제품을 매일 2회씩, 8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NLE 함유크림을 사용하였을 때 피부자극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조제품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 있게 눈가의 주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NLE 및 isoquercitrin이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 및 항산화 효능을 가지며, isoquercitrin 함유 NLE는 안전한 천연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분자생물학을 이용하여 복제노화된 사람치주인대섬유모세포의 세포학적 연구 (Cellular study of replicative senescence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 using molecular biology)

  • 김병옥;조일준;박주철;국중기;김홍중;장현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623-634
    • /
    • 2005
  •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hPDLF) is very important to cure periodontal tissue because it can be diverged into various cells. This study examined the expression of MMP-1, TIMP-1, periodontal ligament specific PDLs22, Type I collagen, Fibronectin, TIMP-2, telomerase mRNA in a replicative senescence of hPDLF. The periodontal ligament tissue was obtained from periodontally healthy and non-carious human teeth extracted for orthodontic reasons at the Chosun University Hospital of Dentistry with the donors' informed consent. The hPDLF cells were cultured in a medium containing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Gibco BRL, USA)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BRL, USA) at 37C in humidified air with 5% $CO_2$. For th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analysis, the total RNA of the 2, 4, 8, 16, 18, and 21 passage cells was extracted using a Trizol Reagent(Invitrogen, USA) in replicative hPDL cells. Two passage cells, i.e. young cells, served as the control, and ${\beta}-actin$ served as the internal control for RT-PCR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ut cell morphology and gene expression according to aging of hPDLF using RT-PCR method are as follows: 1. The size of hPDLF was increased with aging and it was showed that the hPDLF was dying in the final passage. 2. PDLs22 mRNA was expressed in young hPDLF of the two, four, and six passage. 3. TIMP-1 mRNA was expressed in young hPDLF of the two and four passage. 4. There was a tendency that MMP-1 mRNA was weakly expressed over eighteen. 5. Type 1 collagen mRNA was expressed in almost all passages, but it was not expressed in the final passage. 6. Fibronectin mRNA was observed in all passages and it was weakly expressed in the final passage. 7. TIMP-2 and telomerase mRNA were not expressed in this study. Based on above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PDLs22, Type 1 collagen, Fibronectin, MMP-1. and TIMP-1 mRNA in hPDLF were expressed differently with aging. The study using the hPDLF that is collected from healthy patients and periodontitis patients needs in further study.

계혈등 추출물의 항산화와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저해 효과 (Effects of the Spatholobi calulis extract on Antioxidation and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 Human Skin Fibroblasts)

  • 심관섭;김진화;이동환;박성민;표형배;;이범천
    • KSBB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40-4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계혈등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 in vitro MMP-1 효소 활성 저해 효과 및 사람섬유아세포에서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계혈등 추출물의 DPPH와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는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IC_{50}$은 각각 $45.81{\mu}g/ml$, $3.11{\mu}g/ml$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MMP-1 효소 활성 저해 효과도 $80{\mu}g/ml$에서 $97.33\%$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사람섬유아세포에서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의 발현저해효과는 계혈등 추출물 $10{\mu}g/ml$에서 $74.66\%$로 단백질 수준에서 우수한 발현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RNA수준에서도 계혈등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계혈등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MMP-1 효소 활성저해 효과와 UVA에 의한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우수한 항노화 소재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차가버섯과 어성초 함유 발효 조성물이 인체 위암 AGS 및 대장암 HCT-15 세포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Compositions Containing Inonotus obliquus with Houttuynia cordata on Growth of Human AGS Gastric and HCT-15 Colon Cancer Cells)

  • 차재영;전병삼;박정원;문재철;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202-207
    • /
    • 2004
  • 어성초 분말을 포함하는 차가버섯 발효 조성물의 물 추출물이 인체 위암 세포 AGS 및 대장암 세포 HCT-15, 그리고 정상세포 NIH3T3 fibroblast의 세포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세포독성 실험은 세포수 count와 MTT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어성초 분말을 포함하는 차가버섯 발효 조성물의 제조는 차가버섯과 어성초 분말을 혼합하고, 여기에 대두 발효 미생물원을 다시 혼합시켜 습도 $50{\sim}60%$,온도 $30{\sim}37^{\circ}C$에서 30일 정도 발효시킨 후 건조 시킨 분말에서 5% 물 추출물을 얻어 동결건조 시켜 실험에 제공하였다. MTT assay 방법에서 차가버섯 발효 조성물의 수용성 추출물 0.16, 0.4, 0.8, 1.6 및 4.0 mg/ml 첨가 농도에서 AGS 세포 생육은 13, 25, 40, 67 및78% 억제 되었으며, HCT-15세포 생육은 22, 40, 50, 69및 76%씩 각각 억제되었다. 그러나 동일한 실험조건에서 정상 세포수 NIH3T3은 86%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차가버섯 발효 조성물의 수용성 추출물은 인체 대장암 세포주 HCT-15와 위암 세포수 AGS에 대해 생육억제 작용이 강한 반면, 정상세포 NIH3T3에 대해서는 세포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아 가장 바람직한 암예방 또는 항암식품 개발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칸나비디올(CBD)의 항산화 활성 및 인간 모유두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vity of Cannabidiol (CBD) and Effect on Its Proliferation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 김수현;심규상;천정윤;장재웅;정수진;서예희;안혜명;송봉근;권기석;이중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4-241
    • /
    • 2023
  • 최근 세계 여러 나라에서 대마초 및 대마제품을 합법화하고 대마를 이용한 다양한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마에는 생물학적 효과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여러 화합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모유두 세포(HDPC)의 모발 성장에 대한 칸나비디올(CBD)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6-sulfonic acid) (ABTS) 및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분석법을 활용하여 CBD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모유두 세포에서 CBD의 세포생존률은 WST-1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CBD 처리에 의한 모유두 세포에서 모발 성장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은 real-time PCR 및 western blot으로 측정하였다. CBD의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DPPH 및 ABTS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의 IC50 값은 각각 15.46±0.24 μM 및 13.90±0.06 μM으로 뛰어난 활성 산소 제거능을 나타냈다. CBD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세포 증식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모유두 세포에서 Real-Time PCR과 Western blotting을 통해 모발 성장 관련 인자를 측정한 결과, CBD 처리로 인하여 성장 관련 인자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은 CBD는 모유두 세포에서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고 모발 성장 관련 인자들을 긍정적으로 조절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CBD가 탈모증에 대한 잠재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세포에서 MACS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한 세포의 특성에 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MACS Isolated Cells from Differentiated Human ES Cells)

  • 조재원;임천규;신미라;방경희;궁미경;전진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3호
    • /
    • pp.171-178
    • /
    • 2006
  • 목 적: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재생 의학이나 조직공학에 있어서 큰 잠재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다양한 growth factors 처리나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켜 특정 세포로 유도 분화 및 분리가 가능하지만 그 효율성은 아직까지 낮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비특이적으로 분화된 세포들을 특정 세포 표면 항체를 이용한 magnetic cell sorting (MACS) 방법으로 분리, 배양하여 그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주(Miz-hESC4)를 물리적인 방법으로 계대 배양하였으며, 부유 배양법으로 배아체 형성을 유도하였다. 배아체의 자발적인 분화를 위해 DMEM에 10% FBS를 첨가하여 2주 동안 배양하였다. 이렇게 분화된 세포들을 CD34, human epithelial antigen (HEA), human fibroblast (HFB)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MACS system으로 각각의 항체에 대한 양성 또는 음성 세포를 분리하였다. 이러한 MACS 분리 세포를 4주 동안 배양하면서 형태적인 변화를 관찰하고 특이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분리 배양한 CD34 양성 세포들은 배양 초기에는 둥근 형태를 나타내다가 배양 후기에는 작은 다각형의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HEA 양성 세포들은 큰 다각형의 형태를 나타내었고, HFB 양성 세포들은 전형적인 방추체 형태로 관찰되었다. 특이 유전자에 대한 RT-PCR 결과에서, CD34 양성 세포들과 HFB양성 세포들에서는 내배엽과 중배엽 관련 유전자의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HEA 양성 세포들에서는 외배엽 관련 유전자인 NESTIN과 NF68KD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CD34 양성 세포의 특이 유전자 발현 양상이 변화되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는 비특이적으로 분화된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특이 세포를 MACS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MACS 방법과 특이 세포에 대한 항체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유도 분화와 특이 세포의 분리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Establishment of Stem-like Cells from Human Umbilical Cord Vein

  • Park, Seah;Kim, Kyung-Suk;Kim, Haekwon;Do, Byung-Rok;Kwon, Hyuck-Chan;Kim, Hyun-Ok;Im, Jung-Ae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78-78
    • /
    • 2003
  • Adult stem cells can make identical copies of themselves for long periods of time. They also give rise to many differentiated mature cell types that have characteristic morphology and specialized function. Human adult stem cells are the attractive raw materials for the cell/tissue therapy, however, it is not easy to get from the adult tissues. In the present study, we tried to isolate a cell population derived from human umbilical cord vein which has been discarded after birth. The cells were isolated after treatment of the umbilical vein with collagenase or trypsin. After 3 days of culture, two kinds of cell populations were found consisting of adherent cells with endothelial cell-like and fibroblast-like morphology, respectively. When these cells were subcultured 12 times over a period of 3 months, almost cells appeared uniformly to exhibit fibroblastoid morphology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mesenchymal stem cells obtained from human bone marrow The results of RT-PCR analyses showed distinct expression of BMP-4, oct-4, and SCF genes but not of GATA, PAX-6 and Brachyury genes. 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cells were negative for the von Willebrand factor(vWF), alpha-smooth muscle actin and placental alkaline phosphatase. From these observations, it is suggested that stem-like cells might be present in human umbilical cord vein.

  • PDF

저출력 레이저 조사가 치은섬유아세포의 증식과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w level laser irradiation on prolifer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in vitro)

  • 박병기;임기정;김병옥;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3호
    • /
    • pp.715-724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roliferation and to measure the alteration of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cultured. For the present study, the authors cultured the human gingival fibroblasts oriented from the sound interdental gingiva, and used third passage. It was used methyl $[^3H]$ Thymidine to identify the proliferation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used 410nm of the spectrophotometer to measure the alteration of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liferation of gingival fibroblasts following low level laser irradiation at 24 hour(p<0.05).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compared to control group at 5-day laser irradiation after in laser irradiation groups(p<0.05).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compared to control group at 7-day laser irradiation after in the I-minute laser irradiation group(p<0.05),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compared to 1minute laser irradiation group at 7-day laser irradiation in the 2-minute laser irradiation group after(p<0.05). The results, within the limits of the present experiments, suggest that, the low level laser irradiation accelerates the proliferation of gingival fibroblasts and alters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until the restricted period.

  • PDF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Specific Anti-Caveolin-1 Antibody for Caveolin-1 Functional Study in Human, Goat and Mouse

  • Ke, Meng-Wei;Jiang, Yan-Nian;Li, Yi-Hung;Tseng, Ting-Yu;Kung, Ming-Shung;Huang, Chiun-Sheng;Cheng, Winston Teng-Kuei;Hsu, Jih-Tay;Ju, Yu-Te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6호
    • /
    • pp.856-865
    • /
    • 2007
  • Caveolin-1 of the caveolin family of proteins regulates mammary gland development and has been shown to play a contradictory role in breast tumor progression. A specific anti-Caveolin-1 antibody will be useful for functional study of Caveolin-1 in different tissues. In this study, we generated a rabbit polyclonal antibody that specifically recognizes the N-terminal amino acids 50-65 of Caveolin-1. This polyclonal antibody specifically reacted with Caveolin-1 extracted from cells of different species, including human epithelial A431 cells, goat primary mammary epithelial cells and mice fibroblast NIH 3T3 cells, by Western blotting. Endogenous Caveolin-1 protein expressing in cells and normal human tissues was detected by this polyclonal antibody using immunocytofluorescent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spectively. Furthermore, an apparent decrease in Caveolin-1 expression in tumorous breast and colon tissues was detected by this polyclonal antibody. In conclusion, we have identified amino acids 50-65 of Caveolin-1, which contains an epitope that is specific to Caveolin-1 and is conserved in the human, goat and mouse. In future, this anti-Caveolin-1 antibody can be used to examine the progression of breast and colon cancers and to study functions of Caveolin-1 in human, goat and mouse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