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ing Culture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25초

셰어하우스 공용 공간에 나타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적(無自性的)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본 셰어하우스 공용공간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Non-Characteristic Spac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Shown in Public Space of Sharehouse)

  • 윤득근;김개천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9권
    • /
    • pp.515-525
    • /
    • 2015
  • 급속한 1인가구의 증가함에 따른 1인 소비, 1인 경제의 개념이 강조되는 현재 한국은 1인 가구 비율이 25.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이러한 급격한 증가와 비례하여 수도권의 주택문제와 더불어 이기주의, 개인이 느끼는 외로움, 범죄와 같은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대한 대안의 움직임으로 공동체와 커뮤니티 문화, 그리고 공간의 공유와 나눔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셰어하우스 문화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각 매체에서도 셰어하우스와 같이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내용이 자주 등장한다. 일본에 많이 보급되고 익숙하게 받아들여지는 셰어하우스는 경제적 부담을 줄일 뿐 만 아니라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등 경제적 이점을 넘은 공유가 주는 이점을 대변하는 삶의 방식이다. 본 연구는 셰어하우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공간을 사용하는 상황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 이를 공동생활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황이 발생하고 이를 자연스럽게 수용했던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셰어하우스의 공간을 분석하고자 한다.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Develop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 윤남희;손상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63
    • /
    • 2018
  • 본 연구는 실천적 추론 과정을 통해 생활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맥락을 살펴보고, 건강한 통일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중학교 가정교과에서의 통일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를 선정하고 이를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 학습 콘텐츠 개발 모형 단계에 따라 통일교육지침서와 통일교육 선행 연구, 북한이탈주민 관련 선행 연구와 2015 개정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중학교 가정교과에서의 통일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를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 추출한 뒤 실천적 추론 과정을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생 활동지를 개발하였고, 두 차례의 전문가 집단 평가 결과를 토대로 최종 개발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의 목표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바탕으로 남북한 생활문화의 차이를 존중하고 공동의 가치를 발견하며, 통일사회에서의 발생 가능한 실천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건강한 통일공동체 형성을 위한 능력을 배양한다.'로 선정하였다. 둘째,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의 내용 체계는 '생활문화 중심의 통일교육'을 핵심주제로 선정하고 내용 요소들은 남북한 생활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맥락 이해, 남북한 소비생활환경의 이해, 남북한 생활문화 관련 언어, 북한 음식을 포함한 지역별의 식생활 문화의 다양성 유지, 사회적 규범과 옷차림, 올바른 주거가치관과 공동주거생활 예절의 6가지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앞서 도출된 중학교 가정교과에서의 통일교육의 목표를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를 '건강한 통일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선정하였다. 셋째, 중학교 가정교과 통일교육의 교수 학습 과정안은 통일에 대한 문제 인식하기, 남북한 생활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하기, 행동의 결과 및 파급효과 파악과 대안적 방법 선택하기, 건강한 통일공동체 형성을 위한 실천하기의 4가지 주제를 포함한 총 8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35개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호주인과 호주교민의 주공간 사용 및 주생활을 통한 주거문화 비교에 관한 연구 - 멜버른(Melbourne)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Housing Cultures between Korean-Immigrants and Australians in Melbourne, Australia)

  • 이영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1호
    • /
    • pp.159-179
    • /
    • 2006
  • Each ethnic group has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each culture has developed with its own traditions. Th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cultures is getting more active through acculturation and cultural cont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omestic living of Korean immigrants with Australians in the form of a Cross-Cultural study. For this, usage of domestic space and seating style of 52 Korean households and 53 Australian households in Melbourne were analyzed. Ethnographic research with questionnaire was us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most popular type of Living-Dining-Kitchen arrangement was L+ K. D for Koreans and L. D . K for Australians. 2. A laundry room was indispensable for both and they all wanted to do ironing in there as well as dry. Both were satisfied with the type which toilet was separated from the bathroom Drain hole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was not indispensable for most Koreans and Australians. 3. Koreans and Australians were doing various activities in living area and both were getting together around kitchen(dining) area. The particular thing of Koreans was that they were using the main bedroom with multiple purpose. 4. The seating style of Koreans and Australians belong to chair-seating style generally. But Koreans were using floor seating style in making bed for the guest and making Kimchi. Koreans and Australians were using mixed style of floor seating and chair-seating in relaxing time with watching TV, treating guest or so. 5. Koreans were not satisfied with using carpet cause of dust but Australians were satisfied with the carpet cause of warmness. 6. Most Koreans and Australians were take off shoes inside of the house. Koreans were organize shoes around the front door of the house usually and Australians were organize shoes in bedroom usually. 7. The most popular heating system was ducted heating for both.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ducted heating was low for Koreans because they though that it could contaminate air. Australians were satisfied with ducted heating because they though that this one was fit on the weather of this area. 8. Living room was the most important one for Koreans and Australians and they also thought it should be decorated well for entertaining guests. Most Koreans were estimate that the brightness of the light of the house was not enough but it was estimated to moderate for Australians on the contrary.

서울시 주민생활지원을 위한 공공시설의 현황 및 복합화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Research on the Status Inquiry and Complex Characters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Community Life Style in Seoul)

  • 서귀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9-30
    • /
    • 2010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existing public facilities, in order to propose the necessary basic materials for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improved public facilities to assist communities.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the public faciliti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roughout the 25gu in Seoul. The methods of this research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home page of each facility, telephone inquiries and gujung backseo.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3 times between the periods of January-June and September in 2009.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rough the investigations of classifications and distribution status of 5 public facilities over 25gu, quantity supply problems were analyzed. 2) Building distributions of 5 public facilities were classified by types and analyzed. 3) A number of compound faciliti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 complexities of the 5 public facilities. 4) Complex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facilities in 25gu in Seoul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1) Public facilities throughout the 25gu in Seoul have common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and they are spread out evenly in each gu. This means that public facilities are standardized in Seoul. Characteristic public facilities suitable to each gu should be planned accordingly. 2) Public facilities in Seoul show a single form of one facility. Therefore, initiative plans for the complexity of facilities are required. 3) Complex public facilities in Seoul need to be the center of community life in each gu.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diverse life styles and classified needs of residents for complex facilities. Based on the research, complex types such as public administrative+cultural facilities, culture+welfare facilities, medical+welfare facilities can be presented. These complex types should not be classified according to any particular use, but they should be commonly used by diverse generations and every social class. The inquiries of users of public facilities and the programs of each public facility are not included in this research. Thus, the reseaarch limits the proposals for complex public facilities. In the futu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u in Seoul should be studied and understood, so that appropriate public facilities and their complex plans can be researched continuously and necessarily.

GIS를 이용한 신도시개발 가능지역 선정 연구 -몽골지역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Selection of New Town Area Using GIS -in Mongolia -)

  • 최병길;나영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73-28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GIS의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몽골지역의의 신도시 가능 지역에 대한 공간설계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현재 몽골 지역의 경우 수도인 울란바토르 주변으로 신도시 개발의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마땅한 관련근거나 공간설계기법이 적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의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신도시 개발가능지역을 추출하고, 주거단지, 정수장, 하수처리장, 발전소, 종합공원, 쓰레기 소각장 등에 대한 공간설계 방안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대상지역에서 주거단지는 하천 및 도로주변에, 식수원인 정수장의 경우 양질의 수질이 확보된 하천 상류 지역에, 하수처리장의 경우 오염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하류지역에, 발전소는 상류지역에 입지하고, 생활 문화 공간인 공원단지는 기존 시설을 보수, 확장하도록 설계 하였다. 교통망의 경우 신도시개발과 더불어 수요예측을 통하여 확충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공간 설계에 대한 타당성 및 경제성 조사를 통하여 설계 변경을 위한 탄력적인 면도 반영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혁신도시의 지속가능한 혁신창출을 위한 관리기구 설립방안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to Install of Management Organization for the Sustainable innovation Creation in Innovation City)

  • 김홍주;김륜희;이영환;김경식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2호
    • /
    • pp.127-136
    • /
    • 2012
  • 정부는 수도권으로의 집중을 해소하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고자 2005년 전국10개 지역에 혁신도시를 지정하였다. 혁신도시는 공공기관을 지방에 이전하여 기업 대학 연구소 공공기관 등의 기관이 서로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는 혁신여건과 높은 주거 교육 문화 등의 정주환경을 갖추도록 개발하는 미래형 도시개념이었다. 혁신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현재 한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혁신도시 비즈니스센터가 향후 혁신도시의 혁신창출을 위한 관리기구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도시 조기정착 및 활성화를 위해 운영 중인 혁신도시 비즈니스센터가 한시적 기구가 아니라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혁신도시의 부지조성 이후 혁신도시 조성목표인 공공기관의 이전과 산학연 클러스터구축, 혁신창출, 혁신확산의 중심주체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구의 역할정립 방안을 연구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책사업의 관리기구에 대한 연구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고 향후 개발사업에 대한 중장기적인 관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거의 투기화, 투기의 여성화 -1970~1980년대 한국 서사에 나타난 복부인의 형상화 양상 연구 (Feminizing of Real Estate Speculation -A Study on the Bokbuin in the Korean Narratives in 1970s~1980s)

  • 전봉관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4호
    • /
    • pp.321-359
    • /
    • 2019
  • 1970년대 이후 강남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아파트는 한국 중산층의 주거 문화를 획기적으로 변모시켰다. 아파트가 한국인 대부분이 꿈꾸는 이상적인 주거지로 탈바꿈하면서 아파트 가격은 폭등했고, 그에 따라 아파트가 중산층의 주요한 자산 증식의 대상으로 부상했다. 아파트가 투기의 대상으로 변질되면서 복부인이 그러한 폐단의 원흉으로 지목되었다. 본 연구는 복부인을 둘러싼 담론과 복부인을 형상화한 서사 작품을 분석하여 1970년대 이후 한국에서 왜 주거가 투기의 대상으로 변질되었으며, 왜 복부인으로 대표되는 중산층 주부가 투기의 주역으로 지목되었는지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한국의 아파트 투기는 경제적, 사회 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으므로, 복부인에게만 전적으로 책임을 전가하기는 어려웠다. 아파트 가격 폭등으로 정부는 손쉽게 주택보급률을 끌어올릴 수 있었고, 개발업자와 건설업자는 막대한 개발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대부분 젊은 남성들이었던 부동산 중개업자들도 중개수수료를 얻기 위해 복부인들의 아파트 거래를 부추겼다. 하지만 정부, 개발업자, 건설업자, 중개업자의 이익 추구는 '정상적인' 경제 활동으로 간주되었던 반면, 아파트의 소비자이면서 투자자였던 복부인의 이익 추구는 일부 탐욕스러운 여성들이 자행한 '비정상적인' 투기로 지탄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투기의 여성화'라고 규정하고, 그 사회문화적 원인을 해명하고자 한다. 임권택의 영화 <복부인>, 박기원의 콩트 <복부인>, 박완서의 소설 <낙토의 아이들>, <서울 사람들>을 분석하면, 1970~1980년대 한국의 아파트 투기는 가정주부가 주도했다기보다는 부부 공동의 몫을 가정주부가 떠안았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결국, 복부인은 남녀가 함께 관여한 부동산 투기를 '여성화'한 것에 불과하며, 그러한 의미에서 여성 혐오의 한 가지 양상이었다.

예비 가정과교사를 위한 통일대비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Family Life Culture Education Program in Preparation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aimed at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 이윤정;김유경;송지은;안순희;이연숙;이예영;이하나;임정하;정순화;정민영;한영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5-143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 가정과교사들의 남북한 간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도와 수용을 고양시킴으로써 중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북한의 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하여 북한의 가정생활문화의 전반적 측면들을 반영하도록 내용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교사양성기관의 가정교육과 학부학생들 3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은 15차시의 150분짜리 수업으로 구성되었다. 첫 3회의 수업은 가정생활문화와 다문화주의를 정의하고, 남북간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포함하는 도입 수업으로 이루어졌다. 이후의 9차시 동안에는 북한의 가정생활문화를 5개의 영역(소비 및 여가생활, 가족생활 및 양육, 식생활, 주생활, 의생활)으로 나누어 다루었다. 마지막 2차시 동안에는 예비교사들이 설계한 교수-학습과정안을 가지고 수업실연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가 실시되었으며, 전반적인 교수 효능감과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도의 변화를 대응표본 t-검증으로 검증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의 결과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남북한 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고양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냉장육 소비전력을 위한 소비자 외식 기호도 연구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ning-out preference and behavior of consumers for the chilled meat consumption strategy in Seoul-Kyunggi Area)

  • 배영희;황대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69-182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sumers' Dining-out preference and behavior for the chilled meat consumption strategy . A total of 328 persons in Seoul, Kyunggi area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and were responded to this study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six parts with 65 statements about chilled meat consumption. 1. The frequency of Dining-out is characterized that 'once a month' is the highest pattern of consumers(46.3%) : In that cases, the married people showed 'once a month'(52.7%) and 'once biweekly'(23.3%), but the unmarried people showed the more frequent pattern as 'once a week'(27.3%) and 'twice a week'(27.3%). And the frequency of Dining-out in relation with the education level revealed that 'the graduate people' are the highest (37.5%). 2. Generally the first food for the Dining-out is 'Kalbi'(26.2%), and the others were 'pork grilling','chilled meat grilling','fish sasimi','chinese foods','pizza' etc.... But there were some variation in relation with incomes and housing types: For the agriculture/physical labor class, they prefers the 'pork griling'(25.0%), the office work class prefers the 'Kalbi' For the house-owner group, they prefers the 'Kalbi', but the house-renting/lodging group, they prefer the 'chinese food' or 'pork grilling' etc.... 3. In choosing the Dining-out place,'quality of food'(54.3%) and 'hygiene'(21.0%) were rated as the first important factor. 4.'Soups', 'Noodles' and 'Cooked rice in casserole' were chosen as good lunch menu : for male, they prefer the 'Soups', but females prefer 'Cooked rice in casserole'. 5. People with commercials/services(44.7%) and agriculture/physical labor(50.0%) ate their lunch in private restaurant, but peoples in the office work(57.0%)/public service personnel(70.4%) and industry use refectory; and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6. Consumers prefer the chilled meat as a Dining-out menu, but they didn't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chilled meat and frozen meat 7. For Dining-out menu, many people proper the beef, but the price of beef was so high than pork, agriculture/physical labor class choose the pork grilling instead of beef : commercials/services/office worker prefer the beef chilled meat . 8. The first admirable cooking method for chilled meat is direct radiation grilling with charcoal and many of consumers prefer tender, marbling, some chewy and juicy, flavor, soft as a quality of meat but physical labor class prefer the some tough and chewy texture.

  • PDF

초기 근대 의약품 광고 담론분석: 근대적 아픔의 주체와 경험에 대한 소고 (The Modern subject and experience of pain described in medicine advertisements in the early modern times.)

  • 이병주;마정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2권
    • /
    • pp.247-293
    • /
    • 2006
  • 이 연구는 근대 의약품 광고에 드러난 신체 담론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근대 형성기에 대한 미시적 접근은 일상사의 영역연구에서 두드러지는데, 일상적인 영역이야말로 사람들의 구체적인 경험이기 때문이다. 특히 근대 광고에는 당시 생활세계를 구성했던 대중문화, 소비문화, 성, 가족, 의 식 주, 질병 등의 구체적인 영역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근대 이후 일상생활의 재조직화에서 신체는 이전까지 상속되고 신분적 질서에 의해 규정되었던 전근대적인 신체와 달리 어떤 규칙과 가치 속에서 자신의 신체를 자기 스스로 만들고 조립하여야 하는 근대적인 신체로 변화했다. 이 연구는 의약품 광고를 통해서 그 당시 사람들이 자신의 신체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했고 분석방법으로 푸코의 담론형성이론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근대 초기의 의약품 광고 각각의 텍스트를 가로지르는 몇 가지 공통의 규칙, 즉 담론-장치를 찾을 수 있었고, 그 규칙성 속에서 의약품 광고가 근대적 아픔의 주체를 구성하는 과정을 살필 수 있었다. 근대 의약품 광고에 투영된 '임상의학적 시선의 내면화'와 '자기감시'라는 규율 권력적 요소는 '근대적 아픔의 주체' 형성에 기여했고, 사회 권력과 접합된 방식으로 표상되기도 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