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ttuynia cordata Thunb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1초

어성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an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a Culinary Herb))

  • 정희록;곽지현;김지혜;최귀남;정창호;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20-7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결과 높은 총 페놀 화합물 함량(17.71 mg/g)을 나타낸 어성초 60%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어성초의 DPPH와 ABTS radical 소거 활성 및 FRAP assay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나타났으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MTT, LDH assay를 통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MTT 실험에서는 어성초 60% 메탄올 추출물의 모든 농도에서 positive control로서의 vitamin C와 유사한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고, LDH 실험에서는 추출물에 의한 농도 의존적인 효소 방출량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LDH 실험에서 나타난 신경세포막 파괴의 원인을 확인하고자 뇌 조직을 이용한 지질의 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지질의 과산화가 억제 되는 것으로 나타나 지질의 과산화는 신경세포의 파괴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quercitrin 및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어성초 60%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나타나는 지질의 과산화로 인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어 퇴행성 신경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어성초추출물투여가 흰쥐의 간장과 혈청의 지질 및 과산화지질함량에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tra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on the Level of Lipids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Liver and Serum of Cholesterol-fed Rats)

  • 최용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3-178
    • /
    • 1998
  • The feeding effects of Herba hottuynia extracts on the lipids profiles and the content of TAB-reactive substances were evaluated in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Hot water or ethanol extracts of the dried leave were evaporated and lyophilized . The experimental animals wer edevided to four groups and fed the following diets for 4 weeks : BAsal (cholesterol-free diet), CHOL(cholesterol-enriched diet),CW (cholesterol plus water extract) and CE(cholesterol plus ethanol extract). Dietary cholesterol increased significantly the activities of serum GOT and GPT, but the extracts feeding (0.5% of diet) did not influence the activities induced by dietary cholesterol. Although dietary cholesterol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oncentrationof serum andliver cholesterol, it tended to decrease the concentation of serum triglycerides. CHolesterol feeding had a lowering effect on the lipid peroxidation value of serum, but not inliver.Furthermore, the extracts feeding, especially water extract, decreased markedly the liver peroxidation value. The results suggest that Houttyunia cordata extracts have an in vivo antioxidant effect, judged from the TBA value in the liver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 PDF

인간 피부각질세포 HaCaT에서 어성초 추출물의 유전체 발현 분석 및 항산화 효과 (Gene Expression Profiles and Antioxidant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Extract in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 김정민;방인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06-1415
    • /
    • 2018
  • 본 연구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의 메탄올 추출에 의한 유기 용매별 분획물에서 항산화 효과를 근거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HaCaT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용매별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ED_{50}$은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에서 $175{\mu}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H_2O_2$에 의해 유도된 HaCaT 세포의 세포사멸($IC_{50}$)에 대하여 Hc-EtOAc 분획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인 세포 생존율과, $100{\mu}g/ml$ 농도에서 74%의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100{\mu}g/ml$의 Hc-EtOAc 분획물을 6 및 24시간 동안 HaCaT 세포에 처리하여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2 배 이상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들은 신호전달, 세포분열, 항산화 활성, 상피세포 증식 등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항산화 활성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B, TNF, 그리고 IL6 등 이었으며, 이들 유전자의 상위 조절자로써 TLR4가 확인되었다. IL1B, TNF, 그리고 IL6 유전자의 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qRT-PCR을 수행한 결과, $100{\mu}g/ml$ 이상의 Hc-EtOAc 분획물 처리군에서 2 배 이상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조절자 TLR4 단백질의 활성 역시 Hc-EtOAc 분획물에 의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 Hc-EtOAc 분획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TLR4로부터 IL1B, TNF, IL6과 같은 사이토카인을 경유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Aflatoxin에 노출된 닭에서 활성탄과 어성초의 독성완화 효과 (Alleviative effects of activated charcoal and Houttuynia cordata Thunb. in broiler chickens during aflatoxicosis)

  • 하대식;지대해;조상래;박애라;정은희;박동엽;이국천;허정호;김종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5-19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lleviative effects of activated charcoal (AC) and Houttuynia cordata (HC) singly or in combination in broiler chickens during aflatoxicosis. Activated charcoal (1% or 0.5%) and H. cordata (1% or 0.5%) were mixed into the diets for the ability to reduced the deleterious effects of 2.4mg total aflatoxin $(AFB_1)kg^{-1}$ diet on growing broiler chickens from 1 to 21 days of age. A total of 160 1-day-old (Hyline Variety Brown) broiler chicks were housed in eight treatment groups [Control, $AFB_1$, AC 1%, HC 1%, $AFB_1$ plus AC 1% plus HC 1%, $AFB_1$ plus AC 1% plus HC 0.5%, $AFB_1$ plus AC 0.5% plus HC 1%, $AFB_1$ plus AC 0.5% plus HC 0.5%] each consisting of 20 chicks. Compared to control, 2.4mg $AFB_1$ alone treatment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gains of chickens. The addition of mixed AC 1% and HC 1% including 6, 7 groups to the 2.4mg $AFB_1$-containing diet moderately reduced the adverse effects of $AFB_1$ on performances of chickens. The chickens consuming 2.4mg $AFB_1$ plus AC 0.5% and HC 0.5%-containing diet showed very slightly reduced the adverse effects on investigated parameters compared to the $AFB_1$ only treated group. Also, the single addition of AC or HC to the $AFB_1$-free diet had no adverse effects in chicke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 and HC mixed can reduced the aflatoxicosis in broilers and may be contribute to a solution of the aflatoxicosis problem in poultry production.

어성초 추출물의 발효적성 및 발효액의 특성 비교 (A Study on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Fermentability and Fermented Broth for Houttuynia Cordata Thunb Extracts)

  • 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2-127
    • /
    • 2009
  • 어성초가 자연발효에 의존할 경우 잡균 및 산막효모의 오염 및 발효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발효된 어성초 엑기스에서 야생효모를 분리하고, 어성초 추출물에서의 발효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15^{\circ}Brix$ 당용액에서 알코올 함량은 배양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배양 90시간째에 HCE 12%, HCD 11.2%, HCA 10.5% 순으로 높았다. HCF, HCG, HCB, HCC는 알코올 함량이 $7.5{\sim}8.5%$ 사이였다. 당용액에서 알코올 생성능이 가장 높은 HCE와 HCD 균주를 어성초 분리효모로 선정하고, 어성초배지(어성초 착즙액:증류수(1:1)에서 기존 Saccharomyces 균주와 발효력 비교 검토 결과, pH는 발효 전 $4.09{\sim}4.12$에서 발효 후 $3.57{\sim}3.78$로, 당도는 발효전 $15.00{\sim}15.19$에서 $7.75{\sim}9.57$로 감소하였다. 산도는 발효전 $0.138{\sim}0.210$에서 발효 후 $0.282{\sim}0.450$으로 증가하였으며, 알코올 함량은 발효 후 $3.6{\sim}4.6$으로 어성초 분리균인 HCD와 HCE가 감, 사과 및 포도에서 분리한 DJ97, YJK, R12, RCY 보다 소폭 높았다. 발효된 어성초배양액은 어성초 특유의 강한 비린내가 감소하고 생성된 알코올로 인해향은 보통 수준 이상의 관능평가를 얻었으나, 맛은 보통 이하로 낮은 관능평가를 얻었다. 색은 최저 $4.75{\pm}1.44$, 최고 $6.85{\pm}1.63$으로 HCE가 관능항목 중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최저 $3.95{\pm}1.17$, 최고 $5.00{\pm}1.41$로 보통의 수준으로 이는 맛의 기호도가 충족되지 못하여 낮은 관능평가를 얻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색,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균주간의 유의성(p<0.05)은 인정되지 않았다. 어성초 특유의 비린내를 보완할 수 있는 부재료를 첨가하여 맛을 완화시킬 수 있다면 어성초를 이용한 약용주의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흰쥐에서 어성초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혼합물의 숙취해소 효과 (Effect of Mixtur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 유양희;이현미;정창식;이민재;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508-1512
    • /
    • 2016
  • 어성초 열수 추출물, 연잎 열수 추출물, 녹차씨 70%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인 MIX가 흰쥐에서 에탄올 투여에 따른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대사 효소들에 작용하는 효과와 직접적인 에탄올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신규 숙취해소 소재로서 MIX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급성 에탄올을 투여한 EtOH군과 MIX-200군은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을 투여하지 않은 NC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MIX-200군은 EtOH군에 비교해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 투여 3시간부터 감소하였고,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에탄올 투여 1시간 이후부터 감소하였다.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인 ADH와 ALDH의 활성은 MIX-200군에서 EtOH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MIX는 높은 alcohol dehydrogenase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MIX는 에탄올 대사 효소들의 활성 증가에 직 간접적으로 작용해 알코올 섭취 후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를 감소시키는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신규 식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단일 생약재 및 생약복합제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Medicinal Herb Mixtures)

  • 이성규;정현진;이은주;김종부;최상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0-20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항산화 혹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6종의 생약재와 이들 생약재를 혼합하여 제조한 생약복합제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어성초, 홍화, MIX-2 에탄올추출물이 각각 58.98, 60.79, 57.74 mg/g의 함량으로 다른 시료들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어성초(HC), 홍화(CT), MIX-2에탄올추출물이 각각 36.86, 19.42, 14.74 mg/g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단일 생약재와 생약복합제 에탄올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의 RC50 값은 어성초, 홍화, MIX-2 에탄올추출물에서 각각 69.64, 50.70, $63.49{\mu}g/mL$로 추출물 가운데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고, ABTS 라디칼의 $RC_{50}$ 값도 어성초, 홍화, MIX-2가 각각 24.06, 18.91, $41.61{\mu}g/mL$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시료들의 항염증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5-LO 및 COX-2 효소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일 생약재 에탄올추출물보다 생약복합제 에탄올추출물이 5-LO와 COX-2 효소를 동시에 저해하는 효과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유발 효소 저해활성이 우수했던 생약복합제 에탄올추출물들의 NO 소거활성을 비교한 결과, MIX-2 에탄올추출물이 $50{\mu}g/mL$의 농도에서부터 유의적으로 NO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단일 생약재 보다는 생약복합제가 서로 혼합되면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명확한 기전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된다면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약초(표고버섯, 더덕, 어성초) 추출물을 첨가한 청국장환의 특성 (Properties of Cheonggukjang Tablet Prepared with Medicinal Herb Extracts)

  • 박정숙;나환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9-155
    • /
    • 2011
  • 본 실험은 전통발효식품인 청국장의 기능성 및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생약초(표고버섯, 더덕, 어성초) 추출물을 각각 동량 섞어 제조한 것을 청국장환에 10%, 20% 및 30% 첨가하여 제조한 다음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생약초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색도 중 L값과 b값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pH의 경우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 조지방과 조섬유 함량은 생약초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다소 감소하였으며, 수분과 회분은 증가하였다. 구성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 > aspartic acid > leucime > arginine 순이었으며, 지방산 조성의 경우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경도의 경우 추출물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더덕의 지표 성분인 조사포닌과 어성호에 많이 함유된 쿼세틴 함량을 분석한 결과 생약초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생약초 추출물 30% 첨가구가 가장 많은 함량 분포를 보였다. 첨가수준별 청국장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생약초 추출물 20% 첨가하여 제조한 제품이 기호도면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생약초 추출물 첨가한 청국장환은 추출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영양성분이나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대부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생약초 추출물을 20%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환 제품이 기호도면에서 가장 좋은 제품으로 판단되어,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고려한 최종 제품은 생약초 추출물을 20% 까지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좋은 제품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사실은 여러 가지 생약초가 갖는 장점 등을 청국장환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Lactobacillus plantarum DK119로 발효한 약용식물 당침액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ugar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DK119)

  • 배수연;오준석;박민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79-18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약초 당침 추출액의 발효특성을 분석하고 관능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적정 발효조건을 도출하여 유산균 발효 약초음료 개발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설탕을 이용하여 1년 숙성, 추출한 개똥쑥, 어성초 및 삼백초 당침액($50{\pm}5^{\circ}Bx$)을 10, 15 및 $20^{\circ}Bx$로 희석한 후 김치로부터 분리한 L. plantarum DK119 ($5{\times}10^9CFU/mL$)를 2% (v/v) 접종하고 $37^{\circ}C$에서 4일 동안 발효하면서 유산균 수, pH, 적정산도 및 환원당 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개똥쑥은 $20^{\circ}Bx$, 어성초는 $10^{\circ}Bx$, 그리고 삼백초는 $15^{\circ}Bx$가 발효 가능한 농도로 나타났다. 즉, 희석농도와 접종 유산균 수가 유사한 조건에서도 사용한 약초 종류에 따라 발효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발효 기간 중 개똥쑥, 어성초 및 삼백초 희석액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모든 희석액에서 변화가 없는 반면 DPPH radical 제거능과 환원력(FRAP)은 발효 2일에 유의적 증가를 보여 발효 중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발효 산물이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관능검사 결과, 발효 전 당침액에서 나는 특유의 불쾌한 약초 맛이 발효 1일부터 감소하고 종합적 기호도가 발효 2-3일에 높아져 L. plantarum DK119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는 약초 당침액의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고 관능적 품질특성을 개선시켜 약초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음료 개발에 응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