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efly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42초

집파리유충 hemolymph 중신형의 anti-fungal peptides의 분리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Novel Anti-Fungal Peptides from Hemolymph of Immunized Larvae of Housefly, Musca domestica)

  • ;;;성창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87-395
    • /
    • 2006
  • 유도된 집파리유통 hemolymph중에서 Candida albicans의 3가지 anti-fungal peptides를 분리하였다. 3개 anti-fungal peptides는 분자량이 4-16 kDa 사이의 분명한 구별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peptide는 anti-fungal peptides작용이 있었다. 이들 peptide의 공통 특징은 모두 열을 받은 뒤 활성이 변하지 않는 비교적 강한 내열성을 보여주었다.

IGR계 살충제가 집파리 유충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insect growth regulators on the development of housefly, Musca domestica L., larvae)

  • 박정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37-146
    • /
    • 1998
  • 축산지대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집파리 (Musca domestica)의 방제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에 등록되어 있는 곤충생장조절 작용이 있는 몇가지 살충제와 imidacloprid 5% WP를 유충의 먹이에 섞어 줌으로써 유충에 대한 치사작용과 번데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실험에는 1997년 경남 함양의 돈사(豚舍)에서 채집한 집파리를 실험실에서 사육하여 사용하였다.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 tebufenozide 등 IGR 계통의 살충제를 집파리 2령충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3령표피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유충에 대한 치사효과가 높았고, 3령충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정상적인 번데기 표피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기형번데기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유충에 대한 치사작용과 기형번데기의 형성에 의한 총사망율은 먹이에 섞어준 약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령충에 처리하였을 때 95%이상의 총사망율을 나타낸 농도는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 imidacloprid에서 각각 5 ppm, 3 ppm, 30 ppm, 5 ppm, 1,000 ppm이었고, tebufenozide는 1,000 ppm에서 91.7%의 사충율을 나타내었다. 3령충에 처리하였을 때 95%이상의 총사망율을 나타낸 농도는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에서 각각 100 ppm, 10 ppm, 300 ppm, 10 ppm이었으며, tebufenozide와 imidacloprid는 다른 약제에 비하여 집파리 유충에 대한 치사효과가 떨어져서 각각 1,000 ppm과 300 ppm의 높은 농도에서도 총사망율이 36.1%와 86.7%에 불과하였다. 집파리의 번데기가 외형상으로는 정상이라 하더라도 약제 처리에 의하여 무게가 감소하였다. Teflubenzuron, flufenoxuron, tebufenozide, imidacloprid 처리에 의한 무게감소 현상이 뚜렷하였고, diflubenzuron 과 triflumuron은 무게 감소효과가 적었다. 따라서 IGR계통의 살충제는 유충을 치사시키거나 기형 번데기를 만들어 성충으로 우화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번데기의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차세대의 산란수에도 영향을 미칠것으로 생각된다.

  • PDF

Cloning and Site-Directed Mutagenesis of Musca domestica Acetylcholinesterase for Enhancing Sensitivity to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Insecticides

  • Kim, Chung-Sei;Kim, Su-I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1호
    • /
    • pp.1760-1772
    • /
    • 2006
  • Mature acetylcholinesterase (AChE) gene (gm, 1,836 bp) was cloned from the housefly and successfully expressed in the E. coli CodonPlus (DE3) RIL system (GM-E, 72 kDa) with a yield of 1,630 mU/g fresh cells. Using the gm, 10 kinds of mutants were constructed and expressed for enhancing sensitivity to insecticides. The sensitivity of these mutants to five kinds of organophosphate (OP) and three carbamate insecticides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apparent bimolecular inhibition constant ($k_i=k_2/K_d$). Surprisingly, the sensitivity of quadruple mutant IGFT was enhanced as much as 7-fold for acephate, 164-fold for demeton-S-methyl, 484-fold for dichlorvos, 523-fold for edifenphos, 30-fold for ethoprophos, 30-fold for benfuracarb, 404-fold for carbaryl, and 107-fold for furathiocarb, compared with that of GM-E, although the sensitivity of each single point mutant was slightly increased. These mutational studies indicated that (i) contradictory to Walsh et al. [39], the residue 327 is the important key residue for enhancing sensitivity as much as the residue 262, (ii) the residue 82 and additional residues of 234, 236, and 585 are also important, and (iii) sensitivity was cooperatively accelerated as the number of strategic mutations increased.

유충의 먹이에 처리한 IGR계 살충제가 집파리의 성충과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insect growth regulators on adult and egg viability of the house fly, Musca domestica L. applied via larval medium)

  • 박정규;김두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8-83
    • /
    • 1999
  • 집파리(Musca domestica) 3령 유충의 먹이에 imidacloprid (30, 100 ppm)와 IGR계 살충제인 flufenoxuron (3, 10 ppm), triflumuron (10 ppm) 및 teflubenzuron (3 ppm) 등을 섞어주었을 때, 이들 약제가 번데기의 무게, 성충의 수명, 산란수, 산란된 알의 부화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실에서 검토하였다. Imidacloprid 100 ppm 을 처리하였을 때 번데기의 무게는 감소하였으나 산란수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flufenoxuron 10 ppm을 처리하였을 때는 무처리나 다른 처리를 비해서 번데기 무게가 감소하고 산란수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처리한 약제의 종류나 농도에 관계없이 우화한 성충의 수명이나 그 성충이 낳은 알의 부화율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 PDF

Profenofos에 대한 집파리(Musca domestica L.) 저항성 유전자의 연쇄군 해석 (Linkage Group Analysis of Profenofos Resistance in the Housefly(Diptera: Mucsidae))

  • 박정규;정야준부;안용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9-163
    • /
    • 1996
  • 유기인체 살충제인 Pyraclofos에 저항성인 집파리를 profenofs로 7세대 도태시킨 P-Pro 계통을 이용하여 Pro-fenofos 저항성의 유전학적인 분석을 행하였다. Profenofos저항성은 불완전우성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가시돌연변이로 각 염색체를 표식한 감수성 ac;ar;bwb;ye;snp 계통을 이용하여 $F_1$male-backcross에의한 연쇄군분석을 한 결과, 이 계통의 profenofos 저항성의 우성유전자는 각 염색체에 고루 존재하지만 제 2 염색체와제 5염색체 상의 유전자에 크게 지배받으면 웅성결정인자 M은 제 3염색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