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ospital Treatment

검색결과 18,217건 처리시간 0.052초

방사선근접치료 분야의 선량 측정을 위해 제조된 Lead(II) Iodide 선량계의 적용가능성 연구 (The Study on Applicability of Manufactured Lead(II) Iodide Dosimeter for Dose Measurement in Brachytherapy)

  • 양승우;한무재;박성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89-794
    • /
    • 2021
  • 근접방사선치료는 방사선동위원소를 신체 내부에 넣어 종양에 방사선을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치료법이다. 근접방사선 치료는 고선량율의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선원의 위치 및 선량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임상에서는 ruler, autoradiograph등을 통하여 육안으로 부정확하게 평가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ead(II) Iodide(PbI2) 물질을 사용하여 방사선근접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선량계를 개발하고, 재현성, 선형성, PID 항목을 분석하여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재현성 평가 결과, RSD 값은 1.41%로 평가기준 1.5%를 만족하였다. 선형성 평가결과, R2값은 0.9993으로 평가기준 0.9990을 만족하였다. PID 평가 결과 50% 선량 감약지점에서 거리의 역자승 법칙의 이론값과 비교하여 0.06 cm의 차이만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제작된 선량계는 모든 평가에서 기준치를 만족하는 결과값을 나타내어 방사선근접치료 영역에서의 선량계 적용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산후 한의진료를 받은 고위험산모와 일반산모의 한의진료 체중변화에 대한 후향적 분석 (Retrospective Analysis on Body Weight Change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of Women of High-risk Pregnancy Experience and General Health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s.)

  • 이은희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5-78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weight change of the high-risk group and the general maternal group and weight-relating factor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ose who received postpartum care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0,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affiliated with one Korean Medicine hospital. A total of 257 postpartum women's medical charts were included and divided into the high-risk group and the general maternal group. We investigated the weight changes and Body mass index (BMI) of the postpartum women and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aking the postpartum care. Finally, we used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weight-relating factor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Results: All the postpartum women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33.81±4.03 years old as the mean age; 22.23±3.28 as pre-pregnancy BMI; 58.21±9.18 kg of pre-pregnancy weight increased into 70.75±9.70 kg in the last month of pregnancy. Of the total 257 patients, 149 (58.0%) of high-risk pregnancy experience and 108 (42.0%) of general pregnancy were included. The edema index right after childbirt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risk group than in the general maternal group (p<0.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After treatment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s, body weight, BMI, and edema index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p<0.01).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re-pregnancy weight and pre-pregnancy BMI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and BMI of the last month of pregnancy. In particular, pre-pregnancy BMI and body weigh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nly in the high-risk group. Postpartum weight los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pregnancy weight, pre-pregnancy BMI, weight & BMI of the pregnancy last month,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decrease in edema (p<0.01) Conclusions: The weight during pregnancy of the high-risk group increas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pre-pregnancy BMI. The level of edema right after childbirt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maternal group, bu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2 week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s. Although it implicates the need for active Korean medicine treatment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further studies with controlled groups are needed.

일 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Zolpidem-Using Suicide Attempts in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Department)

  • 맹헌규;이진희;민성호;김민혁;권윤나;진시영;김흥규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144-152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과 다른 방법을 사용한 자살시도군을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응급실에 내원한 총2734명의 자살시도자를 대상으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 졸피뎀 외 약물 음독 자살시도군, 비약물 자살시도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세 군에 대하여 사회인구학적 특성, 자살시도와 관련된 임상적 특성들에 대해 교차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과 비약물적 자살시도군에서 차이를 보인 변수들에 대한 회귀 분석 결과에서, 안정제/수면제의 사용과 치명도가 낮거나 의도의 심각성이 높지 않은 경우가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었다. 유사한 특성을 보인 음독군 내에서도 안정제/수면제의 사용은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 내원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과 다른 방법을 사용한 자살시도군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졸피뎀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약물적 치료를 계획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pplication of Topical Madecassoside Cream in Dogs and Cats with Skin Diseases

  • Ro, Woong-bin;Kang, Min-hee;Song, Doo-won;Kim, Heyong-seok;Lee, Ga-won;Kang, Hyun-min;Kim, Jong-won;Park, Su-bin;Jeon, Jin-ha;Keum, Jong-seon;Park, Won-keun;Ko, Jin;Sim, Sue-kyoung;Lee, Hyun-Jung;Park, Hee-myu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6-62
    • /
    • 2021
  • Madecassoside, an active ingredient extracted from Centella asiatica, is used for treatment of various skin disorders in humans. However, the effect of madecassoside on the skin of dogs and cats has not been studi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efficacy of topical madecassoside cream in dogs and cats with skin diseases. A total of twenty-one dogs and ten cats with various skin diseas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1% topical madecassoside cream was applied to the animal's skin lesion at least once a day for 7 days, and the skin condition was evaluated before the application of madecassoside cream (day 0) and 7 days after the application (day 7). The skin condition was scored by five clinical indices: canine atopic dermatitis extent and severity index-4 (CADESI-4), coat condition, pruritus, scale, and general condition. In dogs, all five clinical indices (CADESI-4, coat condition, pruritus, scale, and general condi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 day 7 compared to those on day 0 (p < 0.0001, p < 0.05, p < 0.001, p < 0.01, and p < 0.05, respectively). In cats, the CADESI-4 and scal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 day 7 compared to those on day 0 (p < 0.01 and p < 0.05, respectively). No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during the trial period in the dogs and cats includ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topical madecassoside cream is applicable to skin lesions in dogs and cats.

Kidney transplantation using expanded criteria deceased donors with terminal acute kidney injury: a single center experience in Korea

  • Ko, Kyung Jai;Kim, Young Hwa;Kim, Mi Hyeong;Jun, Kang Woong;Kwon, Kyung Hye;Kim, Hyung Sook;Kim, Sang Dong;Park, Sun Cheol;Kim, Ji Il;Yun, Sang Seob;Moon, In Sung;Hwang, Jeong Kye
    •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
    • /
    • 제95권5호
    • /
    • pp.278-285
    • /
    • 2018
  •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outcomes of deceas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KT) using kidneys with terminal acute kidney injury (AKI). Methods: Between February 2000 and December 2013, we performed 202 deceased donor renal transplants from 159 brain dead donors. According to the expanded criteria donor (ECD) and AKI network criteria, we divided 202 recipients into 4 groups: Group I: Non-AKI & standard criteria donor (SCD) (n = 97); group II: Non-AKI & ECD (n = 15); group III: AKI & SCD (n = 52); and group IV: AKI & ECD (n = 38). Results: The incidence of delayed graft function (DF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KI than it was in the non-AKI group (P = 0.00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4 groups in graft survival (P = 0.074) or patient survival (P = 0.090). However, the long-term allograft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V than it was in other groups (P = 0.024). Conclusion: Allografts from deceased donors with terminal AKI had a higher incidence of DGF than did those from donors without AKI.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ft and patient survival rates among the groups. So, the utilization of renal grafts from ECDs with terminal AKI is a feasible approach to address the critical organ shortage.

간 손상으로 유도된 랫드에서 MSE가 활성 변화와 분자생물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SE on Activity and Molecular Biology in Rat Induced Liver Injury)

  • 예춘정;이태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20-526
    • /
    • 2019
  • 본 실험은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는 식품들을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추출물(시료추출물, MSE)이 간 손상의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건강기능성 영양식품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사염화탄소에 의한 랫드의 간 손상을 간경화 수준의 60%로 유발시켜 추출 물질의 투여에 따른 간 질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혼합수추출물(MSE)의 용량은 군별 다르게 투여 하여(0.50ml, 0.75ml), 간 손상된 랫드에 미치는 생리활성 기능과 생화학적 기능 및 분자생물학적 TGF-${\beta}$, P53을 측정하여 혼합추출물의 투여 후 기능 변화를 분석 하였다. 실험은 정상군, 대조군, 양성대조군, 실험군1, 실험군2 군으로 하여 군당 6마리씩 총 30마리를 이용하였고, 지정된 용량으로 1일 1회 일정한 시간대에 주 6회씩 6주간 적용 후 처치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정상군과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실험군(1, 2) 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낮아졌으며, 정상군과 양성대조군 비교에서도 실험군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군(1, 2)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일부 있었으나 유의성 있는 많은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생리활성 변동과 간 분자생물학적 발현 정도를 동일 분야연구에 활용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보수교육에 대한 의원방사선사의 만족도와 문제점 분석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Problems of Clinic Radiological Technologist on the Supplementary Education)

  • 정봉재;박준홍;송재흥;노시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861-868
    • /
    • 2018
  • 본 연구는 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보수교육에 관한 연구로 보수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보수교육에서 개선하여야 할 사항을 연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설문지로 2016년 11월 01일부터 2017년 04월30일까지 경남 창원에 소재하는 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교육참석 및 방문을 통한 조사로 이루어 졌으며, 설문지 총150부를 배부하여 연구에 적합한 106부를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연령, 성별, 근무경력, 학력, 근무부서로 하였으며, 보수교육에 대한 만족요인으로는 제도, 주제, 도움, 강사선택의 적절성, 전문성 등, 총 21가지 요인으로 하였으며, 보수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장소, 교통편, 다양성, 행정처리, 홍보, 방법 등, 총18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보수교육에 대한 만족도 (3.02점)와 보수교육에 대한 문제점(3.18점)은 보통수준으로 보수교육에 대한 문제점이 조금 높게 분석되었다. 보수교육은 보건의료인이면 누구나 이수해야 하는 교육이며, 보수교육 이수 시간으로 3년마다 면허 재 신고를 해야 하는 주요한 교육이다. 다양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하는 보수교육은 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교육수준에 부합하지 못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므로 의원방사선사의 보수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보수교육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개선사항을 현실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반영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을 통한 보수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납의 신경독성에 대한 지금초 추출물의 독성경감 효과 (Alleviating Effects of Euphorbiae humifusae L. Extract on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Lead)

  • 이상희;서영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01-510
    • /
    • 2018
  • 본 연구는 배양 C6 glioma 세포를 대상으로 초산납(lead acetate, LA)의 신경독성을 알아보았으며, 또한 LA의 세포독성에 대한 지금초(Euphorbiae humifusae L., EH)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LA는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감소됨으로서 신경독성을 보였으며, $0{\sim}50{\mu}M$의 LA가 각각 포함된 배양액에서 72시간 동안 세포를 처리한 결과, $XTT_{50}$ 값은 $38.6{\mu}M$로 고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0{\sim}50{\mu}M$의 LA가 각각 포함된 배양액에서 72시간 동안 세포를 처리한 결과 $XTT_{50}$$38.6{\mu}M$에서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항산화제인 vitamin E의 처리에서 LA 독성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 생존율이 유의하게 증가함으로서 LA의 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한편, EH 추출물은 지질과산화 저해능을 비롯하여 superoxide dismutase (SOD)-유사활성능 및 DPPH-라디칼 소거능과 같은 항산화능에 의하여 LA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이같은 항산화 효과는 gallic acid와 같은 폴리페놀이나 또는 flavonol이나 quercet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항산화성분에 기인된 결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EH 추출물과 같은 천연 소재는 차후 납신경독성과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질환 치료를 위한 유용한 활용 인자로 사료된다.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삶의 질 변화와 관련요인 (Changes in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of Surgical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 최향숙;강영미;이태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370-379
    • /
    • 2018
  • 본 연구는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치료기간에 따른 삶의 질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갑상선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필요성과 증상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전광역시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 이비인후과에서 2013년 7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갑상선암 진단을 받고 갑상선절제수술을 받은 환자 7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온 변수를 산출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수술 전과 후 1개월까지의 삶의 질 변화에서는 성별, 암 병력, 피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수술 후 3개월까지의 삶의 질 변화에서는 병기, 암 병력, 불안, 통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5). 회귀분석 결과 조사시기별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술 전과 후 1개월에서는 우울과 피로였으며, 수술 후 3개월에서는 불안이었고, 수술 후 6개월에서는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수술 전과 후 1개월 시기에 우울과 피로 증상을 관리하여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수술 후 3개월에서는 불안 증상을 관리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공중보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신질환자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발병초기와 만성 정신질환자의 비교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e on the family func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 Comparison of the persons with recent onset and chronic mental illness -)

  • 조은정;김현수;김종천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7호
    • /
    • pp.99-124
    • /
    • 2017
  •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의 가장 기본적인 보호체계인 가족의 기능에 대한 기존연구가 정신질환의 발병 단계(초기, 만성)에 대한 고려 없이 진행된 한계를 극복하고자 발병초기 정신질환자가족과 만성 정신질환자 가족의 가족기능이 차이가 있는지, 각 그룹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부산지역 정신보건 서비스 이용 정신질환자 62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발병초기 정신질환자의 가족기능보다 만성 정신질환자 가족기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발병초기 정신질환자의 경우 가족기능 괴리감이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만성 정신질환자의 경우 일상생활수행능력, 주보호자의 건강상태, 가족기능 괴리감, 지역사회지지가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확인되어 두 그룹의 영향요인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현장에서 고려 할 수 있는 발병초기와 만성 정신질환자의 가족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별적방법을 제언하였다.