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b Airport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2초

수출입 물류거점 이전에 따른 공항물류단지의 기능 변화 -김포공항 물류단지를 사례로- (A Study on the Functional Recession of Conventional Airport Logistics Complex and Its Revitalization as an Urban Logistics Distribution Center: The Case of Kimpo International Airport Logistics Complex)

  • 이정윤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3-281
    • /
    • 2009
  • 2001년 인천국제공항의 개장과 함께 과거 우리나라 항공 수출입 관문 역할을 담당하던 김포공항의 항공물류 거점 기능은 급격히 쇠퇴하였다. 그러나 김포공항 지역의 입지적 이점에 힘입어 김포공항 물류단지는 오늘날 수도권의 중요한 도시물류 거점시설로 기능하고 있다. 분석결과 인천공항의 배후물류단지, 수입화물 중심의 부가가치 물류활동 그리고 수도권 지역의 도시물류 배송센터 역할 등은 현재 김포공항 물류단지에서 수행되는 대표적인 기능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도시물류 거점시설로서 공항물류단지의 기능은 향후 운영주체(공항공사)의 수익성 제고 전략에 따라 축소될 우려가 있다. 김포공항 물류단지가 공공 기능을 수행하는 도시물류 거점시설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국가 및 지역 단위 물류거점(시설) 개발전략과 체계적으로 연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관련 법령 및 기본계획의 종합적인 정비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인천국제공항의 환적화물에 대한 연계성 분석 연구 (Analyzing the Airfreight Transshipment Connectivity at Incheon Airport)

  • 김중엽;박용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17-127
    • /
    • 2008
  • 1978년 미국 내 항공시장의 규제완화와 함께 항공은 허브-앤-스포크 시스템(hub-and-spoke system)의 형태로 재구성되었다. 항공의 확장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할 때, 허브-앤-스포크의 활용은 여객의 환승이나 화물의 환적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이점이 존재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또한 국가 차원으로 볼 때, 허브-앤-스포크를 통해 공항의 활성화 및 노선에 따른 밀도의 경제를 실현하도록 허브공항을 개발하는 정책적 지원의 동기가 될 수도 있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대다수 항공여객에 대한 연구들로 집중되어 왔으나 항공환적화물에 대한 연구는 그 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을 대상으로 하여 항공화물의 환적연계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허브-앤-스포크 상에서 과연 허브공항으로서의 기능과 성과를 수행하고 있는지를 측정코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범위는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환적 되는 항공화물을 대상으로 하며, 개설 가능한 환적노선인 직항연결 및 우회연결(Direct and Indirect Connection)로 한정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을 기반으로 한 항공화물의 환적연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인천국제공항과 연결된 공항들의 노선 수나 연결시간 등을 기준으로 하여 직항연결과 우회연결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취하였다. 이를 위해 공항의 웨이브-시스템 구조를 분석하여 활용하는 NETSCAN 모델을 적용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의 환승시장 환경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Study on External Analysis of the Transfer Market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Its Counter Strategy)

  • 박학순;김기웅;이명우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7-241
    • /
    • 2015
  • After it first opened in 2001,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IA) has grown into a world-class airport, leaving remarkable traces, such as being the first airport to win the ASQ Airport Serivce Price for 10 consecutive years. However, ever since its birth IIA has tried to position itself as the leading hub airport of Northeast Asia. Until this day, it has not been meeting this goal, with transfer passenger numbers and transfer rates decreasing recently. This study looks at the outer environment to discover which factors affect IIA's transfer market. Through extensive research on external analysis, the study will eventually provide a counter strategy guideline for fighting back against decreasing transfer usage.

  • PDF

공항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최적 주기장 배정과 운영지원시스템 (- Optimizing Gate Assignment and Operation Support System for Reliability Improvement of Airport -)

  • 이희남;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15-226
    • /
    • 2004
  • This study develops a improved gate assignment algorithm and decision support system using its algorithm to extract a assignment result minimizing a walking distance of passengers in airport and maximizing the utilization rate of avaliable gates in domestic airports. By operation support system, it may contribute greatly in efficient enlargement of airport operation and increase the airport reliability through quickly coping with takeoff and landing delay of flight due to weather change, preservation and repair of gate, etc. Also, passengers who use airport terminal can minimize time and walking distance for departure, arrival, and transit, and it may greatly reduce the additional operation cost for common gates through maximizing the utilization rate for exclusive usage gates for airplanes which use gates.

물류중심지 광양항의 경쟁력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Gwangyang Port as Logistics Hub)

  • 이광배;모수원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3-91
    • /
    • 2005
  • The goal of the project on developing Korea as the logistics hub of Northeast Asia is to develop Busan Port and Gwangyang Port as international logistics centers by promoting and attracting more warehouses. As is well known, there is intense competition among ports located in major economic blocs to become the regional logistics hub. Gwangyang is second to none in terms of being favorably located at the center of Northeast Asia. Gwangyang Port, however, lacked in SOC construction and faced the poor government support politics hub of Northeast Asia. They are i) expanding the logistics infrastructuressuch as expressway and railroads between Yeosu Airport and Gwangyang Port, ii) Setting up new port hinterland and industrial complex in the vicinity of Gwangyang Port iii) securing high value-added fixed cargo traffic, and iv) improving laws and institutions.

  • PDF

아시아 주요공항의 저비용항공사 네트워크 분석 (Analyzing the LCC Network at Asian Major Airports)

  • 배현준;박용화;김영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7-259
    • /
    • 2017
  • 본 연구는 네트워크 연결망 관점에서 저비용항공사에 따른 공항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IATA의 Airport Intelligence Service의 SRS Analyser Schedule Database를 이용하여 2010년 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아시아 주요공항을 운항하는 71개 저비용항공사(LCC)를 선정하여 국내선을 제외한 국제선 노선을 대상으로 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을 비롯하여 홍콩, 싱가포르, 나리타, 간사이, 푸동, 가오슝, 김포, 제주공항 등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연결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4가지 중심성 분석을 통해 LCC 네트워크의 구조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이들 공항에서는 LCC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고 타 공항과의 연결성 밀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저비용항공사들도 기존 항공사들의 동맹체(Alliance)와 같은 형태의 LCC-Alliance를 출범함에 따라 허브-앤-스포크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운영방식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공항 경제권 형성을 통한 허브 경쟁력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A Study on Ways to Improve Hub-Airport Competitiveness Through Forming Economy Zone: Focus on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남승주;김준환;최솔샘;유영준;김진기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1-40
    • /
    • 2022
  •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 중심 경제권 형성을 통한 허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향후 인천국제공항이 중점적으로 고려 및 개선해야 하는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세계적 수준의 환승 공항을 이용한 승객이 작성한 온라인 리뷰를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승객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환경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구체적인 인식 조사를 위해 도출된 환경 요인 중 15개의 세부평가 요인을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선정하였다. 해당 요인들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수행도를 확인하고자 설문조사 및 IPA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요인에 있어, 중요도보다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향후 인천국제공항이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상위 3개 요인으로 접근시설(편의성 및 다양성, 비용, 시간), 경제자유지역, 다양하고 우수한 쇼핑시설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텍스트 분석과 설문조사의 장점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승객의 인식을 이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허브 공항의 입지를 확고히 하기 위한 정책적, 전략적 방향성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공항 환승고객의 서비스 수준 평가: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level of service for transfer passengers at airports: a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ase study)

  • 박진우;정세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5-327
    • /
    • 2009
  • 본 연구는 환승승객을 대상으로 전체 서비스 수준을 평가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환승승객은 기존의 출발 도착승객들과는 다른 서비스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공항에서의 환승객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이에 4년 연속 공항서비스 세계 1위인 인천국제공항의 환승승객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고자 가장 많은 환승 비율을 차지하는 일본과 중국 승객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환승승객들의 서비스평가에서 중요한 요인들을 고찰하고 각 서비스 요인들이 승객들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미국의 항공운송산업 규제완화법(Airline Deregulation Act of 1978)이 미국의 공항경제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Airline Deregulation on Airport Economics)

  • 오세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권
    • /
    • pp.101-118
    • /
    • 1994
  • 미국의 항공운송산업 규제완화법(Airline Deregulation Act of 1978)에 의한 미국의 항공운송산업 자유화 정책은 미국의 국내 항공운송 시장의 환경을 철저한 경쟁의 원리가 적용되는 자유경쟁 시장으로 변화시켰으며, 국제 항공운송 시장에도 자유경쟁의 원리가 점진적으로 도입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항공운송산업 자유화 정책은 항공사의 운송 시장 환경뿐만 아니라 그들이 이용하는 공항의 경제 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자유화가 공항의 경제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자유화 이후 공항에서 시장 합리화 (Market Rationalization)의 원리가 적용 되었는 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1) 자유화 이후, 공항료(Airport Rates and Charges)와 공항에서의 활동량 (the Volume of Activity) 간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존재하는 가의 여부 (2) 자유화 이전과 이후를 비교할 때, 각 Hub Class별 공항료의 수준에 있어 유의한 변화가 있는 가의 여부에 대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의 결과, 자유화 이후, 공항료와 공항에서의 활동량 간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채택하는 데 실패하였으며 또한 일원 분산 분석의 결과, 자유화 이전과 이후를 비교할 때, 각 Hub Class별 공항료의 수준에 있어 유의한 변화가 있다는 결론을 제시할 수 없었다. 미국의 항공운송산업 자유화 정책이 미국 공항 경제에 미친 영향에 대한 본 연구는 현재 경제규제완화를 실험하고 있는 우리의 경제 정책에 좋은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