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ing Perception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31초

고령화미래 사회통합방안으로서의 기존 주거지역내 노인공동사용주택에 대한 태도연구 (The responses on elderly shared group house as a socially integrated housing alternative in aging society)

  • 이정화;이연숙;이수진
    • KIEAE Journal
    • /
    • 제7권4호
    • /
    • pp.63-74
    • /
    • 2007
  • While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gration has been mainly emphasized in the fields of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disabled and lower income citizens, many types of elderly housing had been developed in a way of segregating the elderly from society rather than integrating. Meanwhile, shared group house may allow older people to 'age in place' within the communities where they used to live by providing them with social, economic and practical benef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empirical research on responses to elderly shared group house. Interview survey with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mong 138 elderly people between 60-75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 Responses of the elderly included awareness, perception and preference. It was revealed that the respondents had negative perceptions on existing shared group house in Korea. Most of the respondents showed preference to moving into socially-integrated type of shared group houses developed within their communities. This study indicated the potential of such type shared group house to become a favorable housing alternative for elderly people which supports their sustainable independent living within community.

실내디자인 요소와 낙상에 대한 노인들의 인지에 관한 연구 (The Perception of Interior Design Factors Related to Risk of Falls among Elderly)

  • 박희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31-13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ual differences among independent elderly relative. to falls risk associated with specified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The sample consisted of 135 independent elderly who live in Ulsan. The data were collected by utilizing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demograph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design assessments accompanied by line drawing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AS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35(25.9%) elderly experienced fall(s) within one year and about half of the fallers fell more than once. (2) The elderly perceived lighting is the most hazardous interior design factor related to increased risk of falls.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groups on perception of lighting as interior design factors and the elderly perceived differently floor as interior design factors by their perceived health status.

  • PDF

거주지역의 물리적 환경특성에 대한 인식이 고령자의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in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Phys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 김수영;오찬옥;문경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35-43
    • /
    • 2017
  • This study purposes to examine direct eff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s and indirect effects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of the aged, using the raw data of 2015 Busan Social Survey. The 5,324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raw data of those more than 65 years ol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When age, spouse with/without, diseases with/without, length of residence, and number of communicating persons were controlled, the satisfaction with housing, the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availability affected directly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of the aged, but the levels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number of parks were not directly correlated with it. (2) The satisfaction with housing and public transportation affected indirectly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rough the satisfaction with life. That is, the satisfaction with life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two variables. (3) The satisfaction with parks did not affect directly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but it affected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rough the satisfaction with life. That i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hows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s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s such as housing, cultural facilities, public transportation affect on the aged's settlement consciousness so that they should be age-friendly.

정신장애인의 체험홈 이용경험에 관한 연구 (The Lived Experiences of Supported Housing among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 구춘영;김미영;구진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11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들의 체험홈 이용 경험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자 현상학적 접근을 활용하였다. 총 9명의 정신장애인들이 연구참여자로 모집되었으며, 2016년 9월부터 2018년 3월에 걸쳐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든 자료는 녹음하였으며, 자료는 Colaizzi방법으로 분석하었다. 분석결과 6개의 주제모음, 17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1) 생활터전의 혼란스러움, 2) 체험홈에서 느끼는 여유로움, 3) 나에 대한 인식이 변화함, 4) 주도적인 행동을 선택함, 5) 스스로 살아가는 힘을 키움, 그리고 6) 진정한 삶에 통합함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정신장애인을 위한 체험홈 프로그램 확대 및 프로그램 질 향상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와 더불어, 정신장애인에 대한 정신건강서비스 개입과 회복을 위하여 전문지식을 갖춘 사례관리자 확대가 정신보건영역에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성의 경제생활 위험인식이 출산 격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men's Economic Risk Perception on the Fertility Gap)

  • 정윤태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2호
    • /
    • pp.219-241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경제생활 위험인식이 출산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여성이 체감하는 실업 빈곤의 위험, 주거불안의 위험, 금융불안의 위험, 경기침체 불안의 위험 등 경제생활 위험이 실제 출산한 자녀의 수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의 수의 차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14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생활 위험의 발생 가능성을 심각하게 인식하는 여성일수록 출산한 자녀의 수가 적은 반면 출산 격차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중등학교 주생활교육 관련연구 내용분석 (Contents Analyses of Housing Educational research in Home Economics of Secondary School)

  • 박미진;유인영;임일영;이종희;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5-49
    • /
    • 2007
  • 우리나라에서 중등학교 주생활 단원에 대한 연구 발표는 1985년에 시작하여 1989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와 1990년 주거학회지가 창간되면서 본격화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1985년부터 2006년까지 발표된 주생활 교육 관련 연구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주생활 교육 연구의 현황과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1985년이후 최근까지 발표된 석 박사학위논문, 연구 보고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생활과학학회지, 한국주거학회지, 대학논총 등에 게재된 연구와 논문 중에서 중등학교 주생활 단원만을 독립적으로 연구한 것으로 한정하였다. 기술 가정교과 연구 중의 일부로 주생활단원이 포함되어 있는 연구나 논문 형식을 갖추지 않은 연구 자료는 제외하여 총 24편을 선별하였다. 24편 중 주생활교육 논문 14편과 주생활교수 학습관련 논문 10편으로 나누어 내용분석 하였으며, 세부적인 항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빈도와 백분율 등의 통계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생활교육연구는 1985년 이후 발표되기 시작하여 학회지 발표 논문과 학위논문을 합쳐 24편에 불과하였으며, 학위논문의 경우 한국교원대에서 집중적으로 발표되고 있어 연구가 질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가정과교육을 연구하고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양적으로 증가될 필요가 있겠다. 둘째, 연구주제는 주로 실태와 인식, 자료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로 대부분 두 주제로 다루고 있었다. 연구문제 선정시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사교육, 장학, 실험?실습 등 연구영역과 주제가 다양화될 필요가 있겠다. 셋째,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질적연구는 1편에 불과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례연구, 질적 연구, 문헌 연구 등 연구 방법을 다양하게 확대할 필요가 있겠다. 넷째, 통계처리 방법은 주로 빈도와 백분율, t-검증, ANOVA 등 단순통계를 활용한 경우가 많았다.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고급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겠다.

  • PDF

장기공공임대주택의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유형 분석 (Typological Analysis of Sustainable Renovation for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 이지영;윤영호;이지은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1호
    • /
    • pp.55-63
    • /
    • 2013
  •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삶의 질 향상 지원법" 제 개정으로 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및 증축동 신축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같이 리모델링의 법적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앞으로 장기공공임대주택에 시행될 리모델링의 목표, 공간, 주기, 아이템, 프로세스 등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요구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둔 리모델링 유형 제안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제시된 리모델링 유형은 그 시행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가능성 확보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영구임대주택의 현황 및 입주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선진 국가의 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사례를 분석하여, 개선환경 별 주요 리모델링 목표를 도출하였다. 먼저, 국내 외 현황 분석은 장기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과정에서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 도모를 위한 포괄적인 리모델링 설정과 다양한 리모델링 유형 및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적용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또한, 영구임대주택단지 입주자를 대상 설문조사로, 주택의 물리적환경개선(주택 및 시설 노후화 개선)과 사회적 환경개선(단지의 부정적 이미지 개선)과 관련된 거주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같이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물리적 사회적 환경 개선요소를 도출하였으며, 7개의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유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같이 제시된 리모델링 유형은 리모델링의 지속가능성 확보 및 입주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중소규모 아파트 거주자의 대표적인 주생활행태 - 3침실형 30평형대를 대상으로 - (The Behavioral Patterns on Residential Spaces among Middle-size Apartment Residents - with special reference to 30s pyong apartment with 3 bed rooms -)

  • 김미희;이유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21-2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behavioral patterns on residential spaces such as the patterns of residential space usage and perception on residential spaces.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426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 with 3 bedrooms, stairway access, and 3-bay style in the City of Seoul, Busan, and Gwangju, during the month of September in 2004.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factor analysis by using the SPSS 10.0 for windows, and with proc iml by using SA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at: 1) The most typical activities in the Anbang are $\ulcorner$sleeping and getting dressed$\lrcorner$, $\ulcorner$family communication and T.V. watching$\lrcorner$, and $\ulcorner$private affairs$\lrcorner$ ; Anbang(master bedroom) has been perceived and used as couple's private area. 2) Living room was used as a multi-purpose room carrying out various activities such as $\ulcorner$family interaction$\lrcorner$, $\ulcorner$entertaining guest with meals$\lrcorner$, $\ulcorner$children's private affairs$\lrcorner$, $\ulcorner$private affairs$\lrcorner$, $\ulcorner$hobby activities$\lrcorner$, $\ulcorner$clothes management$\lrcorner$, $\ulcorner$couple interaction$\lrcorner$, and $\ulcorner$occasions$\lrcorner$. 3) The representative patterns of activities in dining-kitchen was food $\ulcorner$preparation$\lrcorner$, and the need for social interaction in DK has been growing. The patterns of residential space usages can be us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unit plan of Korean middle-size apartment.

공간의 깊이감 지각과정에 나타난 시각정보획득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Visual Attention during Spatial Depth Perception)

  • 김종하;조지영
    • 감성과학
    • /
    • 제21권1호
    • /
    • pp.115-128
    • /
    • 2018
  • 디자인 과정과 실제 공간을 사용함에 있어 공간감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동일한 공간이라도 어떻게 디자인하느냐에 따라 공간의 깊이감에 대한 지각이 달라질 수 있다. 공간의 3차원적인 속성인 넓이, 깊이, 높이 중 넓이와 높이감에 대한 이론과 연구들에 비해 깊이감에 대한 이론이나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데 이는 넓이나 높이에 비해 공간의 깊이감이 초래하는 효과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던 원인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Computer Graphic으로 제작한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시선추적장치를 이용하여 깊이감에 대한 지각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44명의 실내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실험에 참가하여 마주보이는 벽면에 깊이감을 자극하는 구성요소를 달리한 3개의 이미지를 보며 가장 깊어보이는 공간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이미지간에 주시시간의 차이가 나타났고, 가장 깊어 보이는 공간에 대한 응답에 따라서도 주의집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깊이감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기존 정설에 대한 정량적인 타당성을 제시하고, 이상적인 공간의 깊이감을 얻을 수 있는 디자인 방법 개발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수도권 아파트 거주자의 그린홈에 대한 인식 및 그린주거생활 실천 실태 (Green Life of Apartments Resi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김환준;이현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61-26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residents on green home and their green residential life.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items consisted of whether green home was perceived and how well green residential life was maintained in 6 types of environments. A total 118 responses of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s of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Win 18.0,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lightly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green home, and the vast majority were in favor of the green home policy; 2) most of the respondents carried out guidelines of green residential life, and in particular, green living on air environment was well done, followed by consumption, waste, energy, traffic and water; 3) the six kinds of environments were subcategorized by using factor analysis, and 3 to 5 factors were included in each category of environment. Also, it was found that age, educational level, employment status of respondents, housing tenure and duration were related to the degree of green residential life. In midst of global movement toward sustainability, environmentally friendly living is not optional but mandatory, so it's important to change each individual's value on the relation between people and environment and to facilitate more environmentally conscious behavi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